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목표·데드라인·피드백: ‘박수칠 때 떠나라’ 커리어 전략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박수칠 때 떠나라: 목표·데드라인·피드백으로 커리어 가속
② 좋아하는 일은 ‘해야만 하는 일’에서 찾는다: 실행형 커리어 설계
③ 리스크는 줄이고 헤저드는 없앤다: 작게 시작해 크게 끝내는 전략
2. 교육 개요 (Overview)
“좋아하는 일은 해야만 하는 일을 해보면 보인다.” 본 강의는 명확한 목표·데드라인 설정, 주기적 피드백 수용, 리스크 vs 헤저드의 구분, 작게 시작·고객 우선 원칙, 그리고 처신과 평판까지 연계해 ‘박수 받을 때 다음 목표로’ 이동하는 커리어 전략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5년·1년·90일 목표·데드라인을 수립하고 일·학습 루틴으로 전환한다.
- ‘해야만 하는 일’ 기반 실험으로 강점·선호를 검증하고 경로를 조정한다.
- 상·하향/수평 피드백 시스템을 운영하며 방어 대신 실행으로 응답한다.
- 헤저드 제거·리스크 최소화 원칙으로 작은 시작과 고객 확보에 집중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모호한 ‘열심’에서 벗어나 기한 있는 성과로 일하는 습관 정착
- 피드백 수용성 향상으로 업무 품질·관계 신뢰 동시 개선
- 사업·사내프로젝트에서 작게 시작→빠른 검증 사이클 내재화
- 평판을 높이는 처신·철학 확립으로 장기 커리어 경쟁력 강화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목표·데드라인 설계 | 5년 학습·관계·성과 지표화 → 1년/분기/주간 캘린더; “박수칠 때 떠나라” 기준·시그널 정의 |
| 2 | 좋아하는 일 찾기: 해야만 하는 일에서 | 일상 과업을 통한 강점·약점 탐색; 동료·상사 피드백 수집; 실험 루프(가설–실행–검토–확장) |
| 3 | 피드백 역량 강화 | 상향/하향/수평 피드백 프로토콜, 방어적 반응 다루기, 회고(레트로) 템플릿, 행동 전환 체크리스트 |
| 4 | 리스크 vs 헤저드 | 헤저드(제거 대상)와 리스크(관리 대상) 구분; 초기 투자 최소화, 스몰 베팅, 실패 비용 한도 설정 |
| 5 | 작게 시작·고객 우선 | MVP/파일럿로 고객 확보→학습; 자격증 vs 사업성 구분; 태도=겉으로 드러난 생각: 사고 재설계 |
| 6 | 처신·평판·철학 | 사회적 처신과 품위, 돈·성장·목표에 대한 개인 철학 정립; 독서 리스트; 떠날 준비 체크리스트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 — 목표설정·피드백·실행 코칭 전문
- · ‘해야만 하는 일’ 기반 경력 설계, 작은 시작·고객 우선 원칙을 현장 적용
- · 리스크/헤저드 구분, 파일럿 운영, 회고 문화 정착 등 실천형 프레임
- · 대기업/스타트업 맞춤 워크숍 다수, 평판·처신 교육과 연계한 커리어 전략 운영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