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황농문 강사님
강연일
조회수3238
동기부여( 동기부여, 열정, 삶의자세, 자기계발 )
인문학( 인문학 )
경영( 리더십, 변화 )
건강( 심리, 정신 )
교육( 자녀교육, 부모교육 )
안녕하세요. 특강강사 섭외를 쉽게 도와드리는 호오컨설팅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영상은 황농문 교수님의 '우리가 한가지 일에 몰입을 못하는 건 아주 당연한 일이다' 특강 강연 영상입니다.
이미 굳어버린 뇌 후천적으로 개조시키는 '1가지'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황농문 교수님의 강연 바로 시작합니다.
삶이 왜 힘들까요? 또 공부는 왜 힘들까요?
삶이 힘들고 공부가 힘든 거는 결국 우리가 오르막길을 가야 되기 때문이에요.
이것과 관련해서 존 고든이라는 분이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그러면 이제 우리가 어떻게 인생의 오르막을 가느냐는 겁니다.
그런데 우리가 어디서 힌트를 얻을 수가 있냐면 주말에도 그렇고 이렇게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있어요.
땀을 흘리고 숨이 찬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기억하고 가는 사람들이 있죠.
그거는 누가 시켜서도 아니고 자기가 스스로 그 힘든 거를 가는 거예요.
그 원리가 뭐냐 올라갈 때는 힘이 들죠.
힘이 드는데 정상에서는 아주 즐거움이 있는 거예요.
그래서 우리 뇌는 어떻게 돼 있냐면 내가 어떤 경험을 하면 그것이 고통스러울 수도 있고 즐거운 경험일 수도 있어요.
그러면 편도체라고 하는 곳 에서 얼마나 고통스러웠고 얼마나 좋았나를 경험의 감정의 세계를 계산을 합니다.
그 계산값을 전두엽에 저장을 합니다.
그러면 우리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보상이 가장 큰 행동을 하게 돼 있는 거 그게 인간의 동기부여 체계예요.
우리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서 오르막을 같지만 정상에서 희열을 계속 경험하면 기꺼이 오르막을 오르고 산행을 즐기는 사람이 되는 거예요.
이게 우리가 인생의 오르막을 즐기면서 가는 방법이에요.
중요한 게 뭐냐 하면 반드시 정상에서의 쾌감의 보상이 있어야 돼요.
그러니까 오르막만 올랐다가 내려가면 안 되는 거 그런 사람은 산행을 싫어해요.
그러니까 내가 삶에서 살 때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여러 가지 일에서도 오르막이 있는데 그거에 성공 경험을 해야 됩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제 몰입 장벽과 행복과의 관계가 있는데 몰입의 장벽이라는 거는 오르막의 높이라고 보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오르막의 높이가 낮은
그러니까 몰입의 장벽이 낮은 그런 행복은 뭐냐면 도박, 유튜브 쇼츠 이렇게 자극적인 영상이라든가 게임 뭐 이런 것들이에요.
이것들은 뭐냐 하면 소모적이거나 파멸적인 활동이에요.
그러니까 누구나 자연적으로는 쉽게 빠져들게 돼 있어요.
몰입 장벽이 중간 정도 있는 것 스포츠나 독서 등의 건전한 취미 활동이에요.
이거는 장벽이 좀 있어요.
내가 독서에 흥미를 느끼기 위해서는 책을 한두 권 읽어서 되는 건 아니고 그래도 수십 권 수백 권을 읽어야 독서에 몰입이 되고 흥미를 갖게 돼요.
또 스포츠도 농구를 하건 테니스를 치건 뭘 하더라도 그래도 몇 개월은 열심히 해야 재미를 느끼고 게임에 몰입이 되죠.
이런 활동으로부터 얻는 우리 행복의 양이 몰입 장벽이 낮은 게임이나 도박 이런 걸로부터 얻는 행복의 양보다 훨씬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이런 건전한 취미 활동을 우리가 권하는 거죠.
그다음에 몰입 장벽이 높은 행복이 뭐냐 하면 내가 해야 될 학습 업무 등에 몰입을 해서 즐거움을 얻는 거예요.
이거는 오르막이 더 높아요.
왜냐하면 몰입 상태를 경험을 해야 되기 때문이에요.
건전한 스포츠나 취미 활동은 업무 외의 시간만 내가 재미를 누릴 수가 있지만
내가 해야 될 공부나 업무를 즐길 수가 있으면 하루 종일 행복하게 보낼 수가 있는 거죠.
