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컨설팅

호오스토리

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1:1문의

​이동귀 교수 강연 '성공하는 사람들은 기분과 감정을 이렇게 관리합니다' 특강 강의 영상

이동귀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6665

강연내용 소개
이동귀 연세대 상담심리전공 교수
일 잘하는 사람들은 자기 기분을 관리한다
감정과 기분을 관리하고 좌절하지 않는 방법
강연분야

동기부여( 삶의자세, 자기계발 )

소통( 소통, 커뮤니케이션, 관계 )

힐링( 힐링, 희망, 마음, 자존감 )

주요학력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 미국 미주리주립대학교 박사(상담심리학)
주요경력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한국상담심리학회 회장, 상담심리사 1급 전문가
- 미국 퍼듀대 교육학과 교수
- 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장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부원장
강연주제
- 부서원 행동심리이해
- 리더의 소통(대화법)
- 세대간 소통
- 완벽주의 관련(예: 내 안의 완벽주의로 더 행복한 나를 만드는법)
- 꾸물거리는 사람들
주요저서

안녕하세요. 강사 섭외 전문 플랫폼 호오컨설팅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이동귀 교수 강연 '성공하는 사람들은 기분과 감정을 이렇게 관리합니다' 특강 강의 영상입니다.

감정과 기분을 관리하고 좌절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유익한 정보 얻어가세요.

 

 

 

"사람이 행복해지려면 세 가지의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돼야 합니다."

 

 



1. 자율성의 욕구

스스로 내가 어떤 일을 해내는 것.

2. 유능성의 욕구

내가 일을 잘한다고 느끼는 것.

3. 관계성의 욕구

내가 다른 사람과 소통이 되고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것.



 


"현실 저항형"

 



외부에서 어떤 그 잔소리라든지 어떤 얘기를 통해서 그거를 내가 했을 때 그 크레딧이 자기한테 돌아오는 게 아닌 겁니다.

그냥 내가 잘해 봐야 저 사람 말 따른 것뿐인 거고 나도 혼자 하려고 했던 건데

'왜 달리는 말에다 채찍질을 또 하는 거야? 나도 하려고 했단 말이야!' 이런 약간의 억울함이 생길 수가 있습니다.

 

다른 사람이 어떤 잔소리했던 걸 자꾸 이렇게 듣다 보면 그게 좋은 말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자기는 안 하면서 왜 나한테 자꾸 하라고 해 이런 억울한 감정 이런 것들이 자꾸 뒤섞여 가지고

나중에는 어떤 외부에서 부여하는 것에 하기 싫다라고 하는 그런 마음 자체가 자동적으로 올라오는 겁니다.






조별 모임 과제를 하면, 불화 없이 지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꼼꼼하게 하나하나 체계적으로 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고

어떤 사람은 크게 크게 감으로 하고 싶은 사람도 있고

어떤 사람은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프리젠테이션 방향을 정하고 싶은 사람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똑같이 기여해야 된다는 무임승차를 없애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이 군상에 모여 있는 게 우리의 사회적인 부분입니다.




"타협하고, 균형을 찾아가는 방법"

 



1. 내가 포기하기

2. 차단하기





저항감이 든다는 것은 감정이 먼저 압도 되는 겁니다.

이럴 때는 타임아웃을 해야 되는데,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였을 때 내가 쏟아놓는 모든 말들은 나중에 다시 거둬들여하는 것이고,

감정이 격앙됐을 때는 상대방을 먼저 지칭하면서 얘기하는 거는 싸움 나게 되어 있습니다.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였을 때 감정 그대로를 표출하는 거를 좀 지향을 하고, 시간을 가져서 차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감정 조절의 문제"

 



꾸물거림이 단지 시간 관리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 조절의 문제인 이유는

시간만 잘 세우고 계획대로 하면 될 것 같지만 그 안에 생기는 이 부정적인 감정 처리가 잘 안 되어 머물러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자체에서 그래서 자기의 부정적인 감정 조절을 잘하는 사람이 일을 더 계획적으로 잘 할 수 있는 사람이기도 합니다.

자기 기분을 자기가 좀 잘 알아차리는 훈련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원래 행복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감정과 긍정적인 감정의 비율에서 긍정적인 감정의 비율이 훨씬 높아야지만 행복한 겁니다.

그런데 자기를 자책하고 비난하고 부정적인 얘기를 계속 반복한다면 자기 기분 관리하는 것에 상당히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꾸물거림은 극복할 수 있다!"

 



꾸물거림은 어떻게 보면 학습해 온 우리의 행동 습관이기 때문에 연구에 의하면 좋은 습관을 형성하는 데에는 평균 66일이 걸린다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한 두 달 정도 노력을 하고 반복을 해야 돼서

한 두 달 정도는 어떤 일을 반복하는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라고 생각하고 조금 느긋한 마음을 가져보세요.

 

일희일비하지 않고 좋은 습관을 형성하려고 하면 꾸물거림은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잘 보셨나요?

 

이동귀 교수님은 現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시자, 꾸물거림에 대해 연구하시며

삶의자세, 자기계발, 소통, 커뮤니케이션, 관계, 힐링, 희망, 마음, 자존감 등 다양한 분야의 특강 강의를 진행하고 계십니다.



 이동귀 교수님뿐만 아니라, 다양한 강사진이 궁금하시면? 호오컨설팅에서 무료제안서 받아보세요.

현재 진행률0%

정말 질의응답을 그만 두시겠어요?

조금만 체크하면 프로필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창을 끄신 후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질의응답을 처음부터 다시 진행하셔야합니다.

예산을 미정으로 선택하셨군요!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

강사님을 선택하셨습니다.

다음페이지에서는 섭외 관련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섭외 일정문의시 강사 님이 가예약이 되므로
다음 내용은 꼭! 신중히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