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내 마음이 왜 이럴까?’ ‘내 기분이 왜 이러지?’
나조차도 모르는 내 마음과 감정의 비밀,
혼자 고민하지 말고 ‘심리학’에 물어봐!
삶에서 가장 처음, 마음이란 것이 궁금해지는 때가 십 대 청소년 시기다. 한층 복잡해진 친구 관계와 외모 고민, 점점 커지는 주변 어른들의 기대와 학업 스트레스, 감정 조절이 안 되는 호르몬과 불안감 속에서 십 대들은 좋았다가도 금세 무기력해지고 우울해진다.
‘내 마음이 왜 이럴까’ 알고 싶어 심리학책을 읽어 보지만,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풀어쓴 책이 그동안 없었던 게 사실. 이 책의 출간이 무엇보다 더 반가운 이유다.
《세상에서 가장 쓸모 있는 심리학》은 ‘내 아이가 읽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쓴 강현식 작가의 청소년 맞춤 심리학 도서다. 책은 각 챕터마다 십 대 학생의 에피소드로 시작하는데, 마치 상담소에 찾아가 심리 상담을 받는 것처럼 구성한 점이 매력적이다. 고민 상담 사례로 시작해 읽는 즐거움이 클 뿐 아니라, 요즘 십 대들의 고민인 외모지향(다이어트), 프로아나(식이장애), 강박, 열등감, 우울과 무기력, 자기 비난의 감정을 프로이트, 융, 아들러, 분트, 스키너, 칼 로저스, 셀리그먼 등 7명의 유명한 심리학자의 이론으로 들여다볼 수 있게 해 준다. 마음의 문제와 해결에 관심 있는 청소년뿐 아니라, 십 대를 이해하고 고민을 함께 해결하고 싶은 학부모와 선생님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들어가며_내 마음이 왜 이럴까 궁금하다면
1. 사랑받고 싶어 하는 나
_지그문트 프로이트(정신분석의 창시자)
아이돌을 꿈꾸다 프로아나가 된 세희
무의식의 빙하 속에 담긴 마음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조로 설명되는 마음
상반되는 두 마음: 에로스와 타나토스
프로이트가 세희를 만난다면…
2. 내가 싫어하는 너의 모습
_카를 융(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이유 없이 친구를 싫어하는 진우
진우에게 있는 마음: 집단무의식
숨겨진 진짜 나를 만나기: 페르소나, 그림자
숨겨진 진짜 나를 끌어안기: 아니마/아니무스, 자기
자기실현은 어떻게 할까?
융이 진우를 만난다면…
3. 끊임없는 비교와 열등감에 힘들다면
_알프레드 아들러(개인심리학의 창시자)
잘하는 게 없다고 생각하는 서준
비교와 함께 찾아오는 열등감
아들러의 세 가지 열등감
열등감은 극복할 수 있을까?
아들러가 서준이를 만난다면…
4. 심리학은 과학 실험이다?
_빌헬름 분트(현대 심리학의 아버지)
철학을 좋아하는 은수 VS 과학을 좋아하는 희철
심리학은 철학일까, 과학일까?
감정에 과학적 접근이 시작된 이유는?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를 찾아서
분트가 은수와 희철이를 만난다면…
5. 지금, 그 행동을 고치고 싶다면
_프레더릭 스키너(행동주의의 대가)
유기견을 입양하고 싶은 세은
행동은 학습의 결과: 스키너 상자
행동 수정: 증가와 감소, 강화와 처벌
처벌보다 안전한 소거
스키너가 세은이를 만난다면…
6. 무기력하고 우울하다면
_칼 로저스(인간 중심 치료의 창시자)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지은
왜 자꾸 우울해지는 걸까?
마음에 고통이 생기는 과정
내가 원하는 내 모습 되기
로저스가 지은이를 만난다면…
7. 긍정의 힘은 진짜 있을까?
_마틴 셀리그먼(긍정심리학의 선구자)
자기 비난의 오류에 갇힌 도현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의 차이
학습된 무기력이란?
