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포스팅은 김상윤 교수 강연으로 'AI는 대한민국 사교육을 붕괴시킬까? AI가 바꿔놓을 교육의 미래' 라는 주제의 자녀교육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빠르게 발전해가는 ai 트렌드에 따라 대한민국 사교육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그리고 ai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유익한 영상입니다.

2025학년도 수능 기출 문제를 AI가 풀어보게 하면 어떨까요?
"구글의 제미나이 라이브를 한번 활용해 보겠습니다. 제미나이, 너는 지금부터 나의 수능 과외 선생님이야.
내가 문제를 보여주면 쉽고 상세히 푸는 과정을 설명해 주고 정답까지 알려줘."
"수능 과외 선생님이라니 멋진데요. 어떤 문제든 저한테 맡겨주세요.풀이 과정 하나하나 꼼꼼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그럼 첫 번째 문제는 어떤 건가요?"
"이 문제 한번 풀어줘 볼래 내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차근차근 설명해 주고 또 정답까지 얘기를 해줘."

"문제에서 세 제곱근 5 곱하기 25의 3분의 1 제곱을 계산해야 합니다. 25는 5의 제곱이니까 식을 다시 쓰면 따라서 정답은 5 즉 5번입니다."
매우 쉽게 차근차근 설명을 해주고 정답을 맞췄습니다.
그렇다면 영어 문제 한번 풀어볼까요?
사용 방법은 똑같습니다.이 문제를 핸드폰으로 찍은 다음에 여기 플러스 버튼 누르고 사진을 입력창에다가 첨부를 하는 겁니다.
그런 다음에 이 문제를 풀어줘 라고 질문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아래 그림에 영어 문제를 풀어줄래?"
"네 좋아요. 이번에는 영어 문제를 함께 풀어볼까요?이 문제는 글의 목적을 파악하는 문제입니다. 다음 사항에 집중하는 것이 좋아요."
"나는 보기 3번도 답이 될 것 같은데 3번이 아닌 이유는 도대체 뭐야?"
"좋은 질문이에요. 왜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는지 설명해 드릴게요.글의 초반부를 다시 볼까요?"
상세하게 3번 보기가 아닌 이유 정답이 아닌 이유를 설명을 해 줍니다.

내가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의문이 나는 부분 보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질문을 하면 AI는 거기에 맞는 또 설명을 해 준다라는 거예요.
결국 우리가 인간 선생님에게는 부끄러워서 나만 모르는 것 같아서 질문 못하는 부분들을 AI 선생님에게는 아주 편안하게 질문할 수 있고
AI 선생님은 더 상세하게 친절하게 알려준다라는 것이죠.
재작년까지만 해도 우리 고3 수험생들의 골치를 썩게 만들었던 것이 바로 수능 소위 킬러 문항이라는 영역입니다.
수학의 킬러 문항들을 대여섯 개 정도 질문을 해봤는데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제미나이의 경우 다섯 문제 중에 딱 한 문제만 정답을 맞췄고
챗gpt의 경우 다섯 문제 중에 3 문제 난이도 높은 수능 킬러 문항 같은 것은 아직까지 오답률이 좀 높은 것 같아요.
다만, 중요한 것은 AI 분야 발전 속도가 너무나 빠르다라는 겁니다.

제가 예상하기에는 1-2년 내에는 우리 초중고 학생들이 충분히 AI 선생님을 활용할 만큼의 성능 수준이 갖춰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AI의 소통 능력 정말 인간 선생님 그 이상을 보여주죠.
마치 너무나 인자한 인간 과외 선생님이 바로 옆에서 1 대 1로 코칭해 주는 것과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학생들의 오답 패턴을 분석하여서 취약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맞춤형 문제까지 추천을 해주겠죠.
이는 학생 개개인의 눈높이에 맞춘 초개인화된 학습이 언제 어디서든 AI 튜터로 가능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이 막강한 AI 튜터는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에 어떤 파장을 가져올까요?

AI 튜터의 강점 - 2가지
첫째, 기초 학습과 반복 훈련의 편리함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사교육을 통해서 기본적인 개념 학습, 반복적인 문제 풀이에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많은 학부모들이 이렇게 얘기를 하세요.
"학원 선생님들에게 우리 아이들이 제대로 문제 푸는 방법들을 하나하나 옆에서 좀 다그치면서 반복적으로 잘 가르쳐 달라고 부탁을 한다"라는 거예요.
AI 튜터는 이 부분을 가장 효율적으로 담당할 수 있습니다.
불과 한 달에 2-3만 원 정도의 비용을 가지고 개인 과외 교사 선생님을 얻는 효과가 있다라는 것이죠.

