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포기를 이기는 일상 설계: 목표·거절·집중의 기술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포기의 심리학: 24시간을 다시 설계하면 삶이 바뀐다
② 목표·거절·집중: 번아웃을 이기는 일상 운영 전략
③ “그만두고 싶을 때” 쓰는 실전 도구 상자
2. 교육 개요 (Overview)
‘포기하고 싶은 마음’은 실패가 아니라 신호입니다. 이 강의는 하루를 수면·업무/학습·개인의 3영역으로 나눠 감정 흐름을 점검하고, 전투경찰 시절 봉사 경험에서 발견한 목표 재정의(의미 부여)의 힘, 그리고 건강한 거절이 에너지와 자존감을 지키는 과정을 체계화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포기하고 싶은 마음’의 원인(과부하·의미 결핍·경계 실패)을 식별한다.
- 24시간(8·8·8) 프레임으로 감정·에너지 누수를 진단한다.
- 업무/일상에 개인 목표를 연결(의미 재부여)하는 방법을 설계한다.
- 관계 손상 없이 거절하는 4가지 대화 기술을 익힌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업무·개인 시간 모두가 목표 달성의 시간으로 전환된다.
- 불필요한 요청을 줄이고 핵심 업무에 집중한다.
- 수면·업무·개인 시간의 감정 품질이 향상되어 번아웃 위험을 낮춘다.
- ‘포기 신호’를 조기 감지·개입하는 개인 맞춤 리추얼을 구축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포기의 심리: 왜 우리는 내려놓고 싶을까 | 포기의 정서 메커니즘 · ‘유혹’이 강해지는 상황(피로/미해결 과제/애매한 목표) · 신호 vs 실패 구분 |
| 2 | 하루 24시간 재구성(8·8·8 프레임) | 수면·업무/학습·개인 시간의 감정 지도 작성 · 업무 스트레스의 잔존 효과 · 밤·아침의 마음가짐 리셋법 |
| 3 | 의미의 힘: 목표 재정의로 동기 켜기 | 봉사 사례의 전환(‘해야 한다’→‘도움이 된다’) · 개인 목적→업무 연결(OKR-lite) · 작은 성공 경험 루프 설계 |
| 4 | 건강한 거절 4법 | ①이유 설명형 ②대안 제시형 ③공감·동의 표현형 ④감사 기반 거절 · 문장 템플릿과 상황별 적용(상사/동료/가족/고객) |
| 5 | 포기 신호 조기 경보 | 정서·신체 지표(수면 질, 짜증 임계, 미루기 패턴) 체크리스트 · 에너지 누수 차단: 일정·알림·관계 경계 세팅 |
| 6 | 실행 워크숍: 나의 2주 실험 | 개인 목표 1개 선정→업무 연결→거절 스크립트 작성→일과 후 리추얼 설계 · 점검 보드(일간/주간) 배포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로 동기·몰입·업무 설계 분야 다수 프로젝트 수행
- 현장 사례 기반으로 목표 재정의·거절 커뮤니케이션·일상 리추얼 설계를 즉시 적용 가능한 도구로 제공
- 수백 회 이상의 임직원·교원·청년 대상 특강 및 코칭 경험(번아웃·집중·자기관리)
- 참고 자료: 『타이탄의 도구들』, 『나는 왜 싫다는 말을 못할까』 등에서 거절 기술·집중 전략 인사이트 응용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