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중국은 왜 티베트를 포기 못할까?
1. 강의명 (Title)
국제정세·지정학 명사특강
① 중국은 왜 티베트를 포기 못할까? — 물, 영토, 권력의 지정학
② 중국의 아킬레스건, 티베트: 영토와 자원의 숨은 전쟁
③ 히말라야의 물 전쟁: 중국·인도·티베트의 보이지 않는 충돌
2. 교육 개요 (Overview)
중국은 왜 국제사회의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티베트를 절대 포기하지 않을까요? 김지윤 박사는 티베트를 “중국의 아킬레스건이자 생존의 핵심 자원지”로 규정하며, 그 배경을 역사·지정학·자원·안보의 관점에서 분석합니다. 고대 토번 제국부터 청나라, 공산당 정권까지 이어진 티베트의 역사적 맥락과 함께, 현대 중국이 이 지역을 통해 확보하려는 ‘물·광물·전략적 완충지대’의 중요성을 심도 있게 짚어봅니다. 이번 강연은 단순한 역사 이야기가 아닌, 현재 진행 중인 ‘21세기 물 전쟁’의 실체를 이해하게 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티베트의 역사적 배경과 중국의 통치 논리를 이해한다.
- 티베트 지역의 지정학적·자원적 가치를 분석한다.
- ‘물의 지정학’과 중국의 안보 전략의 연관성을 학습한다.
- 중국-인도-동남아로 이어지는 국제 분쟁 구조를 파악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지정학적 리스크와 자원 전쟁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중국의 대외정책과 내부 안보 전략의 본질을 해석할 수 있다.
- 국제 관계 속 ‘물 자원’의 가치와 전략적 의미를 인식한다.
- 글로벌 이슈를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력과 국제감각을 강화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티베트의 역사와 자치의 뿌리 | 토번 제국의 성립과 불교 확산 · 당나라~청나라까지의 관계사 · 자치권과 민족 정체성의 형성 |
| 2 | 공산당 집권 이후의 티베트 통합 과정 | 1949년 이후 ‘평화해방 17개조 협약’의 배경과 파기 · 달라이 라마 망명과 국제사회의 무관심 · 1959년 봉기와 탄압, 인권 문제 |
| 3 | 티베트의 수탈과 인프라 전략 | 칭짱철도의 건설 의미 · 한족 이주 정책 · 광물·에너지 수탈 구조 · 군사적·정치적 활용성 |
| 4 | 중국의 물 부족과 수자원 지정학 | 남북 수자원 불균형 · 북중국 평원의 물 기근 현실 · ‘제3극’ 티베트 고원의 수원 가치 · 중국 산업·식량·안보와의 연결 |
| 5 | 국제적 갈등: 인도와 동남아의 시각 | 브라마푸트라강 댐 문제 · 도클람 사태와 수자원 외교 · 메콩강 유역 피해 사례 · ‘물’을 무기로 한 외교적 압박 |
| 6 | 21세기 물 전쟁과 중국의 전략 | 기후변화와 자원 안보 리스크 · 물의 무기화와 글로벌 파급력 · “물은 찍어낼 수 없다” — 중국의 약점과 딜레마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지윤 박사 · 국제정치학 박사, 글로벌 이슈 전문 강연자
- 국제정세·중국정책·미중갈등·지정학 등 폭넓은 주제의 명사특강 진행
- JTBC·YTN·KBS 등 다수 방송 출연, ‘국제감각을 깨우는 해설형 강연’으로 호평
- 실제 사례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잡한 국제 문제를 쉽고 명확하게 풀어내는 설명력 보유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