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최설민 대표 '착한데 만날수록 불편해지는 사람의 특징'
1. 강의명 (Title)
심리학 · 인간관계 · 자기이해
① 착한데 만날수록 불편해지는 사람의 특징
② 타인에게 맞추다 지친 사람들을 위한 관계 심리 특강
③ ‘양수 인간’으로 살아가는 법 — 나답게 관계 맺기
2. 교육 개요 (Overview)
최설민 대표는 유튜브 채널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의 진행자이자 저서 『양수 인간』의 저자로, 타인에게는 착하지만 자신에게는 나쁜 ‘순응형 인간’의 심리를 다룹니다. 본 강연은 ‘진짜 나를 지키며 건강한 관계를 맺는 법’을 주제로, 타인의 평가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가치와 감정을 인식하며 표현하는 방법을 전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착하지만 불편한 사람’의 심리적 구조 이해
- 타인의 시선에 휘둘리지 않는 자기 가치 확립
- 건강한 관계를 위한 표현·거절·경계 설정의 기술 학습
- 순응형 인간에서 양수형 인간으로 변화하는 실천 전략 제시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자신의 감정과 선호를 명확히 인식하고 표현하는 능력 강화
- 타인에게 휘둘리지 않는 심리적 독립성 확보
- ‘거절’을 통한 진정성 있는 관계 형성
- 자기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존감 회복과 긍정적 인간관계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착하지만 불편한 사람의 심리 | 자신의 가치에 대한 확신 부족 / 외부 평가에 의존하는 사고의 문제 |
| 2 | ‘좋은 사람’이 아닌 ‘착한 사람’의 함정 | 타인에게 잘 보이려는 심리 / 자기상실과 관계 불균형의 악순환 |
| 3 | 순응형 음수 인간의 특징 | 자기 탐색의 부재 / 타인의 판단에 쉽게 흔들리는 경향 분석 |
| 4 | 자기 표현과 거절의 연습 | “나는 이게 좋아요, 싫어요”로 시작하는 자기표현법 / 의사 표현과 거절의 심리적 의미 |
| 5 | 진정한 관계의 기준 세우기 | 표현했을 때 떠나는 사람 vs 남는 사람 / 건강한 관계의 구분 |
| 6 | 순응형 인간을 돕는 법 | 통제가 아닌 ‘존중’의 태도 / 함께 있어주기와 자율성 회복의 지원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최설민 대표 — 심리학자, 작가, 강연가
- 유튜브 채널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운영
- 저서 『양수 인간』을 통해 관계 속의 자기 확립과 감정 독립을 제시
- 기업, 공공기관, 대학 등에서 심리학 기반 자기이해·소통 강연 다수 진행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