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김상윤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159
4차산업( 4차산업, 트렌드, 디지털기술, 미래, IT, Ai(챗 GPT), 빅데이터, 미래기술, IT트렌드, 로봇, 산업, 미래사회, 비즈니스, 메타버스 )
(0).jpg) 
							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기업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초청 특강은 김상윤 교수 AI 트렌드 강연으로 '엑스트로피, 기술은 어떻게 비즈니스를 바꾸는가?' 라는 주제입니다.

 
AI 대변혁 시대에 맞는 새로운 경제 메커니즘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AI가 창출한 분은 누구의 것인가 AI 세금만이 답일까요?
지금부터 이 복잡한 실타래를 함께 풀어볼 수 있는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1) 기술에 맞선 인간들
19세기 초 영국의 직조공들은 기계를 부수었습니다.
'러다이트 운동' 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들은 기계가 일자리를 뺏는다고 생각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직조공의 수는 줄어들었지만 기계, 기술자, 공장 관리자, 섬유 무역상과 같은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났죠.
지금까지 경험해 온 역사는 기술은 기존의 일자리를 대체하지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한다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2) AI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까?
 
과거 기술은 육체 노동을 자동화했지만 AI 는 지능 자체를 자동화합니다.
AI는 2040년경까지 전 세계 일자리의 50에서 60%를 자동화하거나 변화시킬 가능성이 크다라는 것이죠.
2050년경에는 현재 직업을 기준으로 대략 80% 이상이 완전히 AI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라는 충격적인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AI로 인해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직업 숫자나 규모에 비해서 기존 일자리를 AI가 대체하는 속도나 규모가 과도합니다.
3) AI로 창출한 부를 독식하는 거대 기업들
 
NVIDIA의 시가총액 현재 약 4조 달러로 10년 전 대비 200배, 20년 전 대비 600배로 성장했습니다.
아직 상장도 하지 않은 오픈 AI의 기업 가치는 최근 5천억 달러를 넘어서기도 했습니다.
2023년 미국에서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가 가속화되기 시작하면서
고객센터 직원, 콘텐츠 작성자, 그래픽 디자이너, 번역가, 프리랜서가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4) AI로 인한, 정부의 세수 감소 - 빌게이츠가 제안하는 로봇세
 
첫 번째, 기업 이익에 과세하는 방법으로 거둬들일 수도 있습니다.
빌게이츠의 제안은 "로봇이 인간 일자리를 대체하면, 그 만큼의 세금을 매겨서 실업자 등의 복지에 써야 한다" 였습니다.
이론적으로는 완벽하지만 로봇의 정의가 모호하기 때문에 경제학자들과 기술 전문가들은 강력히 반대했습니다.
'챗gpt, 엑셀, 매크로, 자동화 스크립트도 모두 로봇의 정의에 포함될 수 있다' 라는 것이죠.
5) AI로 인한, 정부의 세수 감소 - 샘 알트먼이 주장하는 AI 기본소득
 
두 번째, 오픈 AI의 CEO 샘 알트먼의 제안은 "AI 기본 소득을 개인들에게 제공하자" 였습니다.
보편적 기본소득 실험으로 정의하였는데, 3천 명의 저소득층에게 매월 1천 달러를 지급하자라는 것이죠.
2024년 7월 결과는 "AI가 엄청난 부를 창출하게 되면 모든 사람에게 기본 소득을 줄 수 있다" 라는 겁니다.
더 나아가 2024년 5월 보편적 기본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는데,
돈을 주는 대신에 모든 사람에게 AI 컴퓨팅 파워를 배분하자였습니다.
이를 구축하기 위한 재원을 어디서 어떻게 마련해야 할까에 대한 대답은 명확히 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샘 알트먼의 실험은 어떻게 보면 가장 큰 규모의 보편적 기본 소득 UBI 실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대는 되지만 이론과 현실은 다르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우려가 생깁니다.
6) UBI 반대자들의 주장
 
특정 타깃이나 소규모 실험이 아닌 전 국가, 전 세계로 이것을 확대한다면?
한 번도 경험하지 않은 세상에 대한 혼란이 분명히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UBI 반대자들은 "돈을 공짜로 주면 아무도 일하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이 근로 의욕을 상실할 것이다" 라고 주장합니다.
또한 "모두에게 돈을 주면 물가만 오를 것이다" 라는 경제학의 기본으로 공급 없는 수요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가장 핵심은 재정적인 문제 해결이다.
핀란드에서는 2천 명에게 월 560유로를 지급하는 실험을 2017년부터 약 2년간 진행했습니다.
시민들의 행복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왔으나 무제한 늘어나는 재원 조달 문제로 결국 중단되었습니다.
우리가 ubi를 맞이하기에 앞서서 인간의 노동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인간이 이를 통해 얻는 보람이나 존재감이 지켜지지 않을 것이니까요.
여러분은 AI 기본 소득에 찬성하시나요? 반대하시나요? 그렇다면은 세금은 누구에게 어떻게 부과해야 할까요?
잘 보셨나요?
김상윤 교수님께서는 現 한국 AI리터러시 아카데미 원장이자,
4차산업, 트렌드, 디지털기술, 미래, IT, Ai(챗 GPT), 빅데이터, 미래기술, IT트렌드, 로봇, 산업, 미래사회, 비즈니스, 메타버스 등
다양한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김상윤 교수님 섭외뿐만 아니라, 초청 특강 섭외가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