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황농문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614
동기부여( 동기부여, 열정, 삶의자세, 자기계발 )
인문학( 인문학 )
경영( 리더십, 변화 )
건강( 심리, 정신 )
교육( 자녀교육, 부모교육 )
(0).jpg) 
							안녕하세요, 명사 강연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명사 강연으로 많은 활동을 하고 계시는 황농문 교수님의 강연
'한국 학생들이 서울대 나와도 막막한 이유' 라는 주제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힘든 상황을 스스로 이겨내는 경험을 하게 해주는 교육이 좋은 교육입니다.
성장을 하려면 계속 크고 작은 도전을 하고, 성공하는 경험을 계속 반복하면서 할 수 있습니다.
1) 한국 사교육 시대는 끝났다. 앞으로 '이런 사람'들이 성공합니다.
오바마 대통령도 '한국의 교육열을 본받아라' 할 정도로 교육열이 높은 건 좋을 겁니다.
그러나, 교육방법이 좋지 않기 때문에 효율이 낮은 거예요.
대표적으로 유대인 부모는 자식에게 좋은 두뇌를 물려주려고 합니다.
노벨상을 수상한 유대인들이 200명이 넘고, 아이빌리그의 25% 정도이며, 하버드 대학의 거의 3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우리는 좋은 학벌을 물려주려고 합니다. 머리를 발달시키려고 하는 게 아니라 시험을 잘 보는 교육을 하려고 하는 거죠.
 
2) 한국 경제를 망치는 주입식 교육의 실태
과거에는 우리의 GDP가 굉장히 높았어요. 그렇다면, 왜 GDP가 떨어질까요?
루카스 교수님의 연구에 의하면, 한 나라의 경제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을 "경제학의 정설" 이라고 합니다.
과거에는 우리가 교육열이 높아서 인적 자본을 축적을 많이 했기 때문에 경제가 잘 나갔습니다.
우리가 교육열은 여전히 높은데 왜 추락하고 있는 거냐, 과거에는 후진국이어서 선진국 제품을 모방하고 추격하는 "모방형 경제" 였다는 거예요.
 
3) 한국 학생들은 '이 능력'을 키우는 공부를 해야합니다.
과거에는 주입식 교육으로 배출되는 모방형 인적 자본으로 해도 문제가 없었지만,
이제는 선진국에 진입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모방보다 창조형 인적 자본이 필요한 거예요.
앨빈토플러 교수는 "한국에는 학생들이 15시간씩이나 미래에는 필요하지 않을 그런 지식을 공부하고 있다" 라고 했습니다.
어떤 문제를 보고, 시간이 아무리 오래 걸리더라도 내가 스스로 생각을 해서 푸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우리 뇌는 요구한 대로 발달하기 때문에 그 능력을 발달시켜야 되는 거예요.
 
4) AI 시대에는 뇌를 '이렇게' 부릴 줄 아는 사람이 부자가 됩니다.
우리 뇌는 아주 충실한 하인입니다.
그 충실한 뇌라는 하인을 부릴 때 주인이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가 있나요?
예를 들어서 며칠 동안 어떤 문제가 안 풀려요. 그 문제를 1초도 쉬지 않고 생각하면 뇌는 '목숨이 걸린 상태' 라고 판단을 하는 거예요.
그 뇌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데도 풀지 못하면, 다른 아이디어를 줍니다.
뇌한테 "1초도 쉬지 않고 이 문제가 중요하다" 라는 것만 전달하고, 내가 조급해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내가 손해인겁니다.
 
5) 미지의 영역으로 가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성공한다.
예전에는 창의적인 영역이라고 했던 것들을 인공지능이 다 해주고 있습니다.
이제는 지식의 최전선에서 미지의 영역으로 가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미지의 영역은 인공지능으로 학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식의 최전선에서 한 발 더 나아가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앞서가는 겁니다.
 
6) "서울대 나와도 막막해요" 한국 청년들이 불행한 이유
사라 이마스가 쓴 <유대인 엄마의 힘> 이라는 책을 보면요.
이스라엘 교육의 특징은 아이가 어떤 위기에 처해있으면 교육의 기회라고 봅니다.
이 역경을 아이가 헤쳐 나오면서 성장을 한다는 "역경지수" 라는 표현을 씁니다.
그래서 이스라엘은 집이 아무리 재벌이어도 아이들이 다 일을 한답니다.
어렸을 때부터 힘든 상황을 스스로 이겨내는 경험을 하게 해주는 교육이 좋은 교육이라고 생각합니다.
 
7) 몰입을 해야하는 단 한가지 이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려고 하면 사실 누릴 수 있는 행복의 양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을 추구하다보면 삶이 어려워질 때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내가 하는 일과 내가 해야 할일을 좋아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면 누릴 수 있는 행복의 양은 무한대가 됩니다.
내가 해야 할 일을 좋아하는 일로 바꾸기 위해서는 몰입을 해야지 되는 거예요. 이것이 우리가 몰입을 해야 되는 이유입니다.
황농문 교수님 뿐만 아니라, 명사 강연이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