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점수보다 달란트: 나의 강점으로 먹고 사는 법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코로나 이후, 진로 재설계: 취·창·인(취업·창업·인생) 역량 로드맵
② 대학 이후가 진짜 시작: 미래 산업 기준으로 진로를 정하라
③ 점수보다 달란트: 나의 강점으로 먹고 사는 법
2. 교육 개요 (Overview)
진로 교육은 좁은 직업 교육이 아니라 넓은 진로 역량·인생 교육입니다. 목적지(비전), 길(산업 선택), 자동차(역량), 면허(자격)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전 운전 실력과 내비게이션(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필요합니다. 코로나로 가속된 산업 변화·채용 방식 전환·저출산·고령화 속에서, 대학=목표가 아닌 취업/창업 성공을 위한 현실적 진로 설계를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코로나·4차 산업·인구구조 변화에 맞는 미래 직무 지도를 이해한다.
- 대학·전공 선택을 넘어 취업/창업 역량(말하기·경청·재테크·디지털·포트폴리오)을 구체화한다.
- 개인 달란트(강점·성향)를 진로와 연결하는 포지셔닝을 설계한다.
- 멀티 인재 채용 트렌드에 맞춘 현실적 준비 로드맵을 수립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전통 직무 의존에서 벗어나 신성장 산업(AI·데이터·그린·K-콘텐츠 등) 중심의 경로 재설계
- 학력 중심 사고에서 역량·포트폴리오 중심으로 전환, 채용 적합도 향상
- 달란트 기반 개인 브랜드 정립 및 수익모델 다각화
- 대학 선택의 현실적 기준과 비대학 경로의 실행 가이드 동시 확보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왜 지금 진로 재설계인가 — 5가지 이유 | ①장기 저성장·채용 방식 변화 ②코로나가 촉발한 디지털 전환 ③저출산·고령화 가속 ④학업 성적≠인생 성적 ⑤대학은 수단, 목표는 취·창업 |
| 2 | 도로 비유로 보는 진로 | 목적지(비전)·길(산업)·자동차(역량)·면허(자격)·내비(데이터) 정렬 / 자격증보다 실전 역량 |
| 3 | 사라지는 일 vs 생겨나는 일 | 전통 직무 리스크(오프라인·단순업무) / 성장 분야(AI·빅데이터·5G/6G·그린·K-콘텐츠/푸드/웹툰) 사례 |
| 4 | 멀티 인재 시대의 준비법 | 말하기·경청·외국어·디지털 리터러시·디자인 씽킹 / 포트폴리오·사이드 프로젝트 설계 |
| 5 | 대학 전략 vs 비대학 전략 | 대학 선택 5가지 근거(소득·선호·지식·탐색·융합 난이도) / 비대학 경로(부트캠프·자격·현장경험) 병행 로드맵 |
| 6 | 달란트 포지셔닝 & 커리어 머니플랜 | 강점/성향 진단→직무 매칭 / 재테크 기초·리스크 관리 / 6개월–2년 실행 계획(OKR·지표·리뷰)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 청소년·청년 대상 진로·취창업 강의 다수 — 산업 전반을 현실 언어로 해설
- · 점수 대신 달란트 기반 포지셔닝과 포트폴리오 설계 코칭
- · 말하기·경청·재테크 등 직업역량과 삶의 역량을 통합한 커리큘럼
- · 대학/비대학 경로 병행 설계로 실전 취업·창업 성과 지원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 진행되는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