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초청강의 황농문 교수 강연 '무조건 실천하는 방법, 노하우' 특강

황농문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797

강연내용 소개
계획은 잘 세우는데, 왜 실천은 그렇게 어려울까요?
황농문 교수의 초청강의는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도파민, 뇌과학, 그리고 몰입의 원리를 통해
왜 우리는 시작을 미루고 작심삼일로 끝나는지를 과학적으로 풀어냅니다.
특히 ‘시작이 어려운 사람들’의 뇌 속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그 메커니즘을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언어로 설명해주십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 실천을 방해하는 뇌의 작동 구조
✔ 몰입을 끌어내는 도파민 설정법
✔ 작심삼일을 극복하는 사고 훈련법

등을 통해 삶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 전략을 제시합니다.
동기부여를 넘어 행동으로 이끄는, 진짜 몰입 강의.
지금 만나보세요.
강연분야

동기부여( 동기부여, 열정, 삶의자세, 자기계발 )

인문학( 인문학 )

경영( 리더십, 변화 )

건강( 심리, 정신 )

교육( 자녀교육, 부모교육 )

주요학력
- 카이스트 대학원 재료공학 박사
- 카이스트 대학원 재료공학 석사
-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학사
주요경력
- 몰입아카데미 대표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교수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부교수
- 일본 금속재료연구소 객원연구원
- 미국표준기술연구소 객원연구원 외 다수 경력
- SNU Awards 학술연구교육상
- CBS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
- tvN STORT 어쩌다 어른 외 다수 출연
강연주제
- 우리아이 공부혁명, 몰입
- 성실해도 성과가 없었던 사람들을 위한 몰입
- 1가지만 하세요
-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는 기회
- 몰입하지 못하는 방해요소들
-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혁명

주요저서

오늘 포스팅은 황농문 교수 초청강의로 ‘계획은 잘 세우는데 왜 실천이 어려운가?’에 대한 흥미로운 주제의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계획 세우는 건 누구나 잘합니다.

다이어트 계획, 공부 계획, 자기계발 계획… 그런데 문제는 _‘실천’_이죠.

왜 우리는 늘 시작을 미루고, 작심삼일로 끝나버릴까요?

황농문 교수님은 이번 초청강의에서 도파민, 뇌과학, 그리고 몰입의 메커니즘을 통해 ‘시작이 어려운 사람들의 뇌' 속을 낱낱이 분석해주십니다.

◎ 실천을 가로막는 뇌의 작동 원리

◎ 몰입을 유도하는 사고 습관

◎ 행동으로 옮기기 위한 도파민 설정법

이 강연은 단순한 동기부여를 넘어, 삶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전략을 제공합니다.

오늘도 미뤄둔 계획이 있다면, 이 강연이 진짜 시작이 될 수 있을 겁니다.

1. 계획은 재밌고 실천은 괴로운 이유

“계획을 세울 때는 도파민이 분비돼요. 하지만 실천하려면 부담이 생깁니다.”

왜 그럴까요?

뇌 속에서는 계획을 세울 때 전두연합령이 작동하면서 쾌감을 줍니다. 이때 도파민이 분비돼요. 상상 속에서 모든 걸 멋지게 그려보는 거죠. 반면에, 실제 행동에 들어가려면 편도체가 작동하기 시작해요. 편도체는 불안과 공포 같은 부정적 감정을 담당하는 영역입니다.

즉, 계획은 전두엽이 주도하고, 실천은 편도체의 방해를 받는 것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계획만 잘 세우고 실행을 못하는’ 딜레마에 빠지는 겁니다.

하지만 이건 ‘의지력의 문제’가 아니에요.

뇌의 작동 방식을 모르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2. 우리 뇌는 어떻게 ‘호감’과 ‘비호감’을 판단할까?

우리가 어떤 일을 싫어하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과거에 그 일과 관련된 부정적인 기억이 강하게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공부를 싫어하는 사람은 과거에 시험 스트레스를 크게 받았거나, 반복적으로 좌절을 경험했을 가능성이 높아요.

뇌는 이 기억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판단합니다.

