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교육 강의 · 불편한 말에 용기있게 나서는 법
1. 강의명 (Title)
소통 · 커뮤니케이션 · 조직문화
① 불편한 말의 정체
② 용기 있는 발언의 힘
③ 직장 내 건강한 피드백 문화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대화 훈련가 박재연 소장의 실제 사례와 연구를 바탕으로 불편한 말에 대처하는 방법과 용기 있는 발언의 중요성을 다룹니다. 직장 내 상하 관계와 동료 간 피드백 문화를 건강하게 만들며, 듣기 힘든 말, 맞지만 불편한 말을 대화로 풀어내는 방법을 배웁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불편한 말의 종류와 영향 구분하기
- 맞는 말이지만 불편한 경우 대처법 학습
- 조직 내 건강한 소통과 피드백 문화 정립
- 개인 내면의 정의·진정성과 연결된 대화 이해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불편한 상황에서도 용기 있게 발언하는 능력 강화
- 상대방을 보호하면서도 필요한 메시지 전달 가능
- 자기 인식 기반의 건강한 커뮤니케이션 습득
- 조직 내 신뢰 자본 축적과 관계 개선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불편한 말의 네 가지 유형 | 듣기 힘든 말 / 필요 없는 말 / 듣기 쉬운 말 / 듣기 좋은 말 |
| 2 | 맞지만 불편한 말 | 내 죄책감·신념을 건드리는 말 / 명상적 알아차림 훈련 |
| 3 | 용기 있는 발언 | 정의 구현 / 자아 표상 강화 / 자기 목소리의 중요성 |
| 4 | 조직 내 사례 분석 | 직장 내 성차별 발언 대응 / 신뢰 자본 회복 |
| 5 | 공감과 이성의 균형 | 비행기 원칙: 감정 공감 + 합리적 선택 / 평화적 대화 태도 |
| 6 | 실습과 피드백 | 불편한 말 대응 롤플레잉 / “옳은가?”보다 “필요한가?” 점검 |
6. 실천 도구 (Toolkit)
- 불편한 말 체크리스트: 유형별 분류와 대처법
- 자기 인식 저널: 감정-이유-대처 기록
- 대화 행동 가이드: 발끈 대신 웃음, 인정, 질문
- 조직 피드백 매뉴얼: 존중 기반의 피드백 원칙
7. 실습 과제 (Practice)
- 최근 들은 불편한 말 기록 및 감정 분석
- “맞지만 불편한 말”에 인정+공감 대화 실습
- 조직 내 문제 상황 롤플레잉 후 피드백 공유
8. 강사 소개 (Instructor)
- 박재연 소장 · 대화 훈련가 · 조직 커뮤니케이션 전문가
- 전문 분야: 소통, 피드백, 갈등관리, 자녀교육, 동기부여
- 기업·공공기관 대상 소통·커뮤니케이션 강의 다수 진행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