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기업특강 지나영 교수, 김주환 교수 특강 '있는 그대로 행복해지는 뇌과학적 방법' 힐링 강좌 

김주환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380

강연내용 소개
나답게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은 강한 내면의 힘
강연분야

4차산업( 개인정보보호 )

경영( 리더십 )

소통( 소통, 관계 )

교육( 공부법 )

창의( 창의, 마케팅 )

영업( 설득 )

주요학력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 펜실베이니아대학교 대학원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석사
- 서울대학교 정치학 학사
주요경력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
- 한국HCI학회 인문사회학술위원장
- 한국마음두뇌교육협회 이사
- 한국인지과학회 이사
- 휴먼커뮤니케이션랩 디렉터 외 다수 경력
- 한국HCI학회 우수논문상
- 연세대학교 우수강의교수 외 다수 수상
강연주제
- 회복탄력성
- 소통지능 향상과 창의적 리더십
- 역경을 이기는 회복탄력성 어떻게 높일 것인가
- 방송통신융합과 정보의료서비스 고도화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의 중요성
주요저서

안녕하세요. 기업특강 강연 전문기업 호오컨설팅 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강연은 지나영 교수님과 김주환 교수님의 '있는 그대로 행복해지는 뇌과학적 방법' 힐링 특강 영상을 분비했습니다.

기업및 관공서, 시민대상으로 많은 기업특강을 진행하시는 김주환 교수님은 소통능력, 회복탄력성, 말하기와 토론, 설득과 리더십 등 등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바탕으로 많은 강연활동을 하시는데요, 

지금 바로 힐링 강좌 시작하겠습니다.

 



김주환 교수님)

저는 늘 두려움이 마음 일력의 가장 큰 적이고 그 두려움을 가라앉혀야 폭력이나 뭐 여러 불안감이 없어진다.

두려움을 가라앉히는 법은 두려움의 원인을 제거해야 되잖아요.

두려움의 가장 큰 원인은 집착이거든요.

무슨 두려움이든지 예를 들어 내가 이 물병에 집착을 하잖아요.

물병에 집착을 하면 이 물병을 누가 가져갈까 봐, 물병을 잃어버릴까 봐 계속 부들부들 떨고 물병을 손에 들고 있으면서도 불안해지죠.

그래서 집착하지 않는 거 예를 들어 내가 100억이라는 돈을 꼭 벌고 싶다.

그러면 100억을 못 벌까 봐 두려워지고, 설령 어떻게 운 좋게 100억을 벌었어 그러면 이 번 100억을 날릴까 봐 누가 가져갈까 봐,

투자해서 날릴까 봐 또 두려워지고

그러니까 끊임없이 집착하게 되면 그걸 어떤 안눴던 어떤 상황에서도 계속 두려움이 된단 말이죠.

그러면 집착하지 않는 건 그걸 마음으로 놓는 거죠.

그 마음으로 놓는 거를 수용, 항복이라고 그래요.

그러니까 '돈에 집착하지 않아' 그러면 내가 100억을 벌든 안 벌든 돈이 있든 없든

'에이 모르겠다~' 이렇게 살면 그 집착이 없는 건데, 동기도 사라지는 거죠. 

그런데 동기는 우리 삶에 어떤 에너지를 주는 거고, 즐거움을 주는 거고 하기 때문에

100억을 추구하는 마음은 그걸 원한다면 있어야 된다고 생각을 해요.

그걸 추구하되 집착하지 않는 거 그게 선호거든요.

집착과 선호의 차이가 뭔냐면, 그거를 못 이뤘을 때 내가 불행감을 느끼느냐 이게 차이예요.

'100억을 못 벌면 더 불행해질 것 같아. 엄청 불행해질 것 같아' 그러면 집착인 거고요.

'100억을 못 벌었을 때 기분이 좋지 않지만 뭐 할 수 없지' 이 정도면 선호인 거고요. 




지나영 교수님)

그것만 깨달아도 사람들의 힘든 마음의 힘듦과 고생과 스트레스가 꽤 많이 내려갈 것 같아요.


김주환 교수님)

진짜 간단한 얘기인데 사람들의 마음의 습관이라는 게 잘 바뀌지가 않아요.

이걸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면 '그렇지 일리 있는 얘기야. 나도 알아. 근데 그게 내 삶에 내면화되느냐 그게 안 되는데 

그 안 되는 걸 가장 큰 이유가 뭘까?'

들여다보니까 인정 중독.

타인에 대한 인정의 집착하고 있는 거예요.

그래서 어려서부터 부모의 칭찬이나 이런 거에 마약 중독되듯이 중독된 사람은 타인의 인정 타인으로부터의 존중 엄청 집착 돼 있거든요.

예를 들어 내가 100억을 벌까? 200억을 벌까? 할 때, '내가 지금 이 나이에 100억 정도 갖고 이 사람들이 다 존경해주겠어?' 

이런 식으로 판단을 하거든요.

인정 중독을 내려놔야 그것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어요.

