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임유정의 실전 스피치: ‘두괄식’과 ‘리듬’ 2대 연습법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두괄식으로 이긴다: 주장 먼저, 근거는 간결하게
② 리듬으로 설득한다: 지식·생각·감정 주파수 맞추기
③ 말은 ‘이타적 기술’: 2인칭 시점과 정보 중심 스토리
2. 교육 개요 (Overview)
스피치는 대화가 아니라 설계된 전달입니다. 본 강의는 임유정 대표의 핵심 원칙을 토대로 반드시 연습해야 할 두 가지—① 두괄식 논리(주장→근거), ② 청중 리듬 매칭(지식·생각·감정)—을 실습형으로 훈련합니다. 스크립트를 음성→텍스트로 전환해 군더더기와 미괄식을 교정하고, 문장을 짧게 잘라 발음·호흡을 안정화합니다. 또한 2인칭 시점으로 정보를 채워 청중이 “듣고 싶어 하는 내용”을 정확히 제공하는 법을 익힙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어떤 발표도 핵심 메시지 3개로 요약하고 두괄식 구조로 재배열한다.
- 주장–근거 프레임과 짧은 문장으로 호흡·딕션을 안정화한다.
- 2인칭 시점으로 정보(이름·특징·가격·주차/예약 등)를 채워 설득력을 높인다.
- 청중의 지식·생각·감정 리듬을 진단해 메시지 톤·내용·순서를 조정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보고·제안·세일즈 발표의 이해도·기억도 향상(각인형 메시지)
- 군더더기·미괄식 감소로 시간 단축 및 메시지 명료도 상승
- 청중 관점 정보 설계로 질문·이견 감소, 합의 속도 증대
- 개인 음성→텍스트 교정 루틴 정착으로 지속 개선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두괄식의 힘 | “핵심 먼저, 설명 나중” · 미괄식의 위험 · 핵심 3개 각인 전략(키워드/센텐스) |
| 2 | 주장–근거 프레임 실습 | 보고 문장 전환(“부산 공장 이슈 → 해결 완료”) · 근거 세팅 · 반복 배치로 각인 |
| 3 | 스크립트 교정 루틴 | 음성→텍스트 변환으로 군더더기 가시화 · 끝문장 앞으로 이동 · 문장 짧게 자르기 |
| 4 | 2인칭 시점 & 정보 설계 | 청중이 궁금한 것(이름·특징·가격·주차/예약) 체크 · 독백→스피치 전환 |
| 5 | 리듬 매칭: 지식·생각·감정 | 용어 수준 맞춤(지식) · 맥락 연결 질문(생각) · 공감 문장 삽입(감정) |
| 6 | 현장 적용 & 체크리스트 | 자사 발표문 리라이팅 · 2분 발표 촬영–피드백 · 개인 루틴·템플릿 배포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기업 강의·코칭 15년 · 보이스 트레이닝·스토리텔링·프레젠테이션 설계
- 두괄식·2인칭 시점·리듬 매칭 기반 현장형 스피치 프로그램 운영
- 공공·기업·대학 대상 보고/세일즈/면접 성과 중심 커리큘럼 다수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