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나는 어떤 유형의 완벽주의자일까?
1. 강의명 (Title)
심리·힐링·소통 특강
① 나는 어떤 유형의 완벽주의자일까? — 나를 이해하는 4가지 심리 코드
② 완벽함의 그림자와 선물: 완벽주의를 성장의 에너지로 바꾸는 법
③ 눈치형부터 강철 멘탈형까지, 완벽주의 성향으로 읽는 나의 심리 지도
2. 교육 개요 (Overview)
완벽주의는 단순히 ‘완벽하게 하려는 성향’이 아닙니다. 이동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마다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방식이 다르며, 이는 자존감, 관계, 성취 방식까지도 바꾸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입니다. 본 강연은 연세대학교 상담심리연구실의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눈치 백단 인정추구형’, ‘스릴 추구 막판 스퍼트형’, ‘방탄조끼 안전지향형’, ‘강철 멘탈 성장지향형’ 등 4가지 완벽주의 유형을 소개하며 각자의 성향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완벽주의는 선물일 수도, 족쇄일 수도 있다. 선택은 나에게 달려 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4가지 완벽주의 유형을 이해하고 자신이 속한 유형을 진단할 수 있다.
- 완벽주의가 인간관계와 업무 성과에 미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파악한다.
- 부정적 완벽주의를 긍정적 성장 에너지로 전환하는 실천 전략을 습득한다.
- 자기 내면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난 자존감 회복법을 배운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자신의 완벽주의 성향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스트레스 요인을 관리할 수 있다.
- 타인 중심 사고에서 벗어나 내면 중심의 건강한 자기 기준을 확립한다.
- 팀 내 협업, 대인관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향상된다.
- 삶의 불안과 자기비난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동기와 회복탄력성을 강화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완벽주의, 병인가 성향인가? | 완벽주의의 심리학적 정의와 사회적 맥락 · 완벽주의의 긍정/부정 양면성 · ‘세심함’과 ‘소심함’의 차이 |
| 2 | 4가지 완벽주의 유형 분석 | ① 눈치 백단 인정추구형 ② 스릴 추구 막판 스퍼트형 ③ 방탄조끼 안전지향형 ④ 강철 멘탈 성장지향형 · 각 유형의 장단점 및 인간관계 특징 |
| 3 | 나의 완벽주의 진단하기 | 자가 점검 테스트 · 일상 행동 패턴 속 완벽주의 습관 찾기 · ‘칭찬/평가/내면의 소리’ 중 자신이 의존하는 기준 분석 |
| 4 | 좋은 완벽주의로 전환하는 방법 | 유형별 실천 전략: 인정추구형 → 자기중심 회복, 스퍼트형 → 계획력 강화, 안전형 → 자기확신, 성장형 → 공감 능력 강화 |
| 5 | 완벽주의의 함정과 회복 | 자기비난, 불안, 우울의 악순환에서 벗어나는 법 · ‘내면의 목소리’와 ‘타인의 시선’의 균형 잡기 · 자기선택과 터닝포인트의 의미 |
| 6 | 실천 워크숍: 나를 위한 완벽주의 일지 | D-2 데드라인 접근법, 시간 예측 훈련, 퍼스펙티브 테이킹 공감 훈련 · 매일 실천 가능한 심리적 리추얼 설계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이동귀 교수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상담심리 전문가
- 완벽주의, 자존감, 마음 회복, 감정소통 등 심리학 기반의 동기부여 강연으로 유명
- 언론·공공기관·기업 등에서 힐링·소통·자기계발 주제 다수 강연 진행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마음의 탄력』 등 저서 및 상담심리연구실의 완벽주의 연구 총괄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