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트렌드강의 김용섭 소장 '한국에서 가장 좋은 직업은?' 특강

김용섭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1700

강연내용 소개
이 강의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좋은 직업'의 기준을 토대로 의사 직업의 인기에 대해 탐구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고소득, 직업 안정성 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지만, 동시에 산업 발전과 미래 경제를 고려할 때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이 강의는 과거와 현재의 직업 선호 동향을 비교하며, 개인의 직업 선택이 사회와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강연분야

동기부여( 자기계발 )

4차산업( 4차산업, 트렌드, 디지털기술, 미래, IT, 미래사회, 비즈니스 )

경영( 경영, 리더십, 조직문화, 혁신 )

교육( 자녀교육, 글쓰기 )

창의( 창의, 창의력, 마케팅 )

주요경력
-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 소장 (2006 ~): Trend Insight & Business Creativity
- KBS-1R <함께하는저녁길 정은아>(트렌드 2016/2017)고정패널 (2016. 5~ 2017. 8)
- KBS-1R <생방송 오늘> (트렌드 2015/2016)고정패널 (2015. 1 ~ 2016. 5)
- TBS FM <김갑수의 마이웨이>(트렌드)고정패널 (2017. 3 ~ )
- 휴넷CEO 트렌드 브리핑 <트렌드 인사이트> 진행 (2015. 3 ~ )
- KBS World Radio <한민족네트워크>(미니특강,생각충전)고정패널 (2017. 8 ~ )
- TBS FM <김미화의 유쾌한 만남>(상상력)고정패널 (2015. 9 ~ 2016. 3)
- CBS-Radio <뉴스로 여는 아침> (트렌드)고정패널 (2016. 3 ~ 4)
- KBS World Radio <생생코리아> (트렌드)고정패널 (2014. 4 ~ 2015.12)
- PBC-Radio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트렌드)고정패널 (2013.10 ~ 2016. 2)
- 비즈한국 '클라스업' 칼럼 연재 (2016. 5 ~  )
- 매거진D(동아일보) TREND INSIGHT 칼럼 연재 (2016. 10 ~ 2017. 2)
- 주간동아 칼럼니스트 : '김용섭의 작은 사치' 칼럼 연재 (2014. 2 ~ 2015. 3)
- KBS-1R <생방송 토요일 아침입니다> (트렌드)고정패널 (2013. 4 ~ 2014. 8)
- CBS-Radio <좋은아침 김덕기입니다> (김용섭의 관찰) 고정패널 (2013.11 ~ 2014. 5)
- CBS-Radio <좋은아침 김윤주입니다> (비즈니스 트렌드)고정패널 (2013. 1 ~ 10)
- Management Strategy & Business Creativity : Consultant (2006 ~ 현재)
- Web-media & Digital Contents Strategy : Consultant (1998 ~ 현재)
- Columnist & Technical Writer (1996 ~ 현재) 외 다수의 경력보유
강연주제
- Trend Insight : 트렌드에서 찾는 기회 (최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 언컨택트 Uncontact Society : 코로나 19 이후의 라이프/비즈니스/사회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 트렌드로 보는 인문학 : 한국인/한국사회는 지금 어떤 욕망/트렌드에 빠져있는가?
- 트렌드는 경제다 : 트렌드 속에 숨겨진 다양한 경제/비즈니스 이야기
- 트렌드와 리더십 : 혁신적 리더들은 왜 트렌드에 민감할까?
- 밀레니얼세대는 누구인가? 그들과 어떻게 일할 것인가? 세대공감과 조직문화
- 최신 마케팅 트렌드 + 최신 소비자 트렌드 : 시장과 소비자의 변화 흐름 (업종별)
- IT / High Tech 트렌드와 비즈니스의 흐름 : 신기술이 바꾸는 변화와 기회
- 누가 미래를 만드는가? : 미래 예측과 혁신가의 역할
- 미래와 기회를 만드는 4 가지 안목 : 4 sight (Keen-Sight + Foresight + Cross Sight + Insight)
- Business Insight : 4차 산업혁명과 뉴노멀 시대의 비즈니스 패러다임 & Digital Transformation 전략
- 누가 지금 한국을 바꾸는 핵심세력인가? : 한국의 주요 세대별 특성 분석
- 싱글 트렌드 : 1 인가구 및 싱글이 바꾸는 미래, 화려한 싱글이 아닌 완벽한 싱글로 진화
- 노인 트렌드 : 노령화 사회가 바꾸는 라이프스타일과 새로운 트렌드
- 혁신을 위한 전략 : 위기의 기업, 혁신만이 살 길이다!
- 비즈니스 창의력과 창조적 혁신 / 신사업과 마케팅에서의 창의력
- 창조적 리더십과 창조적 조직 : 왜 창조와 혁신이 중요한가? 미래 리더에게 요구되는 창조적 자질
- Asking, Creativity, Insight : 질문에서 시작되는 창조와 통찰
- 왜 한국인은 질문에 약한가? 질문과 창조의 관계
- 당신의 잠자는 창의성을 깨워라 : 날카로운 상상력과 생각의 씨앗
- 아이의 미래를 망치는 엄마의 상식 : 미래형 인재로 키운다는 의미는?
- 어른이 사라지는 사회 : 노령화사회의 위기와 새로운 모색
- 페이퍼 파워(Paper Power) - 글쓰는 자가 누릴 기회, 전략적 글쓰기
- 프로패셔널 스튜던트 PROFESSIONAL STUDENT – 누가 미래에 살아남을 인재인가?
- 자본주의가 선택한 미래 생존 전략 ESG 2.0
주요저서
갤러리

트렌드강의(특강) 영상은 김용섭 소장님이 전하는 '한국에서 가장 좋은 직업'이라는 주제로 말씀하시는 짧은 영상입니다.

