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챗GPT는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 혁신과 실적 사이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챗GPT: ‘이번엔 다르다’의 경제학과 실제
② 기술 낙관론의 함정: 실적 없는 혁신을 구분하는 법
③ AI 도입의 본질: 기술이 아니라 비즈니스 모델이다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홍기훈 교수의 메시지를 토대로 챗GPT와 신기술의 사회·경제적 임팩트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재해석합니다. 인터넷 버블, 메타버스, 블록체인·NFT 사례를 통해 반복되는 “이번엔 다르다” 내러티브를 검토하고, 기술 낙관론을 넘어 실적·활용·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AI 도입 기준과 리스크 대비 원칙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기술 혁신 사이클(인터넷·블록체인·AI)의 공통 패턴과 낙관 편향을 식별한다.
- “희망은 전략이 될 수 없다”는 원칙하에 실적·활용 중심의 AI 평가 프레임을 수립한다.
- AI 도입 시 비즈니스 모델·수익화·KPI를 정합적으로 설계한다.
- 버블·규제·윤리 리스크를 진단하고 의사결정 가드레일을 마련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경영진·실무자가 합의 가능한 AI 투자 의사결정 체크리스트 확보
- 기술 중심이 아닌 문제·고객·성과 중심의 프로젝트 전환
- 허상(버즈워드)과 현금흐름을 구분하는 재무적 사고 강화
- 조직 차원의 리스크 관리·윤리·규제 대응 체계 고도화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이번엔 다르다’의 역사 | 인터넷·메타버스·블록체인·NFT에서 반복된 낙관론 패턴, 기술과 사회적 가치의 관계 |
| 2 | 버블의 경제학 | 로고프의 통찰, 닷컴버블(나스닥 급등·급락, 5조 달러 손실)의 교훈과 현재 AI 시장의 시사점 |
| 3 | 크립토 겨울에서 배우는 것 | 비트코인 열풍과 실적 부재의 위험, ‘시간이 해결해준다’ 내러티브의 함정 |
| 4 | AI 도입의 본질: 기술 vs. 비즈니스 | “기술이 핵심이 아니라 모델이 핵심” — 고객 과제, 수익모델, 비용·품질·속도 개선의 정량화 |
| 5 | 실적 중심 평가 프레임 | Use-case 선정, PoC→Pilot→Scale 기준, KPI(생산성·정확도·리드타임·CS비용) 및 ROI 계산법 |
| 6 | 리스크·윤리·ガ드레일 | 환각(할루시네이션)·프롬프트 보안·저작권·규제 대응, 의사결정 체크리스트 & 거버넌스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기업 교육 15년 경력의 디지털·AI 전환 컨설턴트
- 인터넷/블록체인/AI 사례 기반 혁신-실적 연계 커리큘럼 다수
- 경영진 워크숍·전사 교육에서 KPI/ROI 중심 의사결정 프레임 제공
- 금융·IT·제조·공공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도입 로드맵 자문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