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스타강사로 많은 과학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시는 강성주 박사 강연으로 '외계인 진짜 존재할까?' 라는 주제의 영상입니다.
강성주 박사님께서는 외계 생명체에 대한 수많은 미스터리와 음모론에 대해 재미있게 풀어내고 계십니다.

외계 생명체는 어떤 모습일까?
학자들이 생각하고 기대하고 있는 것들은 E.T 같은 외계 생명체가 타나서 악수를 하거나 인사를 하는 모습은 아닐 거예요.
외계 행성의 특징에 따라 다르겠죠.
지구처럼 땅이 있는 행성이면 팔 다리가 있는 형태일 수도 있고, 목성이나 토성처럼 땅이 없는 기체 행성이면 물속에서 힌트를 얻을 수도 있어요.
그리고, 민들레 씨앗 같은 형태로 떠돌아다니는 외계 생명체도 존재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제2의 지구 찾기 외계행성 탐사
외계 생명체와 외계 행성의 외계는 같으면서도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외계 생명체에서의 외계는? 지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지구 밖에 있는 생명체를 의미를 하는 거고,
외계 행성의 외계는? 태양계 너머에 다른 별을 돌고 있는 횡성을 뜻하는 의미예요.
예를 들어서 태양계 8개의 행성과 그 바깥쪽에 해성과 소행성들이 많이 있는 카이퍼 벨트,
넓게 보면 태양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서 얼음덩어리와 수많은 해성이 위치하고 있는 오르트 구름이라는 것이 있어요.
이 오르트 구름까지를 태양계라고 부를 수 있다면, 태양계와 같이 다른 별을 돌고 있는 다른 많은 행성들을 외계 행성이라고 부르는 거예요.

외계 행성 탐사 언제부터 궁금해했을까?
고대 시대 때부터 우주관을 지배했었던 것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우주관으로 대표되는 천동설이에요.
즉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을 비롯한 모든 행성 별, 우주에 떠 있는 모든 천체가 우리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뜻인데요.
하지만 우리가 바라보는 천체 현상에는 천동설로 설명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천문 현상들이 존재 했죠.
이 천동설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서 호페르니쿠스가 지동설로 발상의 전환을 하기 시작하는데,
항성과 행성이라는 개념이 등장을 하기 시작합니다. 지동설에 따라서 '태양계가 유일하게 행성을 가진 시스템이 아니다' 는 견해가 등장했고,
16세기에 천문학자 지오다노 부르노는 관념적인 생각으로 '우주는 무한하다' 라는 것을 주장했어요.

외계 행성의 종류?
외계 행성의 종류는? 태양계에서 크게 암석형 행성, 기체형 행성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고,
외계 행성을 연구하고 발견이 됨에 따라? 암석형, 슈퍼지구형, 해왕성형, 거대 가스형 네가지로도 나눌 수가 있어요.
특히 소개해 주고 싶은 외계 행성의 형태는 우주 전체를 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는 떠돌이 행성이에요.
가스 구름에서 수축을 하면서 별이 되는 재료가 모이다가 충분하게 물질들이 모이지 못한 경우,
행성과 행성의 거대한 충돌로 항성 시스템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외계 탐사 계획?
2021년 말에 발사 된 JWST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통해서 외계 행성의 정밀한 대기를 분석이 가능해졌고,
액체 상태의 물의 존재를 알아볼 수 있어서 대기 분석을 통해 외계 생명체의 가능성도 확인이 가능해졌어요.
2016년 브레이크스루 스타샵 프로젝트에서 지구에 건설한 레이저 기지에서 일시적으로 돛대를 단 우주선에 레이저를 발사해서
빛의 20% 정도까지 가속을 시키면서 관측 결과 확인이 가능해졌어요.
목적지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에요. 직접 관측 계획을 가지고 있어서 계획대로라면
앞으로 50년 정도 후에 프록시마 센타우리와 그 주위를 돌고 있는 외계 행성의 관측 데이터를 직접 받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하고 있어요.

외계 행성을 연구하는 이유?
과연 우리는 이 넓은 우주의 유일한 존재일까요?
칼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이라는 사진을 보면, 작은 점이 지구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고 우리의 고향이라고 부를 수 있는 지구인데 아직까지는 생명을 간직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예요.
이 사진을 통해서 인류가 느끼고 있는 자만이 얼마나 어리석은지 잘 알 수 있습니다.
인류의 고향인 지구가 우주에서 한 점 보잘것없는 것처럼 다른 세상이 존재할 수 있다는 믿음이 외계 행성을 연구하고 탐사하는 이유가 아닐까요.
잘 보셨나요?
강성주 박사님께서는 천문학자이자 110만 과학전문 유튜브채널 <안될과학> 과학크리에이터로 활동하고 계시며,
스타강사 섭외로 미래, Ai(챗 GPT), 로봇, 미래사회, 과학, 커뮤니케이션, 자녀교육, 창의, 상상력 등
다양한 분야로 흥미로운 과학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스타 강사 섭외가 필요하시면? 호오컨설팅으로 문의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