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조승연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258
동기부여( 동기부여, 열정 )
인문학( 인문학 )
교육( 자녀교육, 공부법, 부모교육 )
창의( 창의, 창의력 )
안녕하세요, 연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은 조승연 작가님의 강연 '매력적인 성격자산을 만드는 법' 이라는 주제로 특강 강의 영상 포스팅 내용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 자기 능력이 출중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사람들이 자기의 전문성이나 능력을 그 사람을 위해서 쓰게 만들도록 하는 성격 자산이라는게 있습니다.
그래서 돈 보다 더 중요한 게, 이 성격 자산일 수도 있어요. 특히, AI 시대에서는 가장 중요한 자산일 수 있죠.
성격의 가시를 뽑아내는 법?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기의 성격 때문에, 파벌이 생기는 경우도 있어요.
내가 꿈을 이루려면 나와 같이 하는 사람들의 숫자가 많아야 됩니다.
그래서 좋은 성격 자산이라는 건, 팀에 나랑 안맞는 사람들이 들어와도 계속 내 사람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인 것 같아요.
그러기 위해서는 성격의 가시를 뽑아내는 것들이 중요하죠.
예를 들어, 능력을 장미라고 생각한다면, '나는 외모가 출중해!', '나는 말을 잘해!' 이런 게 내 자산이예요.
이 능력 때문에 사람들을 끌어들이려고 하는데, "아, 따가워!" 하는 요소들을 가시라고 하는거죠.
가시가 너무 없으면,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막 뽑혀서 자기의 상품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가시가 너무 많으면 혼자 일해야 하는겁니다.
손절을 많이 하는 이유?
싸울 줄 몰라서 손절을 많이하죠. 현대인들이 가장 상실한 기술은 싸운 다음에 화해하는 겁니다.
그래서 그 싸움의 강도도 조절해야 하죠. 너무 싸우면 아예 절교가 되니까요.
과거에 인간관계를 길게 이어가던 시절에는 인간이 가져야 되는 가장 중요한 능력 중에 하나였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어떤 관계를 가져도 한 번도 격한 감정을 표현하지 않을 수는 없어요.
어느정도는 다툼이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가 좋다고 하는 겁니다. 나한테 듣기 싫은 말을 했을 때, 손절하는 것도 가시인것 같아요.
그래서 그 가시를 뽑으면 화해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겠죠.
자기 바운더리와 상대편의 바운더리를 계속 치고 받고 하는 능력이 상실되면 불행한 사회가 됩니다.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대표적인 게, 웨이터 테스트라는 게 있죠.
그 사람이 웨이터를 대하는 태도를 보면, 그 사람의 인성이 대략 나온다라는 발상인데요.
여러가지 상황에서 다 똑같은 인성이 나오는 인간은 본적이 없어요. 친구랑 있을 때, 가족이랑 있을 때, 회사에 있을 때 모두 다르죠.
그런데, 그 사람이 웨이터를 어떻게 대하는지를 보면 중요한 하나 그 사람이 나를 위해서 일하는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지는 알죠.
내가 비즈니스를 하는 관계라면, 그런 인성을 가진 사람하고는 일을 안 하는게 좋을 수도 있어요.
물론, 그 사람이 그날만 기분이 안좋았을 수 있겠죠.
기분이 안좋다고 해서, 제3자에게 그걸 푸는 건 안좋은 거지만, 그 행동 하나만으로 그 사람 전체가 그럴 것이라고 재단해버리는 건 있는 것 같아요.
한 가지 행동을 봤다고, 모든 것을 안다고 생각하는 가시는 꼭 뽑아야 됩니다. 가시는 뽑으면 또 자라기 때문이죠.
멋진 40대가 되는 법? 멋진 30대가 되는 법?
겸손을 말하고 싶어요.
'벼는 익을 수록 고개를 숙인다' 벼가 익어야지 고개를 숙이지 한참 뻣뻣이 올라와야 될때, 숙이고 있는 벼는 죽은 거죠.
그래서 겸손의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20대 때는 최대한 상대편이 기분 나쁘지 않게 자기를 어필하는 법을 알아야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잘난 척을 많이 했죠. 내 잘남이 전달이 돼야 되는데, 어른들이 보면, 경험이 없기 때문에 중요한 일을 맡겨주지는 않죠.
30대 때는 일을 주기 시작하는데, 그래서 신뢰감이 중요한 것 같아요.
나한테 일을 믿고 줬으면, 최선을 다해서 임무가 끝날 때까지 포기를 하지 않았다는 걸 자꾸 입증해 보여야 되는 시기죠.
성격자산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인문학 추천 도서
40대가 되면은 갑자기 전환을 해야 되는 것 같아요.
지금까지는 제일 빨리 치고 온 사람들이 제일 꼿꼿한 사람들이지만, 40대 된 다음에 계속 잘 나가는 사람들은 제일 잘 숨은 사람들이에요.
본인이 '이 성격만 아니었어도 성공했겠다' 라고 생각해보고,
가시를 뽑는다면 성격 자산을 만드는 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잘 보셨나요?
조승연 작가님께서는 연사섭외를 통해, 동기부여, 열정, 인문학, 자녀교육, 공부법, 부모교육, 창의, 창의력 등 다양한 분야의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연사 섭외 특강 강의가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