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우주의 법칙 - 열역학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시간의 화살, 변하지 않는 법칙 – 열역학으로 본 우주
② 에너지와 엔트로피: 우주를 지탱하는 두 개의 진리
③ 김범준 교수의 물리 인문학 – 열역학이 알려주는 삶의 원리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연은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가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우주의 법칙’이라는 주제로, 과학의 근본 이론이자 인류 문명의 근간인 열역학 제1·2법칙을 쉽고 흥미롭게 풀어내는 인문학적 과학 강연입니다. 에너지 보존과 엔트로피 증가라는 개념을 교실, 윷놀이, 동전 던지기 등 일상적 비유를 통해 설명하며, 우주와 인간 삶의 본질적 질서를 탐구합니다. 과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시간과 변화에 대한 철학적 시각을 얻을 수 있는 교양형 명품 강연입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열역학 제1·2법칙의 과학적 의미와 철학적 함의를 이해한다.
- 에너지 보존과 엔트로피 개념을 일상적 예시를 통해 직관적으로 습득한다.
- 우주의 변화와 인간 삶의 방향성을 과학적·인문학적으로 통찰한다.
-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불변하는 원리’를 찾아내는 사고력을 기른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복잡한 과학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접근함으로써 과학적 사고력이 향상된다.
- 엔트로피의 개념을 통해 ‘변화와 불확실성’을 바라보는 관점이 성숙해진다.
- 우주의 질서와 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인문학적 통찰을 얻게 된다.
- 조직 내 사고의 폭이 넓어지고, 창의적 문제 해결력과 논리적 사고가 강화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법칙 | 아인슈타인이 극찬한 이론, 열역학의 위대함과 보편성에 대한 서론 |
| 2 | 에너지 보존의 법칙 – 열역학 제1법칙 | ‘교실의 출석부’ 비유로 이해하는 에너지의 흐름과 보존 개념 |
| 3 |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 열역학 제2법칙 | ‘윷놀이’와 ‘동전 던지기’로 배우는 확률, 질서와 무질서의 의미 |
| 4 | 시간의 방향성과 우주의 진화 | 엔트로피가 만들어내는 시간의 화살, 변화의 불가역성 이해 |
| 5 | 과학이 인류에게 주는 통찰 | 열역학 법칙이 인류 지성사에 남긴 의미 – 불확실성 시대의 질서 탐구 |
| 6 | 우주의 법칙, 인간의 삶으로 | 에너지 보존과 엔트로피 개념을 일과 삶, 조직 경영에 비유하여 적용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범준 교수 –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통계물리학 및 복잡계 연구자
- 『세상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저자
- 과학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하는 대중 강연자로서, 기업 임직원 교양특강 다수 진행
- 주요 강연 분야: 과학 인문학, 열역학, 시간의 물리학, 복잡계와 사회 현상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