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김동환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672
경제( 경제, 금융, 주식투자, 자산관리, 경제전망, 부동산, 재테크, 투자 )
오늘 소개할 연사강의는 김동환 소장님의 경제특강 '투자 성공 노하우'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투자의 핵심은 "언제 사고, 언제 파느냐"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싼값에 사서 비싼값에 팔면 이익을 본다는 단순한 공식이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강의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시기 결정이 투자 성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자산 배분이 성과의 핵심이라는 점입니다. 지금부터 함께 자산을 배분하고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진정한 투자 방법, 경제특강을 알아보겠습니다.
투자 성과의 본질: 자산 배분의 중요성
많은 사람들이 주식 투자의 성공 비결은 저점에서 사서 고점에서 파는 타이밍을 잘 잡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러한 시기 선택은 생각만큼 쉽지 않고, 실제 성과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합니다.
전체 성과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자산을 어떻게 배분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 급락할 때 주식을 모두 처분하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지만, 이러한 조급한 결정보다는 자산 비율을 다시 조정하는 것이 훨씬 현명한 대응입니다. 주식 비중을 필요에 따라 늘리고 줄이며,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성과를 지켜가는 방법입니다.
자산을 관리하는 전략적 접근: 자동 조절의 경험
2020년 3월, 주식시장이 폭락하던 시기에 저 역시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그동안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다 팔아야 하나 고민했지만, 침착하게 제 자산의 비중을 계산해보았습니다.
전체 자산 중 주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시장 상황에 맞춰 자동으로 조정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당시 주식이 떨어지면서, 저의 자산 중 주식의 비율은 줄어들고 다른 자산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됐습니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조정이 일어났기 때문에, 추가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자산 관리가 가능했습니다.
이는 자산 배분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 경험이었습니다.
투자는 장기적인 자산 조절이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개별 종목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타이밍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투자는 전체 자산의 비율을 조절하며 위험을 분산하는 일입니다.
상승과 하락의 주기는 투자자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돌아오기 때문에, 이를 단기적으로 해결하려 하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시장은 항상 좋거나 나쁜 상황이 반복되며, 이를 받아들이고 긴 호흡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투자는 하루 이틀의 성과가 아닌, 본업을 지키며 장기적으로 자산을 관리하고 성장시키는 과정입니다.
본업의 중요성: 본진을 지키는 투자
제가 1997년에 내린 중요한 결정 중 하나는 본업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이었습니다.
당시 저는 생소한 환경에서 스스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투자에 나섰습니다.
그리고 이 경험이 자산을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본업에 집중하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자산을 쌓아나가는 것이야말로 가장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투자 방법입니다.
실패를 통해 배운 교훈: 때로는 손해가 교훈이 된다
저 역시 여러 차례 실패를 경험하며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2005년, 미국에서 소규모 비즈니스를 운영하던 시기에 주식을 매각하고 다른 투자에 집중하려 했습니다.
당시 보유하고 있던 주식은 이후 10배까지 오르게 되었지만, 본업을 위해 주식을 처분하면서 그 기회를 놓치게 되었습니다.
손해가 컸지만, 이를 통해 본업을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금 깨닫게 되었습니다.
주위의 도움을 받는 것도 중요한 전략이다
미국에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새로운 기회를 잡을 수 있었습니다.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교훈은 주변의 도움을 놓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주변 사람들의 작은 도움과 선의가 사업 성장에 큰 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비즈니스에서 배운 재고 관리의 중요성
제가 미국에서 비즈니스를 운영하면서 겪었던 한 가지 중요한 교훈은 재고 관리의 중요성입니다.
많은 비즈니스맨들이 지나치게 재고를 쌓아두고, 그 재고가 자산에 큰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한국과 같은 농경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재고를 쌓아두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비즈니스맨들은 불필요한 재고를 남기지 않고 빠르게 처리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이는 보다 가볍고 유연한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투자에서도 이러한 접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 교훈: 본업에 충실한 투자가 답이다
2008년 금융위기 때 저는 다행히 미국 비즈니스를 매각하고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본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되었고, 본업에서 얻은 자산을 통해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비즈니스에서 번 자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위기를 넘길 수 있었고, 달러 자산을 통해 시드머니를 재개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진행률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