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열심히 vs. 잘 사는 법: 속도보다 방향
1. 강의명 (Title)
동기부여 · 라이프디자인 · 웰빙
① 열심히만 달리다 공허해질 때: 인생의 속도 조절법
② 성공보다 성취: 함께 가는 삶의 설계
③ 돌아갈 용기: 방향을 다시 맞추는 20분
2. 교육 개요 (Overview)
“열심히 산다”는 명분 뒤에 숨은 공허감·고독·불균형을 점검하고, 성공(Success)이 아닌 성취(Fulfillment) 중심의 삶으로 전환하는 실천 프레임을 제시합니다. 가족·일·건강·관계·자기성장 다섯 축을 균형 있게 끌고 가는 원칙,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라는 메시지를 돌아갈 용기와 속도 조절 전략으로 연결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 ‘열심히=잘 산다’ 프레임의 한계를 인지하고 불균형 신호를 진단한다.
- · 성공과 성취의 차이를 이해하고 다섯 축(일·가족·건강·관계·성장) 점검법을 습득한다.
- · 비교와 속도 경쟁을 줄이는 속도 조절·우선순위 재배열 도구를 적용한다.
- · ‘돌아가기’ 결단을 실행으로 잇는 리셋 계획을 수립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 일 중심의 삶에서 관계·건강·여가로의 자원 재배분로 번아웃 예방
- · 남의 시선·비교에서 벗어나 자기기준으로 의사결정
- · 가족과의 거리 회복, 함께 가는 성취 경험 확장
- · 중간에 방향 수정해도 늦지 않다는 인지로 삶의 만족도 향상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열심히의 함정 | 몰입과 공허의 역설 · “인정받고 싶은 프레임”의 강화 메커니즘 |
| 2 | 절벽의 신호 읽기 | CEO/부모 사례로 보는 보상심리·고립감 · 공허감이 좋은 신호인 이유 |
| 3 | 속도보다 방향: 다섯 축 균형 | 일·가족·건강·관계·성장 체크 · 혼자 빨리 vs. 함께 천천히의 비용/편익 |
| 4 | 성공과 성취 구분하기 | 아슬아슬 성공 vs. 조화로운 성취 · 장기 시계로 본 부와 삶 |
| 5 | 돌아갈 용기, 리셋 전략 | 관계·건강 회복 루틴 · 우선순위 재설계 · 비교/시선 디톡스 실천문 |
| 6 | 실천 워크시트 | 나의 현 위치 진단표 · ‘돌아가기 체크리스트’ · 30/90일 생활 리듬 계획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김미경 대표의 메시지를 토대로 한 동기부여·라이프디자인 특강 구성
- · “속도가 아니라 방향”을 실행 도구로 번역하는 커리큘럼 설계
- · 가족·일·건강을 묶는 균형형 성취 로드맵 제시
- · 정부/대기업/교육기관 대상 동기·웰빙·커리어 전환 강연 다수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