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여의도에서 통(通)한 백화점 혁신: 더 현대 서울의 역발상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백화점의 무덤’을 부활시키다: 더 현대 서울의 페르소나 공간 전략
② 여의도는 왜 불모지였고, 어떻게 핫플이 되었나: 공간·브랜드·조직의 파괴적 재설계
③ 유리천장과 실내 숲: 매출보다 경험을 택한 리테일 혁신
2. 교육 개요 (Overview)
‘여의도=백화점의 무덤’이라는 통념을 깬 더 현대 서울의 성공 요인을 상권 구조(유입·유출·주말 급감), 공간 문법의 전환(유리 천창·실내 숲·여백), 타깃 전략(MZ·쇼루밍·페르소나 공간), 조직 거버넌스(위임·상향식 의사결정) 관점에서 해부합니다. 팬데믹 시기 오픈에도 폭발적 반응과 “한국 백화점다움을 버리다”라는 외부 평가가 나온 배경을 실행 프레임으로 정리해 현업에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여의도 상권의 구조적 한계(섬·교통·주말 유동 인구 급감)를 진단하고 기회요인을 도출한다.
- 페르소나 공간의 설계 원칙(여백·자연·채광·체류시간)을 이해하고 적용안을 설계한다.
- MZ의 쇼루밍 행동을 전제로 경험→구매 전환을 높이는 콘텐츠·동선·지표를 설계한다.
- 위임·실험 중심의 조직 운영으로 대형 프로젝트에서 공식을 깨는 방법을 체득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매출 중심에서 체류·경험 중심으로 KPI를 재정의해 브랜드 열기와 UGC를 증대한다.
- 공간 여백·자연 요소 도입으로 재방문·동행 방문을 유도하고 주말 약점을 보완한다.
- MZ 타깃의 입소문 메커니즘을 활용해 세대 확산형 트래픽을 창출한다.
- 상향식 의사결정과 실험 포트폴리오로 조직의 민첩성과 혁신 역량을 강화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여의도 상권의 역학 | 섬 지형·교통 병목·주중/주말 인구 급변; 과거 여의도 백화점 실패 요인 재구성 |
| 2 | 공간 문법의 파괴 | 유리창 금기 해제(자연 채광·천창), 실내 숲/폭포/광장, 면적의 절반을 휴식·정원으로 전환 |
| 3 | 페르소나 공간 설계 | 여백이 만드는 자기 투영; 러스틱 취향 반영; ‘머무름’ 동선과 포토 스폿·콘텐츠 큐레이션 |
| 4 | MZ & 쇼루밍 전략 | 방문>구매 전환의 간극; 체험→SNS→온라인 구매의 파이프라인; 팝업·콜라보·체험형 MD |
| 5 | 지표와 운영의 전환 | 매출/坪 → 체류시간·UGC·재방문 지표; 주말/주중 수요 재배치; 이벤트·문화 큐레이션 |
| 6 | 조직 거버넌스 혁신 | “임원이 모르는 것으로 채워라”의 의미; 위임·현장 감수성; 대형 프로젝트의 리스크 관리와 학습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 · 리테일/공간경험/브랜드 전략 프로젝트 다수
- 여의도·더 현대 서울 사례를 기반으로 상권 분석→공간 설계→운영 지표까지 일관 설계
- MZ 트렌드·쇼루밍 행동을 반영한 페르소나 공간 워크숍 운영
- 상향식 의사결정·위임 중심 조직 혁신 코칭 및 KPI 전환 컨설팅 경험 보유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