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세대론을 넘어 DEI로: 갈등을 성과로 바꾸는 조직문화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MZ vs 꼰대 프레임 해체: DEI로 세대갈등을 끝내는 법
② 갈등은 콘텐츠, 조직은 성과: 글로벌 스탠다드 DEI 실천
③ 세대 명찰 떼고 역할로 평가하라: 포용문화 구축 로드맵
2. 교육 개요 (Overview)
‘세대 갈등’은 미디어에선 주목을 끌지만, 조직에선 비용입니다. 본 강의는 세대 프레임이 어떻게 선입견을 강화하고 협업을 저해하는지 짚고, 글로벌 기업의 DEI(다양성·형평성·포용) 기준을 바탕으로 역할·능력 중심 평가, 포용 커뮤니케이션 규칙, 데이터 기반 제도까지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실행안을 제공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세대 일반화·희화화의 위험 신호를 식별하고 중단한다.
- DEI 핵심(다양성·형평성·포용)을 채용–평가–보상–리더십에 연결한다.
- 역할·능력 중심으로 전환하는 조직 규칙과 의사소통 프로토콜을 설계한다.
- 세대 담론(트렌드·검색 관심)을 근거 기반 정책으로 번역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라벨링·선입견 감소로 협업 품질·심리적 안전감 향상
- 연차·나이 대신 역할·성과로 평가하는 공정성 체감 증대
- 포용 회의·피드백 문화 정착으로 갈등 비용 절감
- DEI 지표(대표성·공정성·참여도) 기반 지속 개선 체계 구축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왜 세대 갈등이 ‘돈이 되는가’ | 미디어·온라인에서 갈등이 콘텐츠가 되는 메커니즘; 조직 내로 유입될 때의 비용과 리스크 |
| 2 | DEI 핵심 원리 이해 | 다양성·형평성·포용의 차이와 연결; 연령·세대를 포함한 포용 설계의 글로벌 기준 |
| 3 | 세대 명찰 떼기: 역할·능력 중심 전환 | 직무·역할 기반 목표 설정, 역량 매트릭스, 연차·나이 비가시화 평가 체크리스트 |
| 4 | 포용 커뮤니케이션 & 갈등관리 | 회의 규칙(발언 균형·경청·차별어 금지), NVC/SBI 피드백, 리버스 멘토링·혼합 세대 스쿼드 운영 |
| 5 | 제도와 데이터: 공정성 구현 | 채용–온보딩–평가–보상 각 단계 편향 점검; DEI KPI(대표성·공정성·참여)와 펄스서베이 설계 |
| 6 | 실행 로드맵 30·60·90 | DEI 챠터 초안, 교육·캠페인 계획, 현장 가이드(언어 가이드·회의 카드·피드백 템플릿) 배포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 — DEI·조직문화·갈등관리 프로그램 설계/운영
- · 글로벌 기준의 역할·능력 중심 평가체계·포용 커뮤니케이션 도입 컨설팅 다수
- · 데이터 기반 DEI 진단–KPI–실행 프레임 (대표성/공정성/참여 지표)
- · 세대 담론을 실행 정책으로 번역하는 워크숍·리더십 코칭 경험 보유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