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박재연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382
동기부여( 동기부여 )
경영( 리더십 )
소통( 소통, 감성소통, 커뮤니케이션, 관계 )
교육( 자녀교육, 부모교육 )
안녕하세요.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은 명사초청강연으로 박재연 소장님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살다 보면 이유조차 알 수 없는 힘듦 앞에서 멈칫하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나는 왜 이렇게 반응할까?”라는 질문을 던지곤 하지요.
이번 명사초청강연에서 박재연 소장님은 내면의 상처와 회복의 여정을 통해,
우리 모두가 자기 자신을 다시 돌보고 일어설 수 있는 방법을 나눠주십니다.
단순한 위로가 아닌, 삶을 버텨내고 다시 나아가게 하는 실질적인 통찰이 담긴 강연이 될 것입니다.
1. 가족 관계가 남긴 깊은 흔적
심리학에서는 이를 ‘내적 작동 모델’이라고 부르는데, 어린 시절 형성된 애착 경험이 성인이 된 후 우리의 인간관계 방식과 신뢰의 기준이 됩니다.
즉, 아동기의 경험은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지금도 우리 안에서 작동하는 살아 있는 지도라는 것이죠.
2. 성인이 되어도 반복되는 낯선 반응
머리로는 감사해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무의식적으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거죠.
그러다 보면 “내가 원하는 나의 모습”과 “현실 속 내 모습”의 간격이 커지고, 결국 스스로를 더 힘들게 만듭니다.
3. 지연된 애도의 무게
제때 표현되지 못한 감정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시간이 흐를수록 신체적 통증이나 만성 불안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중요한 건 “그때 내가 표현하지 못한 감정이 있었구나”를 인정하는 것이고, 그것을 조금씩 언어로 꺼내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서만 오늘의 삶을 더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4. 부모의 사과와 관계의 유연성
부모의 사과는 단순히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유연성을 아이에게 가르쳐 주는 일이 됩니다.
사실 사과는 체면을 잃는 일이 아닙니다. 오히려 “더 존경스러운 부모”로 남게 만드는 길이지요.
5. 대체 애착과 희망의 새로운 정의
그리고 이라고 말씀드립니다.
그 믿음을 가질 때 우리의 아픔은 더 이상 수치가 아니라, 오히려 삶을 깊게 만드는 자산이 됩니다.
6. 존재로 바라보는 관계
하지만 그를 온전한 존재로 바라보면, 관계는 다시 살아납니다.
“우리는 서로에게 문제가 아닌 존재가 되어야 한다.” 이 말은 를 일깨우는 말입니다.
결국 조용한 회복이란 과거의 상처를 지우는 것이 아니라, 그 아픔까지 끌어안고 더 깊은 나 자신으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사실을 기억했으면 합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