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악으로 버텨낸 죽음의 스케줄: 태도·집중·가치 선택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죽음의 스케줄’ 생존법: 스킬·리듬·의미를 정렬하라
② 방송사고를 기회로: 20초 위기 스크립트 & 책임 커뮤니케이션
③ 최고의 전문성에서 시작하는 가치 전환: 현장·연민·결단
2. 교육 개요 (Overview)
부산MBC 신입의 학·일 병행, KBS에서의 심야 뉴스–라디오–새벽 뉴스 동시 진행, 위경련과 방송사고 수습, 그리고 아이티 현장이 바꾼 일의 의미까지—김경란 아나운서의 실제 여정을 토대로 버팀(루틴)·수정(피드백)·도약(가치정렬)의 실천 프레임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과부하 속에서도 퍼포먼스×회복을 병행하는 일·수면·호흡 루틴을 설계한다.
- 어미·딕션·톤 등 말버릇 교정을 위한 피드백 시스템을 체화한다.
-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한 20초 위기 스크립트와 마감 멘트를 표준화한다.
-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가치 재정의→결단→전환 로드맵을 그린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과부하 환경에서의 집중·안정 향상 및 실수율 감소
- 짧은 기간 내 스킬 교정 속도와 피드백 활용도 증대
-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책임·투명 메시지 운영 능력 강화
- 가치 정렬을 통한 업무 만족도·지속 동기 상승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초심의 기술: ‘학·일 병행’에서 배운 것 | 야간열차 통학, 매일 낭독·녹음·복기 → 기초체력·루틴화의 힘 |
| 2 | 피드백 시스템: 어미·톤 교정법 | 버릇 진단 → 대안 화법 3~5안 제작 → 녹음 비교 → 멘토 피드백 → 고정 루틴 |
| 3 | 죽음의 스케줄을 버티는 리듬 | 심야·새벽 편성 동시 운영 시 수면·영양·호흡 마이크로 루틴 · 위경련 대응 |
| 4 | 사고는 온다: 5분 전부터의 복구 전략 | 심박 관리, 핵심 문장 축약, 종료 멘트(책임·투명·오류 최소화) 스크립팅 |
| 5 | 의미의 전환: 아이티에서 배운 질문 | 현장 경험 → 직업의 사회적 가치 재정의 · “최고가 되어야 메시지가 닿는다” 통찰 |
| 6 | 결단과 전환: 울타리 밖으로 | 외부의 의심·독설을 버티는 기준, 개인 가치선언·이행 계획 |
6. 실습 과제 (Practice Tasks)
- 버릇 교정 키트: 본인 발표/진행 1분 영상 → 어미·호흡·속도 체크 → 대안 멘트 3안 제작
- 위기 스크립트: “사고 발생 시 20초 대응문” & “마감 멘트” 초안 작성·롤플레잉
- 리듬 설계: 1주 수면·식사·호흡 마이크로 루틴 표 (출근/심야/이동 포함)
- 가치 선언문: 나의 일의 이유 3문장 + 90일 실천 3가지(측정 지표 포함)
7. 강사 소개 (Instructor)
- 김경란 — 前 부산MBC/KBS 아나운서, 뉴스·교양·예능 진행 다수, 현장형 스피치·커뮤니케이션 코치
- 전문 분야: 방송/행사 진행, 위기 커뮤니케이션, 보이스/딕션, 커리어 전환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