학습된 무기력을 넘어서는 낙관주의
셀리그먼이 도현이를 만난다면…
◆ 책 속으로
너는 마음속에 어떤 욕구를 가지고 있니? 혹시 그것이 실현 불가능한 욕구는 아니니?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 나에게 닥친 현실의 삶’이야. 무의식에 지배당하지 않는 삶, 충동에 휘둘리지 않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실현 불가능한 욕구부터 먼저 버리는 게 중요해. 그러려면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고 싶어’, ‘미움받고 싶지 않아’, ‘항상 멋있어 보이고 싶어’ 같은 실현 불가능한 바람은 잠시 내려놓는 게 필요해. _〈1. 사랑받고 싶어 하는 나〉 중에서
우리는 사회가 요구하는 모습에 맞추려고 과도하게 애쓰곤 해. 이렇게 살다 보면 진짜 자신의 모습대로 살아가지 못할 수 있어. 어느 정도 조율은 필요하지만 그것 때문에 나의 원래 모습을 잃어버려서는 안 돼. 다른 사람과 어울려 살아가면서도 나의 모습을 잃지 않는 삶, 그것이 바로 융이 말하는 자기실현의 삶이야. _〈2. 내가 싫어하는 너의 모습〉 중에서
아들러의 주장에 따르면 우리가 평생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많은 동기나 욕구의 밑바닥에는 열등감을 극복하고 보상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해. 살아가는 동안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부분을 보충하고, 그것을 뛰어넘어 완벽함을 추구해 나간다고 보았지. 그리고 아들러는 부족함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불가피한 결점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응해 나가느냐가 중요하다고 보았어. _〈3. 끊임없는 비교와 열등감에 힘들다면〉 중에서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심리학은 철학적 내용(인식론)을 과학적인 방법(실험)으로 접근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지. 이후 심리학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내용(마음)보다는 방법(과학)을 강조했어. 내용을 강조하면 심리학은 철학의 아류가 되지만, 방법을 강조하면 새로운 학문이 되기 때문이야. 시간이 지날수록 이런 경향성은 점점 극대화되어서 이제는 과학이라는 방법론이 심리학의 잣대가 되었단다. _〈4. 심리학은 과학 실험이다?〉 중에서
나이가 어리다고 무기력하거나 우울하지 않은 건 아닌데, 이해받기가 정말 어려운 것 같아. 사실, 어쩌면 성인보다 미성년자가 더 무기력해지거나 우울해지기 쉬워. 호르몬 때문이기도 하고 자유를 누릴 수가 없어서기도 해. 부모님의 말씀도 잘 들어야 하고, 공부도 잘해야 하고, 외모도 신경 쓰이고, 친구 관계도 좋아야 하잖아. 그래야 인정받고 사랑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이러한 여러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면 사랑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기 쉬울 때가 청소년기라서 당연히 불안하고, 무기력하고, 우울할 수밖에 없어. _〈6. 무기력하고 우울하다면〉 중에서
실패를 경험했을 때, 비관주의자들은 그 원인을 “내가 부족해서 그래”, “나 때문이야”라며 자기 자신에게서 찾지. 이런 생각은 겸손과 겸양의 말처럼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자신만 잘하면 모든 것이 잘될 수 있다는 착각과 연결이 되어 있어. 이런 생각을 계속 하다 보면 실패의 원인이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어떤 일을 하든지 실패할까 봐 두렵게 되고, 새로운 상황에서의 도전을 포기하지. 하지만 생각해 보면 내 노력만으로 되는 일이 과연 있을까? 아니, 그렇지 않아. 그래서 “열심히 했지만, 상황이 따라 주지 않았어”라며 노력해도 잘 안 될 수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인 사고방식이고, 낙관주의자의 사고방식이야. 이렇게 생각하면 새로운 상황에 다시 도전할 수 있어. _〈7. 긍정의 힘은 진짜 있을까?〉 중에서
인문학( 인문학 )
소통( 소통 )
건강( 심리, 정신 )
교육( 자녀교육 )
힐링( 행복 )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