둘째, 맞춤형 학습의 보편화입니다.
기존 사교육에서는 아무리 맞춤형을 강조해도 한계가 있죠.
학생에 비해서 선생님의 숫자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하지만 AI는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 정확히 소통하고 이를 반영해서 가르쳐 줍니다.
2023년 하버드 대학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와 AI 튜터링의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194명의 학생을 둘로 나누어서 2주 동안 실험 첫 주에 a 그룹은 기숙사에서 AI 튜터 수업을, b 그룹은 인간 강의자의 수업을 듣게 했습니다.
그다음 주에는 수업 방식을 서로 반대로 바꾸어서 진행을 하기로 했습니다.
결과가 어떻게 나왔을까요? 학생들은 AI 튜터와 함께 한 수업에서 더욱더 학습 효과가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공부한 시간과 성적 비례하지 않았다라는 겁니다.
얼마나 효율적으로 효과적으로 하느냐 바로 이 부분에서 AI가 인간 선생님보다 좀 더 나은 학습 방법을 보여줄 수 있다라는 겁니다.

AI 튜터의 반론 - 3가지
첫째, 인간 상호작용의 결핍입니다.
선생님과 학생 간의 유대감, 인간성, 정서적 관계, 사회성 이런 부분에 대해서 결여가 될 수 있다라는 것이죠.
만약 AI가 인간 선생님을 완벽히 대체하거나 인간 선생님의 역할이 과도하게 줄어든다면 아마 이런 부분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을 겁니다.
둘째 디지털 격차와 정보 불균형의 심화입니다. AI 튜터를 이용하려면 기본적으로 디지털 기기와 친숙해야 되죠.
그리고 내가 공부하는 주변 환경에 인터넷 환경이라든지 디지털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어야 할 겁니다.
이러한 인프라가 부족한 학생들은 오히려 새로운 형태의 교육 격차에 직면할 수 있게 되겠죠.
셋째 과도한 AI 의존과 인간 자율성의 저하입니다.
AI 튜터가 모든 것을 해결해 주다 보면 학생들은 아마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잃어버릴 수도 있습니다.
답을 찾는 과정에서의 시행착오 그리고 글을 통해 얻는 깨달음, 이런 학습의 과정이 정말 중요하다라는 것이 얼마 전 생성형 AI로
정작 자신이 제출한 리포트의 내용조차도 이해하지 못한다라는 충격적인 사실을 이 기사는 지적했습니다.

MIT 미디어 랩의 또 재미있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보스턴 지역의 18세에서 39세 사이에 54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이들을 세 그룹으로 나눴어요.
챗gpt를 사용하는 그룹, 구글 검색 엔진을 활용한 그룹, 그리고 아무 디지털 도구도 사용하지 않는 그룹을
여러 편의 에세이를 작성하도록 한 후에 이를 4개월 동안 32개 영역에서 뇌파의 변화를 측정을 해봤습니다.
그 결과 챗gpt를 사용한 그룹이 뇌 활동이 가장 낮았다라는 겁니다.
신경 언어 행동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저조한 성적을 보였다고도 밝혀졌습니다.
물론 스스로 학습 의지가 강하고 동기 부여가 되어 있는 학생들은 AI를 활용하여 더욱 더 높은 성취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죠.
하지만 스스로 동기 부여를 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제대로 따라오지 못할 겁니다.
그래서 AI와 인간 선생님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AI 튜터가 인간 교사를 완전히 대체하는 것이 아닌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라고 생각합니다.
이 인간 교사는 AI가 할 수 없는 인간적인 가치, 고차원적인 역량, 사회성 그리고 진로 상담 이런 곳에 집중을 해야 한다라는 것이죠.
단순 지식 전달자가 아닌 학생의 성장 코치이자 멘토로서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해지게 되겠죠.
우리 대한민국의 정말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사교육비 부담이 경감되는 효과 분명히 있을 것이고요.
또한 빈부 격차에 따른 교육 격차 해소 분명히 가능할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 대치동으로 상징되는 과도한 경쟁을 완화시켜주는 효과 있지 않겠습니까?
정부 교육기관 그리고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지속적인 고민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오늘 이 영상이 여러분들께 AI 튜터 시대의 교육의 미래 그리고 이 사교육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첫걸음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잘 보셨나요?
김상윤 교수님께서는 現 중앙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계시며,
자녀교육 뿐만 아니라, 4차산업, 트렌드, 디지털기술, 미래, IT, Ai(챗 GPT), 빅데이터, 미래기술, IT트렌드, 로봇, 산업, 미래사회, 비즈니스,
메타버스 등 다양한 분야의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다양한 강사진이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