그것만 하면 멘탈이 건강해질 수 있어요.

그걸 안 하기 때문에 학부모끼리 경쟁하고 '우리 애라면 적어도 무슨 대학 가야지' 그게 인정중독이에요.

그 인정중독 때문에 내 삶을 망치고 우리 애 교육까지 망치는지 그래서 인종 중독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지나영 교수님)

너무 중요한 파트인데, 어떻게 사람들이 실천하면 좋을까요?


김주환 교수님)

그런 식으로 생각해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사람들한테 훈련시키는 법은 뭐냐 하면 어떤 중요한 내 일상생활 속에서의 우리가 결정 의사결정을 내려요.

예를 들어 '나 차 바꿔야 돼 차 사야 돼' 이럴 때, 머릿속에 그냥 나만 있어야 되거든요.

근데 보통 경우 어떻게 하냐면 주변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에 따라 내 의사결정을 해요.

그리고 마음속으로 그런 사람들은 자꾸 자기의 행동이나 의사결정에 대해서 설명을 해요.

내 머릿속에 '아, 내가 지금 말이야 이 물을 먹는 이유는 사실 나는 오늘 이거보다 더 좋은 물 먹는 사람인데...'

그래서 계속 설명 변명을 해요.

그게 인정 중독에 빠진 사람의 특징이 대표적인 특징이에요.

그래서 어떤 멘탈 훈련을 해야 되냐면 내 삶의 어떤 거에서도 나는 누구에게도 설명하거나 변명하지 않아야 해요.

아마 어렸을 때부터 엄마한테 변명하는 버릇이 들어서 그럴 거예요.

내면적으로 지금 내가 만화책을 보는 이유는 그리고 막 지금 변명을 하면서 보고 있잖아요.

그런 습관을 없애야 합니다.

 


지나영 교수님)

끝까지 굉장히 강조해 주시는 게 마음 근력을 강화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 또 용서라고 말씀하시잖아요.

이건 정말 많은 사람에게 좀 어렵게 다가올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김주환 교수님)

우리나라 말의 용서랑 조금 그 뉘앙스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냥 좋은 게 좋은 거 아니야 그냥 덮고 넘어가' 그게 용서가 아니거든요.

용서의 진짜 핵심적인 개념은 giving forward 앞으로 내어준다 예요.

그래서 뭘 앞으로 내어주냐 하면 우리가 현재에 충실하게 존재할 수 있기 위해서는 giving forward를 매번 해야 되는 거예요.

즉 과거로부터 얽매임을 끊어내는 거죠.

어떤 사람이 나한테 어떤 피해를 줬을 때 용서한다는 것은

이 사람의 나쁜 행동으로 인해 내가 계속 구속되고 계속 괴로움을 당하는 걸 끊어내겠다는 뜻이거든요.

그러니까 굉장히 달라요.

나한테 어떤 큰 피해를 끼쳤어 거기다 대고 '나는 아량이 넓으니까 괜찮아 괜찮아' 이걸 하자는 게 아니에요.

그런 뜻이 아니라 복수심에 이글이글 불타는 건 이런 거예요.

뭐냐면 이 사람이 나에게 나쁜 짓을 했어요. 그러면 나한테 내 삶에 마이너스가 가해졌죠.

'두고보자' 막 이러고 보면 더 큰 마이너스가 추가적으로 지금 계속 가해지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멘탈도 안 좋아지고 복수심은 면역 시스템도 떨어뜨리고 이중으로 손해인 거예요.

이 사람이 나한테 나쁜 짓을 했어 손해.

그 덕분에 나는 계속 부글부글 끓으면서 내가 나를 처벌해요.

그래서 또 손해죠.

두 번째 파트라도 안 하자는 거죠.

용서를 못하는 건 어떤 상태냐면 잘못은 얘가 했어요.

그래서 그거를 끊어내는 훈련 그게 용서 훈련이고 건강에 얼마나 많은 효과가 있는지는 대충 찾으면 힐링 효과에 대해서 이미 나오고 있고요.

용서는 편도체 안정화에 효과가 있고 감사는 전전두피질이 활성화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앤드류 휴버만이라는 스탠퍼드 의사가 있어요.

제 논문에 대해서 한 5분 이상 이 감사의 효과에 대해서 이거 꼭 봐야 된다라고 말하자면 감사 명상의 아주 대표적인 연구로 지금 자리 잡아 있죠.

 


지나영 교수님)

제가 이제 23년 이제 미국에 살고 있으면 많이 하는 것 같아요.

예를 들면 감사 명상 기도 이런 걸 아주 많이 하시더라고요.

 

김주환 교수님)

그런 거 하나만 자꾸 하도록 해도 세상이 많이 달라질 거예요.

 

 

지나영 교수님, 김주환 교수님은 지금까지 기업 임직원, 관공서, 대학 등에서 기업특강으로 많은 강연을 진행해오셨습니다.

지나영 교수님, 김주환 교수님과 많은 특강강사 강연이 궁금하시면??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