“공부 = 고통”이라고 인식하면, 그 일을 계속 피하게 돼요.

문제는 우리가 피하고 싶은 일도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일 때 발생하죠.

학생은 싫어도 공부를 해야 하고, 직장인은 싫어도 업무를 처리해야 해요.

그래서 이건 단순한 기분 문제가 아니라, 삶 전체를 좌우하는 본질적인 문제입니다.

 

3. 몰입의 장벽을 넘는 법

몰입 상태에 들어가기 전에는 반드시 장벽이 존재합니다.

그 장벽을 넘는 순간, 일이 손에 착착 붙고 시간도 순식간에 흘러가요.

그런데 대부분은 이 장벽을 넘지 못하고, 피하거나 미룹니다.

유튜브를 보거나, 딴짓을 하며 시간을 보내죠.

문제는 위기감이 있어야 장벽을 넘을 수 있다는 점이에요.

시험 전날이 되어서야 “큰일 났다”는 생각에 비로소 몰입이 시작되는 것도 이 때문이죠.

하지만 “몰입을 의도적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 2주 전이라면, 위기감이 약하니 몰입 구동력도 낮습니다.

그 부족한 구동력을 의도적으로 훈련하고, 스스로 끌어올리는 것, 그게 진짜 실력이고 자기 주도적 삶의 시작입니다.

 

4. 반복과 보상이 주는 위력

도파민은 단번에 강하게 분비되기도 하지만, 반복을 통해 서서히 체득되는 방식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등산’이에요.

오르막길은 힘들지만, 정상에 올라선 순간 과잉 도파민이 터지면서 고통은 기억 속에서 사라지고, 쾌감만 남게 되죠.

그 덕분에 사람들은 힘들어도 또 등산을 하게 됩니다.

이 원리는 업무나 공부에도 그대로 적용돼요.

작고 쉬운 성공을 반복해서 경험하면, 뇌는 그 행동을 ‘좋은 것’으로 기억하고 자발적으로 반복하려 합니다.

이게 바로 지연된 보상을 통한 도파민 설계 전략입니다.

처음에는 고통스럽지만, 그 끝에 오는 성취의 감각이 모든 걸 보상해주죠.

 

5. 성공할 수밖에 없는 도전, 위너 이펙트

“작은 성공이 모이면 큰 도전을 이길 수 있어요.”

위너 이펙트(Winner Effect)는 동물 실험에서도 관찰됩니다.

중간 서열의 개체가 몇 번을 연달아 승리한 뒤, 가장 강한 상대와 싸워 이긴 사례들이 많습니다.

이건 인간도 마찬가지예요.

작은 일이라도 성공을 반복하면, “나는 할 수 있다”는 믿음이 생기고, 결국 큰 일도 해낼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반복되는 실패는 학습된 무기력을 만들어내죠.

"도전해서 실패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과감히 포기하라. 성공 가능한 도전만 골라서 자신감을 회복해야 한다."

성공 경험은 나의 심리를 바꾸는 가장 강력한 연료입니다.

 

6. 진짜 좋아하는 것은 만들어지는 것이다

우리는 종종 말합니다.

“진짜 내가 좋아하는 걸 찾고 싶어요.”

하지만 진짜 좋아하는 것은 만들어지는 것 입니다.

몰입하고, 반복하고, 익숙해지고, 성취감을 느끼면 어느새 그 일은 ‘내가 진짜 좋아하는 것’이 됩니다.

처음엔 회의감 들던 전공이, 몇 달 몰입하고 나니 세상에서 제일 재밌는 일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기 전에, ‘몰입할 수 있는 일’을 먼저 만들어보세요.

좋아함은 애초에 주어진 게 아니라, 과정에서 길러지는 감정입니다.

 


몰입은 누구나 할 수 있어요.

다만 그 문턱을 넘기 위해 자신의 뇌를 제대로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도전 전략을 설계해야 합니다.

성공 경험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힘을 가집니다.

몰입의 장벽을 넘는 습관, 반복해서 쌓아가는 작은 성공, 그리고 만들어가는 나만의 좋아함.

이 모든 것들이 결국 진짜 실천하는 삶을 만들어 줍니다.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