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나를 망치는 부정적인 생각에서 해방되는 법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냉소를 이기는 뇌: 부정적 생각에서 벗어나기
② 터널 시야를 여는 법: 뇌과학으로 배우는 회복과 친절
③ 시니컬의 덫을 끊고 성장을 선택하는 기술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장동선 박사님의 강연 내용을 토대로, 냉소주의가 형성되는 뇌과학적 메커니즘과 만성 스트레스·번아웃이 가져오는 터널 시야 현상을 설명합니다. 더 나아가 냉소가 개인의 건강·협업·성과에 미치는 파급을 점검하고, 친절·연대·의미 찾기를 통해 부정적 패턴을 끊는 실천 전략을 제시합니다. 조직·학교·공공기관에서 실행 가능한 행동 처방을 중심으로 구성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스트레스·번아웃이 뇌에 유발하는 방어기제와 인지 편향(터널 시야)을 설명한다.
- 냉소적 태도가 건강·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와 연구로 분석한다.
- 인지 재평가·주의 재배치·감정 라벨링 등 실천 기술을 적용해 부정적 패턴을 약화한다.
- 친절·연대 행동을 일상 루틴으로 설계해 회복력(Resilience)을 증진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개인 차원에서 부정적 자동 사고를 인지·행동 기술로 제어하고 정서 균형을 회복한다.
- 팀 차원에서 시니컬 커뮤니케이션을 감소시키고 협업 효율과 신뢰가 향상된다.
- 조직 차원에서 감사·친절·피드백 루틴을 통한 심리적 안전감이 강화된다.
- 성과 차원에서 몰입과 생산성이 개선되고, 결근·이직·갈등 비용이 감소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냉소주의의 탄생: 뇌의 자기보호 | 지속 스트레스→번아웃→터널 시야 형성 / “보이고 싶은 것만 보는” 모드와 학습 차단 메커니즘 |
| 2 | 건강 영향: 염증과 인지의 악순환 | 냉소적 태도와 염증 인자 상승, 심혈관·인지 기능 리스크 / 부정성 편향의 강화 루프 |
| 3 | 성과 영향: 협업과 소득의 상관 | 시니컬함과 협업 회피·성과 저하 / 태도-소득 격차 연구 시사점 / 조직 내 ‘사이다 멘트’의 비용 |
| 4 | 전환 기술 1: 인지·정서 개입 | 감정 라벨링, 인지 재평가, 주의 재배치, 미디어 다이어트 / 트리거 매핑과 마이크로 해빙(Micro-Defrost) |
| 5 | 전환 기술 2: 친절·연대의 신경화학 | 친절 행동과 세로토닌·도파민 강화 / 심박·혈관 지표 개선 사례 / 팀 적용: 감사 루틴·피드백 언어 |
| 6 | 실습: 21일 안티-시니컬 루틴 설계 | 개인 실행계획(아침·업무·퇴근·주간 점검) / 거절과 경계 세우기 / 의미 찾기 저널·연대 행동 챌린지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장동선 박사 — 뇌과학 기반의 동기부여·삶의 자세·자기계발 강연 전문가
- 냉소주의·번아웃·회복력에 관한 과학적 설명을 일상 언어로 연결하는 전달력
- 빅터 프랭클의 의미 중심 관점과 최신 뇌과학을 접목한 실천적 접근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