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식욕의 과학: 뇌-호르몬-행동으로 설계하는 지속 가능한 체중관리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의지 대신 메커니즘: 식욕의 과학으로 설계하는 체중관리
② 그렐린·렙틴·수면: 뇌가 정한 ‘설정값’을 바꾸는 다이어트 전략
③ 덜 먹고 더 움직여라를 넘어: 호르몬-행동 기반 지속 가능한 습관 만들기
2. 교육 개요 (Overview)
“덜 먹고 더 움직여라”는 단기 처방일 뿐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우리의 뇌와 호르몬 시스템(그렐린·PYY·렙틴·인슐린)이 식욕과 대사를 조절하며, 개인마다 존재하는 체중 설정값(set point)이 체중 변화를 좌우합니다. 교도소 과섭취 실험, 미네소타 기아 연구, 유전·후성유전 사례를 토대로, 스트레스·수면·식단이 설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조직 구성원이 지속 가능한 체중관리를 실천하도록 돕는 실전형 강의입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식욕·포만·대사를 조절하는 핵심 호르몬(그렐린·PYY·렙틴·인슐린)의 역할을 설명한다.
- 체중 설정값(set point) 개념을 적용해 단기 다이어트의 한계를 진단한다.
- 스트레스·수면·식단 요인을 조정해 뇌의 신호체계를 실행 계획으로 설계한다.
- 현실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행동변화 프로토콜(식단·수면·활동)을 수립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의지” 중심 다이어트에서 벗어나 생물학 기반 체중관리로 전환한다.
- 렙틴 저항·과인슐린 상태를 고려한 식단·생활습관 전략을 개인화한다.
- 스트레스 관리·수면 위생을 통해 체중 설정값을 점진적으로 낮추는 방법을 체득한다.
- 요요를 줄이고 장기 유지가 가능한 루틴(주간 체크리스트·환경 설계)을 확보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덜 먹고 더 움직여라”의 한계 | 의지 기반 접근의 단기성, 체중 조절의 생물학적 전제, 환경·측정의 어려움 |
| 2 | 고전 연구로 보는 체중 변화의 역설 | 교도소 과섭취 실험의 체중 증가 둔화, 미네소타 기아 연구의 급격한 회복(요요) 메커니즘 |
| 3 | 뇌의 체중 설정값과 항상성 | 설정값(set point)의 개념, 에너지 항상성(홈오스테시스), 단기·장기 신호의 통합 |
| 4 | 식욕 호르몬의 작동 원리 | 그렐린(배고픔)·PYY(섭취 신호)·렙틴(지방량 반영)·인슐린 상호작용, 렙틴 저항의 비유와 원인 |
| 5 | 유전·후성유전과 환경 | 쌍둥이 연구의 유전 영향, 기근 경험의 후성유전적 흔적, 현대 환경(가공식품·수면부족)의 역할 |
| 6 | 설정값을 움직이는 생활 전략 | 스트레스 우선 감축, 수면 최적화(수면 시간·일관성), 식단 구성(단순당·단백질·섬유), 주간 실행 체크리스트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로 행동과학 기반 건강·습관 설계 커리큘럼 기획·강의
- · 조직 구성원의 지속 가능한 체중관리를 위한 스트레스·수면·식단 통합 프로그램 다수 운영
- · 과학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복잡한 생리·호르몬 이론을 현업 실행전략으로 전환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