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적인 섭외&진행 노하우로 다져진 호오컨설팅은 행사 진행에서 가장 중요한
사회자의 섭외를 통해 성공적인 행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알리의 주먹, 조던의 무릎, 코마네치의 발목, 펠프스의 허파, 볼트의 근육,
조코비치의 엘보 그리고 태극궁사의 입술에 이르기까지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올림픽 영웅들의 유전자를 해부하다
올림픽을 향한 세상의 시선이 승패의 결과와 메달의 색깔에 모아진다면, 해부학자는 선수들의 몸에 주목한다. 알리의 주먹(1964년 올림픽), 코마네치의 발목(1976년 올림픽), 조던의 무릎(1992년 올림픽), 펠프스의 허파(2008년 올림픽), 볼트의 허벅지근육(2008년~2016년 올림픽), 태극궁사들의 입술(1984년~2020년 올림픽) 등 올림픽 영웅들의 뼈와 살에는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해부학적 코드가 숨어있다.
저자는 하계 올림픽 중에서 28개 종목을 선별하여 스포츠에 담긴 인체의 속성을 해부학의 언어로 풀어낸다. 복싱편에서는 복서에게 치명적인 뇌세포손상증을 가져다주는 펀치 드렁크 신드롬이 만연함에도 불구하고 국제복싱협회가 헤드기어 착용을 폐지한 연유를 파헤친다. 유도편에서는 200가지가 넘는 기술 중에서 외십자조르기가 목동맥삼각에 위해를 끼쳐 산소부족 상태를 초래해 뇌 손상에 이르는 과정을 규명한다. 육상편에서는 우리 몸의 근육조직을 이루는 속근과 지근이 단거리와 장거리 경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및 마라톤선수의 스포츠심장과 발바닥 구조에 담긴 함의를 해부한다. 축구 역사의 패러다임을 바꾼 회전(스핀)킥과 무회전킥에 얽힌 종아리근육의 구조를 해부도를 통해 풀어낸 대목에서는 우리 몸 곳곳을 다층적으로 탐사하는 해부학의 유니크한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스포츠를 의학의 카테고리에 가두지 않고 해당 종목의 역사적 연원과 과학기술 및 사회적 함의를 살피는 데도 지면을 아끼지 않는다. 수영선수의 전신수영복이 빚은 기술도핑, 사이클에서 불거진 스테로이드 오남용, 복싱과 사격 및 탁구에 담긴 정치외교적 속내, 자본의 논리에 함몰된 비인기종목에 숨겨진 가치에 이르기까지 분야와 관점을 넘나드는 이야기의 향연은 그 자체가 다양성의 미학을 펼치는 올림픽과 닮았다.
[프롤로그] ‘최선’이 남긴 상처의 통증유발점을 찾아서
CHAPTER 1 알리의 주먹
01 배고픈 전사의 리썰웨폰 _복싱
02 매트 위의 위대한 요다들 _레슬링
03 상대방의 힘을 유도하라 _유도
04 무적의 돌려차기에 얽힌 비밀 _태권도
05 검을 든 자여, 퇴화의 시간을 가르소서 _펜싱
CHAPTER 2 조던의 무릎
06 공은 둥글다. 고로 축구는 알 수 없다 _축구
07 밀어야 산다? 믿어야 산다! _럭비
08 그 시절 에어 조던의 무릎은 안전했을까 _농구
09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_핸드볼
10 주먹보다 강한 손바닥의 위력 _배구
CHAPTER 3 볼트의 근육
11 아프니까 스포츠다 _육상
12 무엇이 그들의 발목을 잡는가 _체조
13 아틀라스의 정신을 들어올리다 _역도
14 말(言)이 통하지 않는 말(馬)과의 경이로운 교감 _승마
15 쓰러지지 않고 삶의 페달을 밟는 법 _사이클
CHAPTER 4 태극궁사의 입술
16 중국이 쏘아올린 작은 공 _탁구
17 코트 위 황제를 울린 팔꿈치 _테니스
18 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기는 깃털의 미학 _배드민턴
19 홀인원에 빠진 골프홀릭의 민낯 _골프
20 허리를 굽혀야 이기는 무사들 _필드하키
21 메달의 색을 포착하는 시선들 _ 사격
22 신궁의 입가에 깃든 미소 _양궁
CHAPTER 5 펠프스의 허파
23 물살에 가려진 편견과 차별 _수영
24 추락하는 것에도 날개가 있다 _다이빙
25 수중 격투 속 승부의 참뜻 _수구
26 바람을 지배하는 욕망의 그림자 _요트
27 한 배를 탄 크루들의 뜨거운 눈물 _조정
28 물 위를 걷는 자들에 관하여 _ 서핑
◆ 책 속으로
알리가 입버릇처럼 말한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는 얘기는 다르게 해석할 여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나비처럼 날아서’는 알리 특유의 경쾌한 풋워킹을 가리킨다. 하지만 해부학자의 눈에는 벌침처럼 날카로운 스트레이트의 원천이 되는 알리의 유연한 날개뼈, 즉 앞톱니근이야 말로 나비의 우아한 날개짓 그 자체다. 복서의 날개뼈가 치명적인 무기, 리썰웨폰(lethal weapon)이 되는 순간이다.
