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공채 이후의 시대: 핵개인과 전문직화 전략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공채가 사라진다: 모든 직무의 전문직화와 핵개인의 부상
② 자동화 이후의 일: ‘영입’ 시대에 통하는 포트폴리오 전략
③ 규칙에서 원칙으로: 핵개인의 의사결정과 커리어 설계
2. 교육 개요 (Overview)
자동화·플랫폼 전환으로 일반 사무의 효율화가 가속화되며, 채용은 공채 → 영입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송길영 박사는 이를 “거의 모든 분야의 전문직화”로 설명하며, 개인은 조직 규칙의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핵개인(주체적 의사결정권을 가진 개인)으로 전환해야 지속 가능한 경력을 설계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본 강의는 핵개인의 관점에서 채용·조직·관계·시간 관리까지 실천 전략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공채 축소와 전문직화 트렌드의 원인을 이해하고 조직 변화의 논리를 설명한다.
- 핵개인의 의사결정 프레임과 ‘규칙 준수 → 원칙 기반’ 전환 방법을 습득한다.
- 영입 시대에 맞는 증명 가능한 역량(포트폴리오·성과 사례) 설계 기법을 익힌다.
- 시간·주의력·관계의 자기 자원 배분 전략으로 소모를 줄이고 집중을 높인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조직/개인 차원의 채용·육성 전략을 재정렬하여 전문성 중심 문화 정착
- 지원자가 아닌 영입 대상으로서의 자기 증명 체계를 구축
- 팀 의존을 줄이고 자립형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 생산성 향상
- 과잉할 일 줄이고 핵심에 집중하는 우선순위·시간 운영 능력 강화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왜 공채가 줄어드는가 | 업무 자동화·플랫폼화의 파급 / 일반사무 축소와 전문직화 진행 / 산업별 사례(물류·자율주행 등) |
| 2 | 공채 → 영입: 채용 패러다임 전환 | 스펙·태도 중심에서 문제 해결 증명 중심으로 / “오셔서 뭘 할 건가”를 설계·증명하는 법 |
| 3 | 핵개인의 정의와 의사결정 | 규칙(관습) 추종 vs 주체적 선택 / 관계·가족·일상의 원칙 설정(사전 합의·맞춤 기준) |
| 4 | 포트폴리오·케이스 스터디 구축 | Before→After 성과 스토리 / 지표·산출물·레퍼런스 / 도메인 깊이와 전문화 로드맵 |
| 5 | 시간·주의력·관계의 재설계 | 전 과목 만능주의 버리기 / 빼기 전략과 집중 포인트 / 일·관계 캘린더링과 협업 경계 세우기 |
| 6 | 초년생·리더를 위한 실행 안건 | 초년생: 90일 학습·성과 미션 / 리더: 영입형 채용·멘토링 전환 / 팀의 의존성→자립성 전환 플랜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송길영 박사 — 빅데이터·미래 트렌드·디지털 전환 분야 강연 다수
- “공채 축소·전문직화·핵개인” 흐름을 데이터 인사이트로 해설
- 조직의 채용·육성 체계를 영입 중심으로 재설계하는 실천 지침 제시
- 개인의 포트폴리오 구축·시간/관계 설계 등 즉시 적용 가능한 프레임 전달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강연 영상 등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