강의계획서 · 스무 살, 뽀로로는 이제 시작이다 – 한국 애니메이션의 미래
1. 강의명 (Title)
창의·콘텐츠·K-컬처 산업 특강
① 스무 살, 뽀로로는 이제 시작이다 – 한국 애니메이션의 미래
② K-콘텐츠의 글로벌 확장과 융복합 시대
③ 창의력으로 세상을 움직이다: 애니메이션이 만든 미래
2. 교육 개요 (Overview)
‘뽀로로’로 대표되는 한국 애니메이션은 이제 단순한 어린이 콘텐츠를 넘어 전 세계가 주목하는 K-콘텐츠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최종일 대표는 지난 20년간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을 이끌며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콘텐츠가 어떻게 진화하고, 융복합과 글로벌화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생생히 들려줍니다. 본 강연은 창의·혁신·문화산업 전략을 이해하고 한국형 콘텐츠의 경쟁력을 미래로 확장하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 과정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을 이해한다.
- 미디어 환경 변화와 OTT 시대의 콘텐츠 주도권 이동을 분석한다.
- K-콘텐츠의 융복합·협업·창의적 진화 과정을 학습한다.
- 콘텐츠 산업에서 창의력과 실행력이 갖는 경쟁 우위를 체감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국내 콘텐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이해하고, 산업 트렌드를 읽는 통찰을 얻습니다.
- 플랫폼 변화와 융복합 흐름 속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 창의성과 실행력을 결합한 콘텐츠 기획·브랜딩 전략을 체득합니다.
- 한국형 문화산업의 미래 가능성과 혁신 모델을 조망합니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뽀로로의 20년, 캐릭터의 진화 | 루피 밈 현상과 2030세대 확장 · 유아를 넘어 MZ세대까지 확장된 캐릭터 소비 문화 |
| 2 |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 | 미국·일본 중심 시장에서 국산 캐릭터의 부상 · 콘텐츠 경쟁력과 시장 점유율의 변화 |
| 3 | 미디어 환경 변화와 OTT의 부상 | 미디어 주도권의 이동 · 글로벌 플랫폼과의 공정 경쟁 · 콘텐츠 수출의 새로운 패러다임 |
| 4 | K-콘텐츠의 다이나믹함 | 빠른 제작·기민한 대응·다양한 형식 실험 · 한국 애니메이션의 순발력과 실행력 |
| 5 | 융복합 콘텐츠의 등장 | 애니메이션+다큐·뮤직·실사 등 장르 융합 · 뽀로로X아이돌 ‘키즈팝 콘텐츠’ 사례 |
| 6 | K-애니메이션의 미래 전략 | 기술 발전과 글로벌 협업 · 산업 생태계 확장 · “미래는 오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가는 것”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최종일 대표 — 현 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 대표.
- 대표작: 『뽀로로』 시리즈 제작, 국내외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 기여.
- 도전·문화·소통·창의·콘텐츠 비즈니스 등 다양한 주제로 기업·기관 특강 진행.
- 한국 애니메이션의 세계화와 콘텐츠 융복합의 선도적 사례 공유.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