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나다움의 전략: 개인 고유성을 경쟁력으로 바꾸는 법
1. 강의명 (Title)
브랜딩 · 커리어전략 · 자기객관화
① 나다움의 전략: 고유성을 시장 가치로 전환하는 10가지 방법
② 브랜드처럼 일하라: ‘나’의 차별성을 설계·실행·확장하기
③ 길을 가다 뜻을 만나다: 지속 가능한 커리어를 위한 나다움 구축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나다움을 연약함이 아닌 강력한 전략 자산으로 정의합니다. 20년간의 전략 수립 경험을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 시대의 비교/박탈감 환경에서 개인 고유성을 차별화·지속 가능·확장 가능한 경쟁력으로 전환하는 프레임을 제시합니다. MBTI 등 진단은 참조 자료일 뿐, 매일 변화하는 나를 객관화-피드백-실행으로 탐험하는 과정을 통해 ‘브랜드로서의 나’를 설계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 개인의 고유성을 브랜드 자산으로 정의하고 가치 제안을 도출한다.
- · 진단 도구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화-피드백-행동 루프로 자기를 업데이트한다.
- · 비교 환경에서 정신줄을 지키는 인지/행동 전략을 수립한다.
- · 나다움 기반 실험 포트폴리오(작은 시도·네트워킹·학습)를 설계하고 실행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 ‘나다움’의 핵심 차별 요소 정립 및 시장 적합성 확보
- · 소셜 비교로 인한 소진을 성장 데이터로 전환
- · 기회 탐색—실행—피드백의 지속 가능한 커리어 루프 구축
- · 개인 브랜드 전략서/액션 플랜 도출로 즉시 현업 적용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나다움은 전략이다 | 비교 사회와 박탈감의 함정 · 고유성의 비즈니스적 가치 · 120세 시대의 지속 가능 커리어 |
| 2 | 개인=브랜드 프레임 | 브랜드 차별화의 3요소(고유성·일관성·확장성) · 시장언어로 쓰는 나의 가치제안 |
| 3 | 진단은 참조, 본질은 실행 | MBTI 등 도구의 한계 · 일상 데이터로 나를 측정하는 방법(관찰·기록·리뷰) |
| 4 | 객관화-피드백-행동 루프 | 주변 피드백 수집 설계(동료·고객·멘토) · 편향 줄이는 질문 · 행동 실험 설계 |
| 5 | 작은 시도 포트폴리오 | 싫어하는 것 제거법으로 선택 좁히기 · 2주·6주·12주 실험 트랙 · 네트워킹/학습 플랜 |
| 6 | 개인 브랜드 전략서 만들기 | 시그니처 스토리 구조화 · 가치 제안 캔버스 · 채널/콘텐츠/레퍼런스 운영 계획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 · 브랜딩/전략/커리어 디자인 전문
- · 20년+ 전략 수립 실무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시장 통하는 나다움 설계
- · 진단 의존 ↓, 데이터 기반 자기객관화·행동 실험 루프 설계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