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감정의 원심력·구심력과 문화적 차이
1. 강의명 (Title)
감정심리 · 문화심리 · 소통
① 분노·원망의 뿌리 이해하기
② 원심력·구심력: 감정의 두 축
③ 문화적 차이 속 감정 표현과 공감
2. 교육 개요 (Overview)
분노는 독립적 감정보다는 충족되지 않은 욕구에서 비롯된 세컨더리 모션으로 설명됩니다. 강의는 원심력(타인 지향 감정)과 구심력(자기 지향 감정)의 구도를 통해 감정의 뿌리를 해석하고, 문화적 가치관·교육·판단 체계에 따라 감정 경험과 표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구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분노를 비롯한 감정의 이차적 본질 이해
- 원심력·구심력 구도를 통한 감정 분석 능력 습득
- 문화적 맥락에서 감정 경험 차이 인식
- 타 문화권과의 감정 소통·공감 능력 향상
- 감정 관리·표현 전략 수립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분노를 욕구 불충족 신호로 재해석
- 가까운 관계에서 생기는 분노의 맥락적 이해
- 문화적 차이에 따른 감정 표현 다양성 존중
- 감정 관리 기술과 갈등 완화 실천력 강화
- 조직·사회 내 공감적 소통 환경 조성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감정의 본질 | 신체 감각 + 생각·판단·가치관 → 감정 형성 / 문화적 요인 영향 |
| 2 | 분노의 구조 | 세컨더리 모션 / 충족되지 않은 친밀 욕구에서 비롯 / 타인 원망·자기 욕구의 결합 |
| 3 | 원심력 vs 구심력 | 원심력: 타인 지향·분노 / 구심력: 자기 지향·섭섭함 / 구심력이 더 원초적 |
| 4 | 문화적 차이 | 한국 vs 타 문화권 / 분노·원망 강도 차이 / 구심력 감정(속상함·섭섭함)의 강조 여부 |
| 5 | 사례 탐구 | 가까운 관계에서의 분노 지속 / 일상적 모욕 vs 친밀 관계 상처의 차이 |
| 6 | 응용과 실천 | 분노 관리 전략 / 문화 간 감정 이해 훈련 / 소통·공감 능력 향상 프로그램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문화심리학·감정 연구 기반 강의 진행
- 감정 관리·분노 조절·공감 소통 전문 강연 경험
- 다양한 조직에서 문화적 감정 차이 적용 사례 연구
※ 본 강의계획서는 감정의 원심력·구심력 개념과 문화적 차이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직 특성·참여자 성격에 맞춰 사례와 훈련 방법이 조정됩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