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명사초청강연 박재연 소장 '삶 속 균열과 회복' 특강

박재연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382

강연내용 소개
오늘 강연은 내면의 상처와 회복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왜 특정 상황에서 내가 유난히 힘든지, 그 뿌리를 가족과 성장 경험 속에서 찾아갑니다.
억눌린 감정을 인정하고 언어화할 때, 우리는 비로소 조용한 회복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부모의 사과, 대체 애착, 그리고 희망의 새로운 정의까지… 관계와 삶을 다시 바라보게 합니다.
여러분의 과거가 더 이상 짐이 아닌, 성숙의 자산이 되길 바라는 따뜻한 강연입니다.
강연분야

동기부여( 동기부여 )

경영( 리더십 )

소통( 소통, 감성소통, 커뮤니케이션, 관계 )

교육( 자녀교육, 부모교육 )

주요학력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전공
주요경력
- Replus 리플러스 대표
- Association for Death Education and Counseling 국제죽음교육상담전문가
- 사단법인 한국기질상담협회 자문위원
- 사단법인 한국기질상담협회 서울지부 지부장
- InCRC 아동인권옹호전문가
- 한국Habitat 협력위원
- 두산 리더십 임원 뉴스레터 칼럼 연재
- NAVER 맘앤키즈 칼럼연재 외 다수 경력

- 경기도지사 아동복지 유공 표창

- 채널A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 MBC 우린 통역이 필요해 외 다수 출연
강연주제
- 조직 내 상호존중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대화방법<연결의 대화>
- 간섭이 아닌 성과를 만드는 리더의 대화법
- ‘나’와 ‘너’의 균형을 만드는 대화법
- 견디는 삶에서 살아가는 삶으로
- 내 감정을 책임질 때 찾아오는 자유
- 우리를 변화시키는 진정한 힘은 무엇일까요
- 말이 통해야 일이 통한다
주요저서

안녕하세요.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은 명사초청강연으로 박재연 소장님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살다 보면 이유조차 알 수 없는 힘듦 앞에서 멈칫하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나는 왜 이렇게 반응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곤 하지요.


이번 명사초청강연에서 박재연 소장님은
내면의 상처와 회복의 여정을 통해,

우리 모두가 자기 자신을 다시 돌보고 일어설 수 있는 방법을 나눠주십니다.

단순한 위로가 아닌, 삶을 버텨내고 다시 나아가게 하는 실질적인 통찰이 담긴 강연이 될 것입니다.

 

 

1. 가족 관계가 남긴 깊은 흔적


심리학에서는 이를 ‘내적 작동 모델’이라고 부르는데, 어린 시절 형성된 애착 경험이 성인이 된 후 우리의 인간관계 방식과 신뢰의 기준이 됩니다.

즉, 아동기의 경험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지금도 우리 안에서 작동하는 살아 있는 지도라는 것이죠.

2. 성인이 되어도 반복되는 낯선 반응


머리로는 감사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무의식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거죠.

그러다 보면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과 “현실 속 내 모습”의 간격이 커지고, 결국 스스로를 더 힘들게 만듭니다.

 

3. 지연된 애도의 무게


제때 표현되지 못한 감정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신체적 통증이나 만성 불안
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중요한 건 “그때 내가 표현하지 못한 감정이 있었구나”를 인정하는 것이고, 그것을 조금씩 언어로 꺼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만 오늘의 삶을 더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4. 부모의 사과와 관계의 유연성


부모의 사과는 단순히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유연성을 아이에게 가르쳐 주는 일이 됩니다.

사실 사과는 체면을 잃는 일이 아닙니다. 오히려 “더 존경스러운 부모”로 남게 만드는 길이지요.

 

5. 대체 애착과 희망의 새로운 정의


그리고
저는 희망을 단순히 낙관적 태도가 아니라, 고통을 끌어안고도 앞으로 나아가는 힘이라고 말씀드립니다.

그 믿음을 가질 때 우리의 아픔은 더 이상 수치가 아니라, 오히려 삶을 깊게 만드는 자산이 됩니다.

 

6. 존재로 바라보는 관계


하지만
그를 온전한 존재로 바라보면, 관계는 다시 살아납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문제가 아닌 존재가 되어야 한다.” 이 말은 단순한 관계의 기술이 아니라, 사람을 대하는 근본적인 태도를 일깨우는 말입니다.

결국 조용한 회복이란 과거의 상처를 지우는 것이 아니라, 그 아픔까지 끌어안고 더 깊은 나 자신으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