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조벽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1
경영( 혁신 )
교육( 자녀교육, 인성, 부모교육 )
창의( 창의력 )
안녕하세요, 명사특강 전문 기업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명사특강은 조벽 교수님의 강연, ‘뇌도 삶도 바꾸는 이것의 놀라운 효과’ 리더십 강의 편입니다.
여러분, ‘고마움의 리더십’, ‘어른의 리더십’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조벽 교수님은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이 바로 ‘어른의 리더십’을 실천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합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이순신 장군이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은 주기적으로 선조에게 장계를 올리며 부하들의 공적을 일일이 보고했습니다.
놀라운 점은 그 명단 속에 노비의 이름까지 기록되어 있었다는 것이에요.
신분의 높고 낮음을 넘어, 함께 싸운 모든 이의 노고를 잊지 않은 진정한 리더십.
조벽 교수는 바로 그 속에서 ‘감사의 힘’이 뇌와 인생을 변화시키는 핵심 비밀이라고 강조합니다.
오늘 명사특강을 통해 ‘감사’가 단순한 예의가 아니라, 삶의 회복력과 인간관계, 그리고 뇌의 회로까지 바꾸는 과학적 힘임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이 조선시대의 노비라고 생각을 해보세요. 인간 이하의 존재였어요.
'이순신 장군은 나를 인간 대접만이 아니라 높은 가치 있는 존재로 나를 대해주시네'
제가 노비였으면 그날부터 장군님한테 제 목숨 바칠 거예요. 이것이 바로 '고마움의 리더십' 이에요.
상대방을 고맙게 여기기 때문에 기쁜 마음으로 따라주는 것이 바로 "최고의 리더십" 입니다.
고맙다는 것은 타 존재가 나한테 좋은 것을 베풀었다라는 것에 대한 알아차림이죠.
성공하는 사람들의 첫번째 특징?
행복하고 싶다면 우리는 자아 실현이 목표가 돼서는 안 돼요.
우리가 의도적으로 정신을 집중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성공합니다.
자동적으로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문제 해결을 잘해야 합니다.
이것은 외적 자극에 내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내적 동기 유발이에요.
우리는 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내가 노력을 할 때, 목표에다가 집중하지 않습니까?
내적 동기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찾아 낸 시카고 대학의 칙센트미하이 석좌 교수는
세 가지 조건이 구비되면 내적 동기에 발동이 걸린다고 했습니다.
① 매우 뚜렷한 목표가 있다.
② 점진적 도전이 있다.
③ 인스턴트 피드백이 있다. (=스스로 볼 수 있는 피드백이 존재한다.)
이 세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주는 요소?
생존이 문제가 안 될 때 그리고 연결이 충분히 되어 있을 때
그러고 나서 우리는 자아 실현을 위해서 목표에다가 집중하는데, 바로 '컴퓨터 게임' 입니다.
컴퓨터 게임은 목표가 뚜렷하고, 100가지 단계가 있습니다.
내가 10번째 단계를 통과하면, 11번째 단계가 기다리고 있는데, 약간만 높은 수준의 도전으로 5분만 하면 통과할 것 같아요.
사실은 5분이 아니라, 5시간을 해야 하고, 그 효과가 금방금방 나타납니다.
컴퓨터 화면에 앉아서 나한테 해석해주고, 훈수 둘 필요가 없으니 나 스스로 그 피드백을 볼 수도 있지요.
그래서 사람들이 컴퓨터 게임에 푹 빠지는 겁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두 번째 특징?
성공하는 사람들은 계획을 세우고 자기의 도전 레벨을 점진적으로 높여갑니다.
예를들면, 운동을 하고 싶다고 해서 갑자기 150km 를 움직이지 않고, 조금씩 근육을 키워나갑니다.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볼 수 있는 상태를 만든다는 거지요.
우리는 성공을 위해서 정신을 집중하고, 점진적으로 레벨을 높여가는 능력을 발휘해야 합니다.
스트레스에 반사하는 반응이 아니라, 내가 의도적으로 나의 정신을 집중시킬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해야 성공입니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세 번째 특징?
행복하고 싶다면, 자아실현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매슬로 박사는 돌아가시기 1년 전에 피라미드를 수정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심리학 교과서에는 수정되기 전 피라미드가 나열되어 있지요.
수정된 피라미드는? "피라미드 더 위에 자아 실현 위에 자아초월이라는 것이 있다"
"자아초월이라는 것은 나의 정신력을 오로지 나한테만 쏟아붓는 것은 성공을 할 수 있어도 행복은 보장 못한다."
타인에 대한 알아차림, 타 존재에 대한 고마움에 대한 알아차림을 갖고 있을 때, 내가 기여하는 삶을 살 수 있지요.
자아초월의 개념은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아초월의 개념은 실현하기 위해서는 내가 나의 정신을 소중한 것에 집중시켜야 됩니다.
"고마" 에다가 정신을 집중시켜야 정신차린 상태가 되고, 정신 차린 상태가 되면 아무리 스트레스가 높아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엄마라는 존재는 아이라는 소중한 존재한테 정신을 집중하기 때문에 불속에도 뛰어들어가지요.
자아초월로 두 가지 단어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위즈덤' (=지혜)
'어른십'
너무나 많은 어르신들이 우대 받고, 배려 받고, 보살핌을 받으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자기 중심' 이기 때문에, '어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합니다.
지혜는 혼자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두가 다 함께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지혜이지요.
21세기 진정한 리더십은 베푸는 '어른십' 이다.
이 두개의 단어가 10여년 전에는 화제가 되었습니다.
기여하는 삶, 어른으로서 살아가는 것이 성장이라는 개념입니다.
성공이라는 것은 나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고,
성장의 장은 어른 장자이고, 성은 이룬다 라는 뜻입니다.
어른이 되어가는 것, 소위 어른십을 발휘하는 것이 성장의 개념으로 이럴 때 우리는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생존에만 매달려 살면은 고통스럽고, 성장에 초첨을 맞춘다면 행복할 수도 있고, 지혜롭게 살아갈 수도 있습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