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고사로 배우는 인재경영: 숨은 인재를 발견하고 ‘보이지 않는 공로’를 보상하는 법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부정조에서 소아까지: 고사로 설계하는 현대 인재 시스템
② 진짜 보물은 사람이다: ‘제위과보’로 재정의하는 HR
③ 보이는 공·보이지 않는 공: 운영을 영웅화하는 보상 설계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부정조·몽득부열·판축반우·제위과보·유방과 소아 등 고사(故事)를 통해 숨은 인재 발굴, 등용의 타이밍, 현장 중심의 평가, ‘보이지 않는 공로’ 보상 원리를 현대 HR에 접목합니다. 직군·신분·가시성과 무관하게 가치 창출을 정밀하게 측정·보상하는 체계를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고사 사례를 HR 관점으로 재해석해 인재 발굴·평가·보상 프레임을 설계한다.
- 탐색→검증→등용의 타이밍을 조직 현실에 맞게 프로세스화한다.
- 현장·후방의 보이지 않는 공로를 수치화하는 KPI/OKR를 적용한다.
- 문화·제도 관점에서 편견 최소화·장기 신뢰 기반의 인사 운영을 정착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직무·직급 편견을 줄여 숨은 핵심 인재의 발견·승격 속도가 빨라진다.
- 가시성과 무관하게 기여도 기반 보상이 이뤄져 조직 내 공정성이 강화된다.
- 현장 운영(후방)의 가치가 제도에 반영되어 전체 성과가 상승한다.
- 단기 영웅담 중심의 평가에서 지속가능한 시스템 성과 평가로 전환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부정조(負鼎俎): 직업·신분을 넘어 ‘일의 본질’로 보기 | 이윤 사례로 본 편견 최소화 · 직무 무관 핵심 역량 시그널 정의 · 현장 제안제 설계 |
| 2 | 몽득부열(夢得傅說): 인재 탐색과 등용의 타이밍 | 탐색→검증→설득(Stakeholder)→등용 단계화 · 3년의 설득을 현대 조직정치로 번역 |
| 3 | 판축반우(版築斑牛): 현장 속 숨어 있는 인재 | 블루칼라/백오피스의 기여도 가시화 · 그림자 업무(Shadow Work) KPI 도입 |
| 4 | 제위과보(齊魏誇寶): ‘보물=사람’ 프레임 | 자산 vs 인재 ROI 비교 · 채용보다 내부 전환/리스킬의 수익률 · 인재 포트폴리오 |
| 5 | 유방과 소아(蕭何): 보이는 공 vs 보이지 않는 공 | 후방/운영의 가치 측정 · 공급망·준비도·리스크 완화 지표화 · 보상 등급 설계 |
| 6 | 실행 워크숍: 우리 조직 맞춤 HR 설계 | 편견 점검 체크리스트 · 익명 추천/사내 스카우트 · 보이지 않는 공로 KPI·OKR 템플릿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15년 차 기업 교육 컨설턴트 · 인재 발굴·평가·보상 체계 설계 전문가
- 고사(부정조·몽득부열·제위과보·소아)를 현대 HR 프레임으로 재구성
- 제조·유통·IT·공공기관 대상 현장 중심 HRD/HRM 프로젝트 다수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