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논문으로 육아하고 웹툰으로 버틴다: 닥터베르의 창작·동기·회복탄력성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연구·육아·창작이 만나는 지점
② 증거기반 스토리텔링: 논문이 만든 웹툰의 설득력
③ 번아웃과 암을 넘어: 끊김 없이 완결하는 회복탄력성
2. 교육 개요 (Overview)
네이버 웹툰 〈닥터앤닥터 육아일기〉의 창작 배경을 통해 증거기반(논문 레퍼런스) 콘텐츠 제작, 경력 단절의 전환, 양육·창작 병행, 그리고 위기 극복(번아웃·암 진단)에서의 실천 전략을 공유합니다. 동물 캐릭터 설계부터 자료조사, 창작 루틴, 휴재 없는 완결까지 실행 가능한 노하우를 제공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 논문·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뢰도 높은 스토리텔링 기법을 습득한다.
· 육아·학업·업무 병행을 위한 시간 구조화·협업 인수인계 방법을 설계한다.
· 번아웃·질병 상황에서 창작/업무를 지속하는 회복탄력 루틴을 구축한다.
· 개인 경험을 공감 콘텐츠로 변환하는 캐릭터·연출·윤리 가이드를 적용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 검증 가능한 레퍼런스 체계로 콘텐츠 신뢰도·브랜딩 강화
· 병행 과제의 지속 가능 루틴 확보(기록·차트·인수인계 시트 활용)
· 위기 상황에서도 마감 준수·완결률 향상
· 개인 스토리를 안전하게 공유하는 윤리·프라이버시 기준 확립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프로젝트의 출발: 왜 ‘닥터앤닥터’였나 | 의사 엄마×공학 박사 아빠 설정 · 동물 캐릭터 채택 이유 · 독자 공감 포인트 정의 |
| 2 | 증거기반 스토리텔링 | 논문 레퍼런스 수집·판독·표기법 · 임신·출산·육아의 유언비어 구별 프레임 · 신뢰 언어 |
| 3 | 육아×창작 병행의 운영체계 | 수면·수유·컨디션 차트화 · 부부 인수인계 시트 · 집·일 분리와 루틴 설계 |
| 4 | 경력 단절의 피벗 | 학위 중단·복귀 의사결정 · 지원서 공백기 서술법 · 전공→웹툰으로의 스킬 전이 |
| 5 | 번아웃·질병을 넘는 마감 관리 | 에너지 예산화 · 무휴재 전략 · 병원·치료 스케줄과 마감 동기계(왜 그려야 했는가) |
| 6 | 실습 & 윤리 | 나의 경험 4컷 구성 실습 · 가족 프라이버시 가이드 · 건강 상황 공개의 범위와 언어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닥터베르(이대양) 작가 — 네이버 웹툰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연재, 높은 공감과 화제성
· 전공: 에너지 시스템 공학(박사 과정 경험) · 산부인과 전문의 배우자와의 논문 기반 육아 실천
· 동기부여·열정·도전·육아·창의·상상력·웹툰 등 다양한 주제 기업/공공 강연 진행
· 항암 치료 기간에도 휴재 없이 완결 — 회복탄력성·지속성의 실제 사례 전달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