_31쪽 ‘복서의 날개뼈’ 중에서
학창시절 주먹으로 전교 순위를 정하던 사내아이들 사이에는 제법 진지한 철칙 같은 게 있었다. 누군가와 시비가 붙어 주먹다짐이 불가피하더라도 상대방이 ‘만두귀’라면 자리를 피하라는 것이다. 말 그대로 만두 모양으로 일그러진 만두귀는 레슬링선수들의 상징이다. 정상적인 귓바퀴는 연골과 연골막 그리고 피부가 잘 붙어있는데, 귓바퀴에 부딪힘, 쓸림, 마찰 등의 외상이 발생하면 연골막과 연골 사이가 벌어지면서 그 부분에 혈액이나 물이 찰 수 있다.
_43쪽 ‘레슬러의 만두귀에 새겨진 피와 땀의 나이테’ 중에서
세상을 살다보면 티격태격 다툼이 생길 때가 있는데, 아무리 불가피한 싸움이라도 멱살 잡(히)는 일은 피해야 한다. 멱살 잡기에서 시작해 더 과격한 물리적 충돌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멱살은 말 그대로 멱 부위에 있는 살인데, 멱은 목의 앞쪽 부분을 가리킨다. 그런데 멱살을 심하게 잡히면 큰 싸움으로 나아갈 것도 없이 그 자체로 위험할 때가 있다. 목에 심각한 압박이 가해져 후두와 기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공기가 폐로 들어가지 못해서 호흡을 하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_59쪽 ‘유도에서 뇌 손상을 일으키는 멱살잡기의 해부학적 속내’ 중에서
호날두의 무회전킥 동작을 해부학적으로 살펴보면, 공을 향하는 강력한 임팩트가 단지 발목이나 발등만으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무회전킥을 제대로 구사하려면 골반에서 허벅지근육을 지나 종아리근육에 이르기까지 어디 하나 중요하지 않은 부위가 없다. 그 중에서도 필자는 종아리근육에 주목한다. 그 이유는 종아리근육이 발등은 물론 발가락의 움직임에까지 깊게 관여하기 때문이다.
_105쪽 ‘무회전킥과 호날두의 종아리근육’ 중에서
농구에서 키와 속근육 못지않게 중요한 신체적 특징 가운데 하나로 팔의 길이가 꼽힌다. 슛을 쏘고 패스를 하고 블록이나 인터셉트를 하는 것은 (손을 포함한) 팔이다. 농구에서의 승패가 키와 점프력은 거들 뿐 결국 팔에 달렸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조던이 농구황제가 된 이유 중 하나도 긴 팔이었다. 양팔을 벌린 길이를 윙스팬(wing span)이라고 하는데, 보통 이 길이는 키와 비슷하다. 흥미로운 건 농구선수들 중에 다빈치의 인체비례를 깬 이들이 유독 많다는 사실이다.
_136쪽 ‘키와 점프력은 거들 뿐 결국 팔에 달렸다’ 중에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황영조 선수는 탁월한 스포츠심장과 폐활량의 소유자였다. 황 선수의 동료이자 마라톤 한국기록(2시간7분20초) 보유자인 이봉주 선수는 한 인터뷰에서, “그의 강심장이 미치도록 갖고 싶었다”고 했을 정도다. 하지만 몬주익의 영웅은 20대의 나이에 이른 은퇴를 해야만 했다. 원인은 발바닥이었다. 스피드형 마라토너인 황 선수는 앞꿈치로 밀어주는 ‘킥’ 때문에 유독 발바닥 부상이 잦았고, 이로 인해 선수시절 2번이나 수술대에 올라야 했다.
