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리더의 태도: 성과, 역할, 그리고 시대정신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리더의 태도: 성과 이후의 자리 내려놓기
② 무능보다 위험한 부도덕: 시대정신과 리더십
③ 리더십의 본질: 역할 수행과 공동 목표 조정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리더십을 카리스마적 개인이 아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태도’로 재해석합니다. 성과 달성 이후 물러날 시점, 어니스트 셰클턴의 사례, 그리고 현대 기업에서 무능함과 부도덕의 관계를 분석하며 리더의 태도가 왜 중요한지 살펴봅니다. 특히 윤리·진정성이 결여된 리더십이 조직과 사회에 미치는 파급을 점검하고, 시대정신에 맞는 태도 중심 리더십을 제안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성과 중심이 아닌 역할 중심 리더십의 본질을 이해한다.
- 성과 이후 물러날 시점과 ‘리더의 교체’ 필요성을 사례로 학습한다.
- 무능과 부도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윤리적 리더십 기준을 제시한다.
- 개인 태도·조직 문화·사회적 기대를 연결하는 리더십 모델을 수립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태도 중심 리더십의 핵심 개념과 적용 가능성 체득
- 성과 이후 리더십 전환(물러남·새로운 무대 도전) 전략 학습
- 윤리·진정성 결여가 조직 무능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이해
- 개인 성장·조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리더십 모델 정립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리더십의 역사적 관점 | 칼라일·플라톤식 리더상 vs. 현대의 복잡성 / 리더십 패러다임 변화 |
| 2 | 성과와 역할 중심 리더십 | 성과 달성 후 물러나는 용기 / 무하마드 알리·유튜버 사례 / 드러커 인용 |
| 3 | 셰클턴의 리더십 | 남극 탐험 실패·성공 이중성 / 팀원 생존을 최우선한 태도 / ‘산 당나귀’ 교훈 |
| 4 | 무능 vs. 부도덕 | 윤리·진정성 결여가 곧 무능 / 엔론 사태 분석 / 시대정신과 조직 문화 |
| 5 | 리더의 태도와 자기 성장 | 팔로우십→셀프 리더십→리더십→태도 / 렌즈 6개 / 태도의 지속적 훈련 |
| 6 | 인생 주기와 리더십 | 20대·30대·40대·50대 투자-성과 주기 / 멀리 보는 삶 / 노력과 행복의 전파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리더십·팔로우십·셀프 리더십 전문 연구자 및 저술가
- · 『리더의 태도』 저자: 태도 중심 리더십을 제시
- · 24년 직장 경험 후 다양한 무대에서 리더십 확장 활동
- · 윤리·진정성을 리더십 핵심 요소로 연구·강연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강연, 저서 등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시 내용은 일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