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나쁜 감정에 휘말리지 않는 법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나쁜 감정에 휘말리지 않는 법: 감정을 돌보는 심리학
② 감정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기: 분노·불안·슬픔을 이해하는 기술
③ 감정은 적이 아니다: 나를 성장시키는 감정 사용법
2. 교육 개요 (Overview)
이 강의는 ‘감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다루는 법’을 주제로, 우리가 흔히 ‘나쁘다’고 여기는 감정들 — 분노, 불안, 슬픔 — 이 사실은 자기 이해와 성숙의 신호임을 탐구합니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의 사례를 통해 감정의 역할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틱낫한 선사의 ‘분노를 돌보는 마음’ 철학을 통해 부정적 감정을 수용하고 치유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본 강연은 구성원들의 정서적 회복력(Emotional Resilience)과 감정 리터러시를 향상시켜 조직 내 긍정적 소통 문화를 촉진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감정의 다양성과 기능적 역할을 이해한다.
- ‘나쁜 감정’으로 여겨지는 분노·불안·슬픔을 건강하게 인식하고 수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 감정이 행동·관계·의사결정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이해한다.
- 조직 구성원이 감정적 균형과 회복력을 유지하는 방법을 익힌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감정의 원인을 이해함으로써 스트레스와 분노 관리 능력이 향상된다.
- 감정 억제가 아닌 건강한 표현과 소통이 가능한 조직 문화 형성.
- 직장 내 갈등 상황에서 감정적 거리두기와 자기 통제력 강화.
- 개인의 내면 안정과 정서적 성숙을 통한 긍정적 관계 구축.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감정의 본질 이해하기 | 감정의 정의와 역할 / ‘좋은 감정 vs 나쁜 감정’ 이분법의 한계 / 영화 인사이드 아웃 사례 |
| 2 | 감정의 다양성과 복잡성 | 감정이 전달하는 메시지 읽기 / 감정의 배경 요인(기대·욕구·관계) |
| 3 | 분노는 적이 아니다 | 틱낫한의 ‘분노 돌보기’ 철학 / 분노를 억제하지 않고 다루는 방법 / 분노의 긍정적 기능 이해 |
| 4 | 감정의 근원을 탐색하기 |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법 / 감정과 기대·애착의 관계 / 감정 공유의 중요성 |
| 5 | 감정 회복력과 자기 돌봄 | 감정적 회복의 3단계(인식–수용–표현) / 마음의 안정감을 유지하는 실천법 |
| 6 | 감정이 건강한 조직 만들기 | 감정 리터러시와 조직문화 / 감정적 소통의 리더십 / 정서적 웰빙 프로그램 사례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권수영 교수 —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정신분석가·상담심리 전문가
- 감정과 인간 내면의 심리를 탐구하며, 국내외 기업과 기관에서 명사초청 강연 다수 진행
- ‘감정의 힘’, ‘나쁜 감정에 휘말리지 않는 법’ 등 감정 이해를 통한 자기성찰 강의로 높은 평가
- 영화·철학·심리학을 융합한 따뜻하고 깊이 있는 해석으로 구성원의 마음에 울림을 전함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