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정우열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4152
건강( 건강, 스트레스, 심리, 정신 )
교육( 자녀교육, 육아, 부모교육 )
감정이 억눌릴수록 마음은 병듭니다.
오늘 소개할 강연은 정신건강 전문가 정우열 원장님의 강연섭외 추천 특강입니다.
우울감, 낮은 자존감, 회피 행동…
이런 마음의 문제는 특별한 사람만 겪는 게 아닙니다.
바쁘고 지친 일상 속에서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감정의 신호일 뿐이죠.
정우열 원장님의 강연에서는 억누른 감정을 건강하게 마주하는 법, 감정을 해석하고 돌보는 방법, 그리고 내 마음을 회복시키는 심리적 기술을 알기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지금, 내 마음의 소리를 듣고 싶은 분들께 꼭 필요한 강연입니다.
진짜 나를 이해하는 시작, 바로 이 강연에서 함께해보세요.
생활 반경이 좁아지는 우울증의 현실
우울증이 시작되면 생활 반경이 극단적으로 좁아집니다.
침대 밖을 벗어나지 못하고, 식사는 물론 핸드폰, 컴퓨터까지 침대에서 해결하려는 모습이 반복됩니다. 자는 시간은 늘고, 에너지는 줄어들며, 의욕과 흥미는 사라집니다.
이런 행동 변화는 단순한 게으름이 아니라 무기력과 두려움 때문입니다. 침대는 안전한 공간이지만, 정확히 말하면 침대 밖이 너무 두려운 상태인 겁니다. 도전이나 변화에 대한 감정적 소모를 피하려는 자기 보호 본능이 작동합니다.
우울증은 '감정의 병'입니다
우울증은 단순히 슬프고 우울한 감정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감정의 인식과 수용이 어려워지면서 무기력과 자책, 죄책감, 공허함이 커지고, 이는 에너지 고갈로 이어집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자신의 감정조차 믿지 못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내가 정말 우울한 게 맞을까?", "이 정도는 다 겪는 거 아닐까?"라는 의심은 자존감이 낮아진 결과이기도 합니다.
감정을 수용하지 못하는 문화
"우울해."라고 말하는 순간 돌아오는 반응은
“네가 우울하면 취준생들은 어떡하냐?”
“나는 우울해도 버텼다.”
감정에 대한 수용보다 평가와 비교가 먼저 오는 문화는 우울증을 더 악화시킵니다.
결국, 우울한 사람은 감정을 숨기고 ‘괜찮은 척’ 하느라 더 지칩니다. 도움을 받아야 할 시기에 오히려 더 고립되고 방치되는 거죠.
자존감의 본질은 '내 감정에 대한 확신'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 중 하나는
"넌 뭐 먹고 싶어?"라는 질문에 “난 아무거나 괜찮아.”라고 대답하는 태도입니다.
겉으로는 배려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자기 감정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그리고 이런 감정 억압은 언젠가 부자연스럽게 폭발하게 됩니다.
회피의 악순환: 혼자인데 외로운 사람들
회피 성향이 강한 사람은 낯선 관계나 상황이 너무 두려워서 애초에 인간관계를 차단합니다.
하지만 혼자 있는 동안 SNS를 보며 외로움을 더 느끼고,
"나는 왜 여기에 없을까?" "나는 왜 이렇게 고립됐을까?"라는 생각이 계속 맴돌게 됩니다.
이런 회피는 고립과 자괴감을 키우고, 더 회피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일으킵니다.
자존감과 완벽주의의 연결고리
완벽주의는 자존감이 낮을 때 더 강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나는 이 정도로는 안 돼”, “지금은 준비가 안 됐어”라며 관계든 일든 미루고 피하고 도망가는 습관이 생깁니다.
하지만 이런 미룸과 회피는 결국 ‘나는 게으르고 부족한 사람’이라는 자기혐오로 되돌아옵니다.
감정 일기: 내 마음을 바라보는 유일한 방법
우울증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장 근거 있는 방법은 유산소 운동이지만, 그보다도 먼저 해야 할 일은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연습입니다.
감정 일기는 감정을 억누르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는 방법입니다.
부정적인 감정일지라도 구체적으로 언어화하고, “나는 지금 위축되어 있구나” “나는 나를 한심하게 느끼는구나”라고 인정하는 것이 해소의 시작입니다.
감정은 억누를수록 커진다
우리는 감정을 감추고 포장하려 합니다.
그러나 감정은 억누를수록 커지고, 언젠가는 폭발합니다.
감정을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사람이 결국엔 인간관계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진짜 자존감은 ‘내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힘’
자존감이 낮다고 느낀다면, 억지로 자신감을 끌어올리려 하기보다, 지금 내 감정이 어떤지부터 바라보는 연습이 먼저입니다.
정서적인 호흡, 즉,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표현하고, 누군가에게 공감받고 수용받는 경험이
우울증도, 자존감도, 인간관계도 회복시켜주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