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김경일 교수 ‘MBTI로는 진짜 성격을 알 수 없다?!’ – 심리학으로 본 성격의 진짜 이해
1. 강의명 (Title)
심리학·소통·자기이해 인문특강
① MBTI로는 진짜 성격을 알 수 없다?! – 심리학이 말하는 인간의 본질
② 성격의 오해와 진실 –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법
③ 유형이 아닌 인간, 심리학으로 다시 보다
2. 교육 개요 (Overview)
MBTI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지만, 그것이 과연 우리의 진짜 성격을 설명할 수 있을까요? 김경일 교수는 심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MBTI의 한계와 인간 이해의 진정한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본 강의는 MBTI를 통해 자신과 타인을 바라보는 현대인의 시각을 점검하고, 보다 과학적이고 깊이 있는 ‘성격의 심리학’을 소개하는 인문교양형 특강입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MBTI의 원리와 한계를 이해하고, 성격 검사에 대한 올바른 관점을 확립한다.
- 심리학적으로 검증된 성격 요인(Big Five, HEXACO)을 학습한다.
- 인간의 성격을 유형이 아닌 ‘특성의 연속성’으로 이해한다.
- 타인을 단정 짓지 않고 공감적으로 이해하는 소통 역량을 강화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MBTI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로 조직 내 세대·성향 간 오해 해소
- 심리학 기반의 자기이해 및 타인 이해 능력 강화
- 유형화보다 관계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문화 형성
- 객관적 사고력과 자기 통찰력 향상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MBTI 열풍의 배경 | 현대인의 정체성 욕구 / MBTI의 인기 요인과 심리적 보상 |
| 2 | MBTI의 구조와 한계 | 4가지 지표의 의미 / 신뢰도·타당도 문제 / 사회적 역할 반영성 |
| 3 | 심리학이 말하는 진짜 성격 | Big Five & HEXACO 모델 소개 / 정직-겸손성 요인의 중요성 |
| 4 | 사람을 이해하는 과학적 접근 | 유형보다 연속성 / 성격은 고정이 아닌 변화 가능성 |
| 5 | MBTI를 현명하게 활용하기 | 자기이해 도구로서 MBTI / 조직 내 활용 시 주의점 |
| 6 | 사람을 ‘유형’이 아닌 ‘이해’로 | 관찰과 공감의 중요성 / 진정한 인간 이해의 심리학적 태도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경일 교수 –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심리학자
- 전문 분야: 인지심리학, 판단과 의사결정, 인간행동 분석
- 저서: 『어쩌면 우리가 거꾸로 해왔던 것들』, 『이끌지 말고 따르게 하라』 외
- 강연 특징: 심리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인간 이해를 쉽게 풀어내는 인문형 강의
- 강연 키워드: #MBTI #심리학 #자기이해 #소통 #인간이해 #조직심리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