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의외로 헷갈리는 생물 과학 상식 Q&A
1. 강의명 (Title)
생명과학 · 과학리터러시 · 인문자연융합
① 유전자부터 바이러스까지: 한 번에 잡는 생물학 개념정리
② 인간·원숭이·유인원? 헷갈리는 분류를 시원하게 정리
③ 가설·이론·법칙과 공생·상생: 과학 언어 바로쓰기
2. 교육 개요 (Overview)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가로지르는 최재천 교수의 설명을 바탕으로, 일상에서 자주 헷갈리는 유전체·염색체·DNA·유전자의 관계부터 인간과 원숭이/유인원의 차이, 가설·이론·법칙의 과학적 위계,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 구분, 공생·상생의 올바른 쓰임까지 핵심 개념을 논리적으로 정리합니다. 과학의 대중화가 아니라 대중의 과학화를 목표로, 조직과 시민이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강의입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 유전체→염색체→DNA→유전자의 계층 구조를 정확히 이해한다.
- · 인간·원숭이·유인원의 분류·계통을 구분하고 ‘공통조상’ 개념을 설명한다.
- · 가설/이론/법칙의 검증·위계를 구분하여 과학적 주장 평가 능력을 높인다.
- · 바이러스와 세균(박테리아)의 구조·복제 방식 차이를 이해하고 용어를 바르게 사용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 과학 기사·광고(유산균 등)·정책 문서의 비판적 읽기 역량 강화
- · 생물학 개념 혼동으로 인한 오해·가짜뉴스 대응력 향상
- · 조직 내 과학적 의사결정(가설 검증→이론화)의 논리적 커뮤니케이션 증대
- · 공생/상생 개념의 올바른 적용으로 협력 정책·메시지의 정확성 제고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유전체·염색체·DNA·유전자, 무엇이 다를까 | 유전체(게놈)=유전자 총량 · 염색체=DNA 패키지 · DNA=유전정보 사슬 · 유전자=기능 단위 — 관계도 정리 |
| 2 | “인간의 조상은 원숭이?” 오해 바로잡기 | 침팬지와의 공통조상(~600만 년 전) 개념 · “한 집안이었지만 다른 갈래”로 이해하기 |
| 3 | 유인원 vs 원숭이: 결정적 차이는 ‘꼬리’ | 유인원(꼬리 없음)·원숭이(꼬리 있음) · 치아/두개골 차이 · 명명 오류 사례(긴팔원숭이 명칭 이슈) |
| 4 | 가설·이론·법칙: 과학의 언어와 위계 | 가설→검증 누적→이론→보편성 획득 시 법칙 · 자연선택 메커니즘의 원리로서의 위상 논의 |
| 5 | 바이러스 vs 세균(박테리아)·유산균 광고 읽기 | 세균=박테리아(원핵·단세포) · 바이러스=단백질 껍질 속 유전물질, 자기 복제 불가 · 유산균=박테리아의 한 종류 |
| 6 | 공생과 상생, 그리고 ‘대중의 과학화’ | 공생(생태학적 상호작용) vs 상생(상극의 반대, 존재 가능케 함) ·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원칙과 실천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최재천 교수 — 인문학·자연과학·사회문화·글로벌·미래 등 융합 강연 다수
- · 대중의 과학화를 지향하는 과학 커뮤니케이션 선도자
- · 생태·진화·행동·분류 지식을 일상 사례로 풀어내는 현장형 해설 강의
- · 유전·분류·미생물·과학언어 등 헷갈리기 쉬운 개념을 한 번에 정리하는 커리큘럼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