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김태훈 교수 '누군가의 감정 쓰레기통이 되지 않으려면'
1. 강의명 (Title)
심리학 · 인간관계 · 감정관리
① 누군가의 감정 쓰레기통이 되지 않으려면
② 관계 속에서 나를 지키는 심리적 경계
③ 건강한 공감과 대화의 기술
2. 교육 개요 (Overview)
김태훈 교수(경남대 심리학과)의 이 강의는 ‘감정 쓰레기통’이란 개념을 통해 인간관계에서 심리적 경계와 감정적 독립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타인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나의 감정을 건강하게 보호하는 방법을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직장, 가정, 친구 관계 등 모든 대인관계에 적용 가능한 감정 관리 실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감정 쓰레기통(emotional dumping)의 개념과 심리적 작용 이해
- 건강한 감정 교류와 일방적 감정 투사의 차이를 구별한다.
- 심리적 경계를 세우고 ‘착한 사람 콤플렉스’에서 벗어난다.
- 부정적 관계에서 자신을 지키는 실질적 방법을 익힌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인간관계에서의 피로감 감소 및 심리적 자율성 강화
- 건강한 공감 능력 향상과 감정소진 방지
- 직장·가정·사회생활 속 대화의 경계 설정 능력 향상
- 타인의 부정적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평정심 유지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감정 쓰레기통의 정의 | ‘Emotional Dumping’ 개념 소개 / 감정 교류 vs 일방적 배출 구분하기 |
| 2 | 착한 아이 콤플렉스와 죄책감 | 무조건 이해해야 한다는 압박 / ‘타인을 이해하지 않을 권리’의 중요성 |
| 3 | 감정 착취자의 특징 | 본인 감정만 중요시 / 필요할 때만 연락 / 가족관계(엄마-딸)에서의 감정적 의존 |
| 4 | 직장 내 감정 쓰레기통 방지 | 상사·부하 간의 공감 균형 / 갑질과 과도한 감정 수용의 경계 / 피드백의 건강한 표현 |
| 5 | 감정 경계 설정의 기술 | 무조건적 공감 거절 / 대화 중 감정 되돌려주기 / ‘너는 이렇게 느끼는 거구나’ 피드백 활용 |
| 6 | 관계를 지키며 나를 지키는 법 | 불편한 대화의 용기 / 감정선 긋기 / 관계 단절보다 ‘조절’의 연습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태훈 교수 — 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인지심리학 기반으로 감정관리·리더십·힐링·행복·동기부여 강연 다수 진행
- 기업, 공공기관, 대학 등 다양한 조직에서 실질적 심리솔루션 제시
- 현대인의 인간관계 피로와 감정 소진 문제를 다루는 전문 강연가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