행복의 양이 훨씬 많아지고 인생은 천국이 되는 거예요.
그다음에 이제 몰입 장벽이 아주 높은 경우가 있어요.
그거는 이제 안 풀리는 미지의 문제 수십 년간 해결하는 데 난제 이런 거를 해결한다거나 아주 소중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이런 거죠.
이런 것들은 굉장히 장벽이 높지만 우리가 이제 이런 몰입의 장벽을 넘는 법을 알게 되면
이거는 이제 자아 실현으로 자신의 숨겨져 있는 그런 잠재력을 마음껏 발휘하는 그런 삶을 사는 거죠.
그래서 자신이 갖고 있는 잠재력을 다 불태우고 뭔가 세상에 가치 있는 일을 남기고 뒤돌아보며 한 치의 후회 없는 삶을 살 수 있 그런 방법이에요.
그래서 장벽이 높지만 충분한 가치가 있는 거죠.
그러니까 공부를 즐기려면 아니면 내가 업무를 즐기려면 몰입 상태에서의 즐거움과 희열을 반복해서 경험해야합니다.
우리가 공부에 대한 호감과 비호감이 어떻게 생기냐면 공부를 열심히 하는 사람은 대개 공부에 대한 거부감이 그만큼 적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공부를 힘들어하고 싫어하는 사람은 공부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이 많았기 때문이고
그러니까 이제 이런 노력을 하면 되는 거죠.
내가 해야 될 공부나 업무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의도적으로 크고 작은 성공 경험을 성공할 때까지 포기하지 말고
성공 경험을 많이 해야 내가 하는 일, 내가 해야 될 공부를 수가 있는 거예요.
예를 들면 제 강연을 듣고 실천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이에요.
이전에 풀리지 않았던 수학 문제를 화장실에서 밥 먹으면서도 길을 걸어갈 때도 생각해 보았고
결국 그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었고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조금 더 길어졌습니다.
그러니까 이 학생은 풀리지 않은 거를 계속 도전하는 거는 오르막을 가는 거예요.
쉽지 않죠. 결코 유쾌한 감정은 아니에요.
근데 포기하지 않고 몰입으로 응전을 하는 거예요.그러니까 화장실에서도 밥 먹으면서도 길을 걸어갈 때도 생각해 보는 거예요.
이게 몰입으로 응전하고 결국 그 문제를 풀 수 있게 되었다는 거는 성공 경험을 하는 거예요.
이때 도파민이라고 하는 쾌감 물질이 다량으로 나옵니다.
산의 정상을 간 것 같은 거예요.
그래서 이제까지 내가 그 문제에 도전했던 오르막길을 가는 과정에 부정적인 감정이 이 희열로 대체가 되요.
그래서 많은 것을 느끼게 되었고 나도 할 수 있겠구나 이런 경험을 하는 거죠.
이런 경험을 반복을 하면서 도전 정신이 생기고 오르막길을 즐기게 되는 거예요.
저는 이제 이렇게 하는 학습법을 몰입 학습법이라고 그래요.
이런 경험을 되풀이하게 되고 이제 하다 보면 점점 더 가파르고 점점점 높은 그런 산을 도전할 수가 있는 거예요.
몰입은 집중된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의식의 엔트로피가 낮은 상태라고 할 수가 있어요.
그러면 이제 그 반대가 산만한 상태죠.
그거는 의식의 엔트로피가 높은 상태라고 할 수가 있어요.
우리가 엔트로피 법칙에 의해서 엔트로피가 낮은 데서 높은 데로는 가는 게 자연의 법칙이란 말이
그러니까 우리가 집중된 상태에서 산만한 상태로 가는 거는 자연스러운 행위인 거죠.
이제 엔트로피 법칙은 전체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를 합니다.
예외 없이 그런데 부분적으로는 감소할 수가 있어요.
이게 중요합니다.
몰입을 하는 것도 마찬가 부분적으로 엔트로피가 감소되는 거죠.
이 얘기는 뭐냐 하면 내가 몰입을 하기 위해서 뭐가 필요하느냐랑 같은 문제예요.
근데 엔트로피가 부분적으로 감소하는 대표적인 케이스가 뭐냐면 우리가 그릇에 물을 담아놓고 냉동고에 넣는 거예요.
