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계획서 · 원트(Want)와 라이크(Like)로 구분하는 욕구의 전염과 행복의 조건
1. 강의명 (Title)
교육 담당자용 제안
① 전염되는 욕구, 흔들리지 않는 행복: 원트 vs 라이크의 심리학
② 남의 감탄이 아니라 나의 기쁨: 적정한 삶을 위한 욕구 설계
③ 나는 정말 ‘좋아해서’ 원하는가?: 사회적 원트와 개인적 라이크의 분리 전략
2. 교육 개요 (Overview)
이 강의는 욕구의 전염(contagion)이라는 관점에서 인간의 선택과 만족을 재해석합니다. 우리는 종종 “좋아하니 원한다”고 믿지만, 인지심리학 연구는 원트(Want)와 라이크(Like)가 서로 다른 메커니즘으로 작동함을 보여줍니다. 사회적 비교로 촉발되는 즉시적 원트와, 혼자서도 지속되는 라이크를 구분함으로써 ‘남의 감탄’에 휘둘리는 소비가 아니라 ‘나의 행복 빈도’를 높이는 선택 체계를 설계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제한된 자원·시간·이동성의 환경에서 조직과 개인은 더욱 효율적인 몰입과 만족 설계가 필요합니다. 본 강의는 실생활 사례(아동의 풍선 사례 등)와 체크리스트, 대화법을 통해 원트 검증 → 라이크 확인 → 적정한 삶으로 이어지는 실천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3. 교육 목표 (Objectives)
- 욕구의 전염 개념을 이해하고, 사회적 비교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 원트와 라이크의 차이를 사례 기반으로 구분하고, 개인·팀 의사결정에 적용한다.
- 원트 검증법(부재에도 행복한 사람과의 비교 대화 등)을 활용해 과소비·충동구매·전략 오류를 줄인다.
- 행복의 빈도를 높이는 적정한 삶의 기준을 수립하고, 실행 체크리스트로 루틴화한다.
4. 기대 효과 (Expected Outcomes)
- 의사결정의 노이즈(타인의 감탄, 유행, 비교 스트레스) 감소로 후회 비용과 리소스 낭비를 줄임
- 몰입·만족의 빈도 향상: 크기보다 빈도를 중시하는 개인/팀 성과 관리 기준 확립
- 소비·시간 배분의 재설계로 재무 건전성, 업무 효율, 정서적 안정을 동시에 개선
- 조직 문화에서 ‘남의 감탄’ 중심 보상 대신 진짜 동기와 내적 만족을 강화
5. 상세 커리큘럼 (Curriculum) (시간 제외)
| 모듈 | 주제 | 핵심 내용 |
|---|---|---|
| 1 | 욕구의 전염: 비교가 만드는 즉시적 충동 | 전염(이동)의 정의 · 사회적 비교 메커니즘 · 타인의 보유/부재가 내 욕구에 미치는 영향 · 조직 환경에서의 모방 효과 |
| 2 | 원트 vs 라이크: 독립적 시스템의 심리학 | 즉시·사회적 감정(원트)과 지속·개인적 감정(라이크)의 분리 · 풍선 사례 분석 · 행복의 조건 재정의 |
| 3 | 검증 프로토콜: 원트 걸러내기 | “그것 없이도 행복한 사람” 인터뷰법 · 비교 대상 재구성 · 24시간/7일 지연 규칙 · 체크리스트(필요·가치·대체 가능성) |
| 4 | 라이크 확인: 나만 있어도 즐거운가? | 혼자서의 만족 테스트 · 반복 사용/재방문 지표 · 감정 기록(일지/스코어링) · 봉사/기여 활동을 통한 진짜 선호 발견 |
| 5 | 적정한 삶 설계: 행복의 빈도 높이기 | 자원·시간·이동 제한 시대의 루틴 설계 · 남의 감탄 vs 자기 만족의 균형점 · 팀/가정 적용 템플릿 |
| 6 | 실행과 문화화: 개인·조직의 안착 전략 | 회의·리뷰 의제에 원트/라이크 삽입 · 보상·평가 지표 재설계 · 실습: 내 소비·시간표 리팩터링 |
6. 강사 소개 (Instructor)
- 인지심리학 기반의 의사결정·동기·행복 연구를 현장 사례와 접목하는 실전형 컨설턴트
- “원트/라이크 분리” 프레임으로 개인·팀의 후회 비용과 낭비를 줄이는 프로젝트 다수 수행
- 팬데믹 이후 제한된 자원 환경에서의 루틴·보상·평가 리디자인 워크숍 다수 진행
※ 본 강의 계획서는 블로그, 인터뷰, 유튜브 등에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실제 강연 내용과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만하기
계속 답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