김용섭 소장님은 대기업 그룹사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등 정부기관에서 약 2800회 이상의 트렌드 강의(특강), 미래기술, 미래전망등 다양한 주제와 내용으로 강연활동을 하십니다. 그럼 바로 영상 시작하겠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좋은 직업은 뭘까요? 수많은 직업이 있겠죠?

근데 여기서 말하는 좋은 이라는 기준을 고소득에 정년도 없고 원하면 길게 일할 수 있고, 사회적 지휘 존경도 받을 수 있고 , 이 전공을 선택하기만 하면 취업 걱정 전혀 없어지고 100% 취업 보장되는 그리고 아무나 특별한 자격증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무나 이 직업을 가지지 못해서 이 직업의 자격이 딱 보호될 수 있는 이런 직업 뭐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의사 아닐까요?


한국은 의사가 가장 우대 받는 사회 중에 하나죠. 모든 수험생들 모든 학부모들이 아이들을 의대 보내려고 열심히 합니다.

설령 의대를 못 갔으면 재수해서라도 의대를 보내려고 하죠.


우리나라에서 1990년부터 2023년 최근까지 자연계에서 가장 지원 가능 점수가 높은 탑텐 이 과가 어디일까요?

1990년에는 1위 서울대 물리

2위 서울대 컴공

3위 서울대 의예

4위 서울대 전자공학

5위 서울대 미생물

6위 서울대 제어계측

7위 서울대 무기재료공학

8위 서울대 기계공학

9위 서울대 계산통계

10위 서울대 항공의전

1위부터 10위까지 우선 다 서울대는 기본이죠.


다 공대 과들이 쫙 보입니다.

1995년 어떠냐? 1위 서울대 의예, 2000년으로 넘어오면 1위 서울대에 의예 그 다음에 연세대에 의예 성균관대 의예, 의예들이 대거 진입했어요.

구십 년만 해도 전체 열 개 중에 열 개가 다 서울대인데에 비해 많이 바뀌었죠.

2000년 들어왔더니 10개 중에 서울대는 4개 구역 나머지는 다 의예.

2005년은 어떠냐 2005년은 10개 다 의대입니다.

의예 치의예 한의예 이렇게 해서 다 의대입니다.

2010년 마찬가지 다 10개 다 의대입니다.

2015년 마찬가지 마찬가지 2023년도 마찬가지 다 의대입니다.

90년만 해도 다 서울대였는데 이제는 서울대도 아니고요.

물론 1위가 서울대 의예이긴 하지만 나머지는 다 각 학교의 주요 의대입니다.



자연계에서 공부 제일 잘하는 학생들 제일 좋은 점수들이 다 의외로 몰리고 있습니다.

이럴 수밖에 없죠. 농담 삼아 그런 얘기 합니다.

서울대 의대에서 꼴찌 해도 나중에 연봉 3억이야.

농담 삼이라는 얘기 하는데 실제로 의사들이 평균 소득이 가장 높습니다.

평균 소득 그 직업을 가지기만 하면 평균적으로 얼마를 받느냐에 대한 기준을 가지고 평가한 리스트가 있습니다.

사실 어떤 분약은 상위 1%는 어마하게 돈 벌 수 있어요.

근데 상위 1%가 되는 건 쉽지 않잖아요.



근데 그 직업 가지기만 해도 돈 잘 벌 수 있는 직업 그래서 평균 소득이 높은 직업 50개를 뽑았었는데 이게 2020년 기준의 자료인데

1위 이빈인후과의사, 2위 성형외과 의사, 3위 피부과 의사, 4위 외과 의사, 5위 안과 의사, 6위 산부인과의사, 7위 정신과 의사 다 의사죠 우선 그리고 그다음에 기업 고위 임원 대기업 임원 되는 거 쉽지 않죠

그 다음에 비뇨기과 의사, 내과 의사, 소아과 의사, 그다음에 항공기 조종사 하나 있고, 그다음에 한의사 그 다음 대학교 총장이죠. 총장 되는 거 이것도 만만치 않은 일인 거죠.

그다음 들어오는게 가정의학과 의사, 방사선과 의사, 이렇게 해서 쭉 일반 의사 마취 병리과 의사, 치과 의사 등 의사들이 상위권에 다 포진돼 있어요.


전공 과만 다를 뿐이지 다 의사예요.

평균 소득이니까요. 이 의사 내에서도 상위권 의사들은 어마어마하겠죠.

그러면 이러니 우리나라에서 의대를 보내려고 그렇게 안 달라고 난리 나야 되겠죠.

그럼 이게 의사의 쏠림 개인적 직업적 가치로 봐서 이런 선택하는 거 좋습니다.

그런데 전체로 보자면 산업을 이끌어가는 건 지금 공대죠, 공학입니다.

테크가 다 이끌어 나갑니다.

it가 됐건 클린테크가 됐건, 미래 산업의 주도권은 다 그 방향에 있고 지금 우리가 놀라고 있는 미국에서 ai에 대한 부분이나 새로운 산업 나올 때마다 빅테크들이 뭘 할 때마다 놀라는데 다 공학에 공대입니다.

근데 우리는 유능한 사람들이 다 의대에 쏠리고, 공대를 가도 자퇴하고 공부해서 또 의대로 가고 이런 현실 이건 생각해볼 일입니다.

개개인들의 삶을 윤택하는 거 뭐 이 선택이니까? 어쩔 수 없긴 한데 한국의 미래 산업의 미래 경제의 미래를 따져봤을 때는 조금 많이 아쉽습니다.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MC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MC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