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인간을 이해하는 AI: 뇌과학×공학×인문학의 만남

이상완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83

강연내용 소개
본 특강은 뇌과학의 질문으로 출발해 인공지능 기술로 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인간 지능이 문제를 어떻게/왜 해결하는가를 탐구합니다. 인과관계 인식과 상호작용 전략, 데이터 편향의 위험과 안전장치, 비서형 AI·증강 인류의 가능성, BCI/AR·VR 기반 메타버스 응용까지 아우르며, 인간을 대체하는 AI가 아니라 인간을 이해·공감하는 AI로의 전환 전략을 제시합니다.
강연분야

4차산업( 4차산업, IT, Ai(챗 GPT), 미래기술, IT트렌드, 뇌과학 )

경영( 리더십 )

교육( 자녀교육 )

주요학력
- Caltech Della Martin Scholar
- MIT Postdoctoral scholar
- KAIST 전기전자공학 박사
주요경력
- KAIST 뇌인지과학과/바이오및뇌공학과/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AI대학원 부교수
- KAIST 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장
- KAIST 인공지능연구소 겸임교수
- KAIST 헬스사이언스 연구소 겸임교수
- 파이낸셜 뉴스 전문가 칼럼 [이상완의 AI전망대]
강연주제
-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 인공지능 시대의 리더십
- 로봇이 인공지능처럼 생각할 때
- 인공지능과 IT
- 딥러닝, 생성 인공지능, 챗GPT, 알파고
- 초거대 인공지능 시대의 인사이트
- 인공지능은 인간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 인공지능은 뇌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 Chat GPT/GPT4와 알파고의 시대, 초거대 인공지능은 뇌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 챗GPT와 알파고, 초거대 인공지능은 인간지능을 대체하는가?
- 인공지능과 인간지능의 차이점 / 인공지능과 뇌과학
- 지능의 7대 불가사의
- 뇌기반 인공지능
- 뇌의 알고리즘: 메타인지와 강화학습
- 우리가 모른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문제들
- 딥시크
주요저서
갤러리
강의계획서 | 인간을 이해하는 인공지능: 뇌과학과 공진화의 시대

강의계획서 · 인간을 이해하는 인공지능: 뇌과학과 공진화의 시대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인간을 이해하는 AI: 뇌과학×공학×인문학의 만남

② 편향을 넘어 공감으로: 공진화하는 인간-인공지능

③ BCI·메타버스 시대의 전략: 대체가 아닌 증강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특강은 뇌과학의 질문으로 출발해 인공지능 기술로 답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인간 지능이 문제를 어떻게/왜 해결하는가를 탐구합니다. 인과관계 인식과 상호작용 전략, 데이터 편향의 위험과 안전장치, 비서형 AI·증강 인류의 가능성, BCI/AR·VR 기반 메타버스 응용까지 아우르며, 인간을 대체하는 AI가 아니라 인간을 이해·공감하는 AI로의 전환 전략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뇌과학 관점에서 인간 지능의 핵심 메커니즘(인과 인식·전략 탐색)을 설명한다.
  • AI 편향의 원인과 완화 프레임(데이터·모델·거버넌스)을 설계한다.
  • 비서형·공감형 AI를 활용해 업무를 증강하는 실천 시나리오를 도출한다.
  • BCI/AR·VR 접목 시 윤리·안전 고려사항과 조직 적용 로드맵을 수립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사람-기계 협업을 전제로 한 제품·업무 기획 역량 강화
  • 편향 리스크 감소 및 책임있는 AI 운영 체계 내재화
  • 비서형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창의성 동시 향상
  • BCI/메타버스 활용 포트폴리오와 윤리 가이드를 통한 미래 준비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모듈주제핵심 내용
1인간 지능을 묻다뇌과학의 질문과 AI의 답 / 인과관계 인식·상황 파악 / 상호작용 기반 전략 탐색(알파고 사례 맥락)
2AI의 장점·한계, 그리고 편향데이터에 스며든 편견의 악순환 / 공정성·설명가능성 기본기 / 조직 내 편향 점검 체크리스트
3비서형·공감형 AI 활용자비스형 제안 엔진의 현재 가능/불가능 / “대체”가 아닌 “증강” 워크플로 설계 / 공감형 인터랙션 원칙
4BCI·AR/VR·메타버스의 접점뉴럴링크 논의: 뇌-읽기(BCI) vs. 뇌-쓰기의 난제 / AR·VR로 확장되는 경험 / 안전·프라이버시 고려
5공진화(Co-evolution) 전략사람을 “이기는” AI가 아닌 “이해하는” AI / 특이점 우려를 낮추는 설계 철학 / 사람 중심 거버넌스
6현업 적용 로드맵Pilot→Scale 프레임 / 편향 완화·윤리 심의 프로세스 / BCI·메타버스 PoC 기획 템플릿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뇌과학 기반 인공지능 연구자: 인간 지능 이해를 위한 AI 모델링·실험 설계
  • · 편향·공정성·설명가능성 등 책임있는 AI 프레임 구축 경험
  • · BCI/AR·VR 응용과 비서형 AI 도입 컨설팅(공공·기업 PoC 다수)
  • · 인문학×뇌과학×공학의 융합 관점으로 공감형 AI·공진화 전략 제시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