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메타버스로 확장하는 리더십과 비즈니스: 기술·동기·소통의 융합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메타버스, 구체화된 인터넷: 트렌드×동기부여로 만드는 조직의 다음 챕터
② IT·디지털 트렌드와 김미경식 소통의 만남: 메타버스 실전 로드맵
③ 싸이월드에서 제페토까지: 기술 진화와 아바타 시대의 리더십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이임복 대표의 IT·디지털·미래기술 인사이트와 김미경 대표의 동기부여·소통·자기계발 노하우를 결합해 메타버스를 비즈니스·교육·조직문화에 적용하는 실행 전략을 제시합니다. “메타버스=디지털을 통해 만나는 구체화된 인터넷”이라는 관점으로, 강연·쇼핑·협업·브랜딩 활용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아바타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커뮤니케이션을 체득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메타버스의 본질(플랫폼·기술·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조직 맞춤 Use Case를 도출한다.
- 아바타 기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한 소통·교육·마케팅 시나리오를 설계한다.
- 디지털 전환 격차(‘렉’)를 줄이는 러닝 루틴과 도입 로드맵을 수립한다.
- 메타버스 시대 리더에게 필요한 동기부여·경계 설정·관계 운영 스킬을 적용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강의·세미나·온보딩을 메타버스 실습형으로 전환, 참여도·몰입도가 향상된다.
- 아바타 굿즈·라이브커머스 등 신규 수익 모델과 브랜드 경험이 확장된다.
- 재택·분산 환경에서 협업·면접·상담 프로세스가 표준화된다.
- 구성원의 디지털 자신감과 리더의 동기·소통 역량이 동시 강화된다.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메타버스의 정의와 진화 | “구체화된 인터넷” 관점 · 싸이월드→모바일→메타버스 흐름 · 코로나가 앞당긴 디지털 전환 | 
| 2 | 플랫폼 지형과 기능 맵 | 강연형/소셜형/커머스형 플랫폼 비교(아바타 상호작용, 인원·기능 한계) · 스마트 글래스 등 인접 기술 이해 | 
| 3 | 교육·세미나의 메타버스 전환 | 댓글 중심 한계 극복 · 손들기/이모션/소그룹 분반 운영 · 멀티 룸 동시 강의와 다국어 확장 아이디어 | 
| 4 | 쇼핑 & 브랜드 경험 설계 | 아바타 굿즈·스킨 경제 · 제페토·메타 공간 내 라이브커머스 · 입어보기/체험 기반 퍼널 설계 | 
| 5 | 조직 협업·채용·상담의 혁신 | 재택 협업 공간(개더타운 등) · 면접/상담 시나리오 · 디지털 에티켓과 데이터 보안 가이드 | 
| 6 | 김미경식 동기·소통 적용 | 아바타 시대 경계 설정과 정보 관리 · 참여를 끌어내는 질문·피드백 · 렉 방지 러닝 루틴 만들기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이임복 — IT·디지털·트렌드·미래기술 전문가, 4차산업·로봇·디지털 기술 기반 메타버스 활용 컨설팅
- 김미경 — 소통·동기부여·자기계발 명강사, 메타버스 강연·학습 경험 설계 및 대중 동기화에 특화
- 기업 맞춤 메타버스 적용 로드맵(교육·커머스·브랜딩·협업) 공동 설계 및 실습 운영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
계속 답변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