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위기를 먼저 감지하는 리더, 꼰대가 되지 않는 리더십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선제 대응의 리더십: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관찰·시스템·태도
② 꼰대 탈출 가이드: 자기중심성에서 개방성으로
③ 본질로 돌아가는 리더십: 트렌드에 흔들리지 않는 핵심
2. 교육 개요 (Overview)
본 강의는 시대·트렌드에 좌우되지 않는 리더십의 본질을 다룹니다. 위기를 ‘닥친 뒤’가 아닌 ‘오는 순간’ 미리 포착하고, 현장의 데이터·관찰·직원 감(感)을 연결하는 조기 경보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동시에 리더를 무능하게 만드는 자기중심적 태도(소위 ‘꼰대성’)을 진단·교정하여, 구성원이 반응하는 개방·호기심 기반 리더십으로 전환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위기 조기 탐지와 선제 대응을 위한 관찰·지표·현장 신호 체계를 설계한다.
- 자기중심성을 줄이고 개방성·호기심을 높이는 리더 태도를 실천한다.
- 현장 의견·데이터를 연계하는 의사결정 루프를 구축한다.
- 구성원의 신뢰와 몰입을 이끄는 피드백·코칭 대화법을 적용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경쟁사 대비 한 분기 빠른 리스크 포착 및 손실 최소화
- 데이터·현장 관찰 기반 객관적 의사결정 문화 정착
- ‘꼰대성’ 감소로 심리적 안전감·소통 품질 향상
- 코칭형 리더십 확산에 따른 성과·참여도 동시 개선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리더십의 본질 재정의 | 트렌드 불문 리더 핵심 역할 / 본질·태도·시스템의 균형 / ‘감’ 의존의 위험 |
| 2 | 위기 조기 경보(early warning) 설계 | 현장 신호 수집(직원 감·관찰) / 선행지표·후행지표 / 분기 선제대응 체크리스트 |
| 3 | 관찰의 기술: 강박 수준의 디테일 | 현상→의미→대응 시퀀스 / 일일 관찰 루틴 / 리더의 현장 동선 재설계 |
| 4 | 꼰대성 진단과 디버깅 | 자기중심성 체크리스트 / 개방성·호기심 확장 과제 / ‘안 해본 것’ 시도 설계 |
| 5 | 데이터×현장 의사결정 루프 | 현장 피드백 수집→가설→실험→리뷰 / 회의·보고 포맷(1P 요약, 리스크맵) |
| 6 | 코칭형 대화와 신뢰 구축 | 개방형 질문·라벨링·피드백 프레임 / 심리적 안전감 조성 / 행동변화 촉진 스크립트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위기 조기 탐지·선제 대응 체계를 기업 현장에 적용한 리더십 컨설팅 경험
- · 자기중심성→개방성 전환 코칭으로 팀 소통·성과 개선 사례 다수
- · 데이터와 현장 관찰을 결합한 의사결정 루프 설계·운영
- · 실습 중심 코칭 대화법으로 교육 후 현업 적용률 제고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