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강사소개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강연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강사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강연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전체 강사소개

  • URL
  • 페이스북
  • X
  • 카카오톡
  • 구글+
김동헌 열린사이버대학교 특임교수

강연분야

경영( 리더십, 혁신, 위기관리 )

주요학력

- 한세대학교 대학원 도시정책학과 재난안전관리 공학 박사
- 한세대학교 대학원 도시정책학과 재난안전관리 공학 석사

주요경력

- 우석대학교대학원 재난안전공학과 겸임교수
- 동아대학교대학원 국제법무학과 재난안전정책전공 겸임교수
- 소방방재청 기업재난관리정책추진기획단 상근전문위원
- 소방방재청 재해경감대책협의회 재난상황관리단 운영담당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재난관리 심의위원회 위원
- 재난관리 국제표준 ISO/TC223(Societal Security, 사회안전) 전문위원
- 한국산업관계연구원 부설 재난안전원 원장
- 재난 및 안전관리, 위기 및 연속성관리, 중대재해 및 화학물질, 기후변화 및 탄소중립, 산업안전 및 안전문화 등에 관한 연구, 교육, 컨설팅 전문기관
(재)한국재난안전기술원 전무이사/연구위원
- 재난 및 안전관리 연구교육 전문기관 한국BCP협회 사무국장, 평생교육원장
- 재난관리사, 재난관리지도사 양성 기관 한국 GIS산업협회 수석부회장
- 한국능률협회 매니지먼트 상임경영고문
- 안양대학교 최고경영자 케렌시아과정 2기 회장

강연주제

1. 재난관리분야
1.1 재난관리 리더의 역량강화를 위한 [재난관리 리더십]
- 위기상황의 전개 및 의사결정모델
- 국가재난관리법령체계의 개념 및 연혁
- 국가재난관리 법정계획, 법정분류, 법정조직, 법정매뉴얼의 이해 및 행정관리
-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를 위한 요구사항
- 재난관리문화정착을 위한 지식함양
-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체계의 구축방안
1.2 재난관리 기본소양의 배양을 위한 [재난의 이해 및 재난관리]
- 재난의 근원부터 재난의 이론
- 국내와 주요 재난사례 및 그 교훈
- 국가재난관리법령체계 등의 이해
- 재난관리에 접근하는 기본소양의 배양
1.3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국가재난관리법령체계의 이해]
- 국가재난관리법령체계의 개념 및 연혁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의 주요내용
- 국가재난관리 법정계획, 법정분류, 법정조직, 법정매뉴얼의 이해 및 행정관리
-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체계의 구축방안
1.4 법적 요구사항의 이해 및 법률적 재난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독해]
- 「헌법」 및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법령체계의 이해
- 법령상 요구사항의 해석과 이해
- 실효성 있는 재난관리체계의 구축방안
1.5 [기업재난관리사 특강]
- 실무분야/대행분야/인증평가분야 지격시험 대비 강의

2. 안전관리분야
2.1 불안한 현장, 법률적 과실, 복잡한 서류, 책임의 한계 등 현실적 접근을 위한 [안전관리 리더십]
- 위기관리 및 안전관리의 접근
- 산업재해 발생현황과 배경
- 안전의 실체와 인적관리중심 안전관리
- 안전관리자의 직무와 역할(영제16조)
-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안전관리자 역할
- 불안한 현장, 법률적 과실, 복잡한 서류, 책임의 한계 등에 대한 현실적 접근
2.2 불안한 안전관리, 법률적 과실, 책임의 범위 등 현실적 접근을 위한 [관리감독자 직무와역할]
- 기관/기업체/단체 등의 안전관리체계
- 위기관리 및 안전관리의 접근
- 산업재해 발생현황과 배경
- 안전의 실체와 인적관리중심 안전관리
- 관리감독자의 직무와 역할(영제15조)
- 안전문화정착을 위한 관리감독자 역할
- 불안한 현장, 법률적 과실, 복잡한 서류, 책임의 한계 등에 대한 현실적 접근
2.3 산업안전법령의 이해와 실효성 있는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 국가 안전관리체계의 이해
- 국가안전관리 법정계획, 법정분류, 법정조직, 법정매뉴얼의 이해 및 행정관리
- 「산업안전보건법」 법령체계 및 주요내용
- 「중대재해처벌법」의 법령체계 및 주요내용
- 산업안전보건 관련 법령의 이해 - 법령상요구사항의 해석과 이해
- 실효성 있는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방안
3. 위기관리분야
3.1 위기상황 위기관리리더의 역량강화를 위한 위기관리 리더십
-위기와 재난관리 법령체계
-국가위기관리법령체계
-위기상황의 전개 및 의사결정모델
-위기관리리더의 핵심역량의 이해 및 배양
-실효성 있는 위기관리를 위한 요구사항
-위기관리문화정착을 위한 지식함양
-실효성 있는 위기관리체계의 구축방안
3.2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성공전략
-위기의 개념
-위기관리 개요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 전략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이 미치는 영향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
-성공적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단계별 전략
3.3 나를 위기로부터 해결하자 [나의 위기 전략]
-나의 위기는 어디서부터 오나
-그래서 나는 안전합니까?
-위기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자
-나의 위기를 쪼개 보자.
-자! 위기로부터의 탈출하자
-나의 위기는 기억된다.
-위기로부터 나를 지키기 위한 전문가의 팁
4. 맞춤형 강의
4.1 맞춤형 강의
- Business continuity plan/management
- Risk mapping & management
- Enterprise risk management 실천
- 안전사회∙안전생활
- 안전보건관리∙시설안전관리
-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 기타 맞춤형의뢰 등

주요저서

- 공동주택 안전관리 (박영사, 2020)공저

출강이력

-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일부, 기상청, 해양경찰청, 소방방재청
-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중앙전파관리소,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정부통합전산센터 등, 국방전직교육원, 안전모니터봉사단중앙회, KISTEP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 다수
- 강원도, 서울시도봉구, 부산광역시 인재개발원, 충청남도 교육연수원, 전라남도 교육연수원, 서울시북부 교육지원청, 경상북도 지방공무원교육원, 남양주시 자원봉사센터 등 다수

<대학교> 부경대학교, 울산대학교, 상명대학교, 세명대학교, 목원대학교, 호남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우석대학교, 우석대학교 대학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등,

<공사, 공단 등> 인천국제공항공사, KAC한국공항공사, BPA부산항만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KCA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kr한국농어촌공사, KCTI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기술교육원,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KSD한국예탁결제원,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KRIHS국토연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KORES한국광물자원, 기업주치의센터 등

<환경관련 단체> 환경정책평가원, 한국환경공단, 환경안전포럼, KEI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등

<기업체>
SK telecom, BC card, 삼성서울병원, 한국남부발전, 한국품질재단, KSR인증원, 한국증권금용, 엔지니어링공제, 대한주차산업협회 등
<관련 협단체>
중대안전보건예방협회, 한국안전보건협회, 한국시민안전연구원, 한국안전위기관리연합회(EMS), 2014 정보보안컨퍼런스 등

강의평가

평점 0점 ( 0명 참여 )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