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중년 이후의 우정과 인간관계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중년 이후의 우정과 인간관계
② 손절의 시대를 넘어, 연결의 시대를 살아가는 법
③ 성숙한 관계가 인생의 품격을 만든다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중년 이후 변화하는 우정과 사회적 관계의 의미를 새롭게 조명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관계망이 줄어들고 인간관계의 결이 달라지지만, 좋은 친구, 좋은 관계는 여전히 삶의 에너지가 됩니다. 이호선 교수는 심리학적 통찰을 바탕으로 중년기 이후의 관계 회복, 우정의 재정의, 그리고 ‘손절보다 연결이 필요한 시대’의 인간관계 전략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중년 이후 인간관계의 변화 원인과 심리적 특성을 이해한다.
- 끊기보다 이해하고 포용하는 성숙한 관계 유지법을 익힌다.
- 사회적 관계망 축소에 대응하는 실질적 관계 확장 전략을 학습한다.
- 건강한 우정, 균형 잡힌 거리감, 감정관리법을 습득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퇴직 이후나 중년기 이후에도 활기찬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감정적 단절 대신 관계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정서적 안정감과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습니다.
-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이 향상되어 조직 내 소통 역량이 강화됩니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중년 이후, 관계의 패러다임이 달라진다 | 나이듦과 관계의 변화 · 사회적 관계망 축소 현상 이해 · ‘외로움의 심리학’ |
| 2 | 끊지 말고 이해하라 — 성숙한 관계의 힘 | 손절 대신 포용의 기술 · ‘못난 친구’의 역할과 관계의 기능적 가치 |
| 3 | 우정의 재정의 — 슈퍼 친구와 삽 친구 | 삶의 위기 속에서 다시 연결해야 할 친구 유형 · 관계 회복의 심리학 |
| 4 | 다양한 친구가 인생을 풍요롭게 한다 | 자기 복합성의 개념 · 유쾌한 친구, 현명한 친구, 허당 친구의 심리적 역할 |
| 5 | 건강하지 않은 관계를 구분하고 대응하기 | 가스라이팅·그루밍·질투형 관계의 특징 · 심리적 거리두기와 보호 전략 |
| 6 | 손절의 시대에서 연결의 시대로 | 우정의 회복, 소통의 회복 · ‘관계는 나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마지막 메시지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現 숭실사이버대학교 기독교상담복지학과 교수, 임상심리학 박사.
- TV·라디오 다수 출연(‘건강하게 삽시다’, ‘아침마당’, ‘EBS 명의’) 등으로 대중적 신뢰 확보.
- 주요 강연 주제: 인간관계, 감정관리, 중년의 행복, 가족심리, 조직 소통.
- 현실적 사례와 따뜻한 유머, 통찰이 결합된 강의로 기업 교육 현장에서 높은 만족도 기록.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