_176쪽 ‘강심장을 품은 마지막 황제들’ 중에서
해부학에서 말하는 ‘근력’ 즉 ‘힘’은 인류에게 필요악 같은 존재다. 힘은 맹수나 자연재해로부터 인간 스스로를 보호해왔지만, 계급을 나누고 착취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힘에 얽힌 우여곡절은 때로는 종교와 신화로 다뤄지거나 역사로 기록되었다. 골리앗의 힘은 두려웠고, 삼손의 힘은 가혹했으며, 헤라클레스의 힘은 경이로웠다. 힘은 권모술수의 자충수에 빠지는 원인이 되기도 했는데, 그리스신화에 등장하는 아틀라스(Atlas)도 그랬다.
_205쪽 ‘아틀라스의 정신을 들어올리는 역사(力士)에 관하여’ 중에서
동체시력은 비단 클레이 사격에서만 강조되는 건 아니다. 야구와 테니스, 탁구 등 구기종목에서 빠른 속도로 날아오는 공을 순간적으로 포착해 내려면 동체시력이 발달해야 한다. 일본인 메이저 리거 스즈키 이치로(鈴木一朗)는 강속구 투수의 공에 대처하기 위해 평소 달리는 자동차 안에서 차창 밖 다른 자동차들의 번호판을 읽는 방식으로 동체시력을 높이는 훈련을 했다고 한다.
_311쪽 ‘사격선수가 윙크를 하지 않는 이유’ 중에서
“양궁경기에서 화살을 조준할 때 선수들은 항상 같은 입술 부위에 활시위를 고정하는 연습을 합니다. 이때 1밀리미터만 위치가 바뀌어도 화살이 과녁으로부터 크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 양궁선수들이 항상 강조하는 ‘1밀리미터의 마법’이다. 선수들은 화살을 조준할 때 항상 얼굴의 같은 위치에 활시위를 고정하여 앵커링 한다. 그런데 하필 활시위가 입술 부위에 와 닿는 이유는 왜일까. 입술 주변은 감각이 매우 예민한 부위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화살을 조준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되는 데 안성맞춤이다. 입술 부위의 턱끝신경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
_326쪽 ‘궁수의 입꼬리가 올라가는 이유’ 중에서
수영종목에도 인종차별적 편견이 존재한다. 흔히 흑인선수들은 인체과학적인 이유라면서 높은 골밀도와 근육질 때문에 수영에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미국의 한 언론에서는, 흑인은 타고난 근육질 탓에 물에 뜨는 부력(浮力)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기사를 출고해 주목을 끌기도 했지만, 이 역시 과학적으로 근거가 없다. 수영종목에서 흑인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이유는 미국사회의 뿌리 깊은 인종차별 문제에서 비롯했다고 보는 게 설득력 있다.
_332쪽 ‘물살에 가려진 편견과 차별’ 중에서
화가 호크니는 그의 작품 〈더 큰 첨벙(a bigger splash)〉에서 다이빙을 한 인물을 밝히지 않았지만, 그가 다이빙선수가 아니라는 건 분명해 보인다. 다이빙선수라면 저렇게 요란한 물보라를 일으키진 않았을 테니 말이다. 다이빙경기에서 입수자세는 중요한 채점요소다. 입수할 때 물이 덜 튀어야 좋은 점수를 받는다는 얘기다. 그런데 작품의 제목은 ‘풍덩’도 아닌 ‘첨벙’이다. 심지어 ‘더 큰 첨벙’이다. 다이빙경기에서는 ‘풍덩’이나 ‘첨벙’이 아닌 ‘퐁’의 느낌으로 경쾌하게 입수해야 한다. 입수가 ‘퐁’이 되려면 물에 들어가는 순간 다이버의 몸이 물과 수직을 이뤄야 한다.
_347쪽 ‘추락하는 것에도 날개가 있다’ 중에서
인문학( 인문학, 역사, 예술 )
건강( 의학 )
현재 진행률0%
평균적으로 전문강사·MC님 같은 경우는 150만원 이하,
인지도가 높은 강사 ·MC님은 그 이상을
체크해주셔야 합니다.