그러면 이 물이 얼음으로 바뀌어요.
그러면 물이 엔트로피가 얼음보다 더 많단 말이죠.
엔트로피가 더 큰데 왜 엔트로피가 낮은 얼음으로 바뀌느냐는 거죠.
이게 부분적으로 엔트로피가 낮아지는 경우 이게 왜 가능하냐면 물이 얼음으로 바뀌면서 물이 에너지가 높고 얼음이 에너지가 낮거든요.
그러니까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해서 이 에너지 차이가 바깥으로 나와요.
외부로 나와서 외부의 엔트로피를 증가시켜요.
그래서 외부의 엔트로 까지 고려하면 전체 엔트로피는 증가한 건데 부분적으로 엔트로피가 이렇게 감소할 수가 있다라는 거예요.
그러면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모습은 뭘까라는 이런 거예요?
어떤 사실을 비디오 촬영을 해요.
그것을 재생을 시키면 그게 전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모습인데 그 비디오를 거꾸로 재생을 해요.
그러면 그게 전체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모습이에요.
그래서 전체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경우는 시간이 거꾸로 가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엔트로피를 시간의 화살이라고 그래요.
그러면 생명 현상에도 엔트로피 법칙이 적용이 될 거냐라는 거예요.
우리가 비디오 촬영을 무생물뿐만 아니라 생물도 우리가 비디오 촬영을 할 수가 있잖아요.
그래서 그거를 거꾸로 돌리면 그게 전체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모습이에요.
그러면 엔트로피 관점에서 생물과 무생물이 어떻게 차이가 나느냐 생명 현상은 엔트로피가 낮아지는 현상이에요.
우리가 엔트로피가 계속 증가하면 죽어요.
그러니까 우리가 엔트로피를 계속 감소시켜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가 있어요.
그럼 어떻게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느냐 음식 음식이 엔트로피가 낮은 물질이에요.
그 낮은 음식을 먹고 엔트로피가 높은 배설물을 배출하는 거예요.
그래서 계속 엔트로피를 낮추면서 사는 거가 생명 현상이에요.
생명체는 어떻게 엔트로피를 낮춘다면 정보 처리를 해요.
그 점에서 다른 것 무생물은 정보 처리를 못 해요.
그러면 엔트로피를 낮춘다는 건 낮은 확률을 구현한다는 얘기거든요.
정보가 어떻게 낮은 확률을 구현하느냐 우리가 예를 들어서 길을 찾으려고 그래요.
근데 내비게이션을 쓰면 거기를 찾을 수 있는 확률이 확 올라가죠.내비게이션이 정보잖아요.
정 어쨌든 나의 확률을 낮출 수 있는 거는 정보라는 거예요.정보 내가 경험한 것도 정보죠.
그래서 원시시대에 태어나서 어떤 음식을 먹으면 배탈이 나고 어떤 음식을 먹으면 좋고 문제가 없고 이런 것도 정보예요.
경험 교육이 정보죠.
그러니까 이 정보가 엄청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예요.
나의 삶의 확률을 바꾸는 거예요.
결국은 이 생명 현상을 설명하려면 우리가 정보 처리를 하는 거죠.
그것을 순례 증거는 코드라고 그랬어요.
코드 그것이 DNA죠.
DNA가 바로 정보고 그러니까 부모로부터 DNA를 물려받아서 유전 정보가 연결이 되는 거예요.
그러니까 모든 생명체는 유전 정보에 의해서 아주 낮은 엔트로피를 확률을 구현을 하는 겁니다.
우리가 3을 살 때도 엔트로피를 계속 낮춰야 되잖아요.그때 정보 처리를 하는 거가 시냅스예요.
이 시냅스에서 정보 처리와 감정 처리를 해요.
그러니까 엔트로피 관점에서 보면 시냅스가 핵심인 거예요.
그러니까 우리가 잘 이해하면 우리가 삶을 정복할 수가 있고 또 행복을 정복할 수가 있는 거예요.
황농문 교수님은 동기부여, 열정, 도전, 성공, 자기관리, 삶의자세, 자기계발, 경영, 변화, 자기경영 등 다양한 분야로
기업 임직원, 관공서, 대학 등에서 기업강연으로 많은 특강을 진행해오셨습니다.
황농문 교수님의 강연 뿐만 아니라, 수많은 특강강사의 기업강의 특강이 궁금하시면??
현재 진행률0%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